실사판

實寫版
Live action

1 설명

미디어 믹스의 한 종류로,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등을 영화나 드라마나 뮤지컬, 연극처럼 실제 인물들이 배역을 맡은 작품.

2 특징

2.1 일본

만화 산업이 많이 발달한 일본답게 만화, 소설 등의 실사화가 자주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일본 만화는 인물들 그림체가 현실과 매우 동떨어져 있는데다가 일본인들의 외형과는 전혀 닮지 않은 터라 일본 배우들이 분장하거나 연기하면 싱크로율이 매우 떨어진다. 거기다가 원작 캐릭터의 헤어스타일이나 코스튬을 구현하려고 해도 만화 캐릭터들 디자인들은 워낙 비현실적인 터라 3D로 구현하기가 힘들고, 현실에서 보면 매우 어색하다. 그래서 어느 정도 재해석이 필요한데도 불구하고, 만화 캐릭터의 외형을 그대로 구현하려는데만 힘을 쓰다보니 유치한 코스프레물이 되어버린다. 그러면서 스토리나 설정은 제대로 신경을 안 쓴 건지 스토리가 허접하거나 원작의 매력을 제대로 못살리는 경우가 많다. 한마디로 비주얼은 비주얼대로 폭망, 스토리는 스토리대로 폭망한 졸작들이 나올 가능성이 매우 크다. 무엇보다 가장 심각한 건 서양인으로 설정된 캐릭터를 일본인 배우들이 맡는 작품들이다(...)

당연히 2D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은 OME를 외치는 경우가 많다. 오죽하면 3D 기술이 발달했는데도 불구하고 대부분 일본의 미연시나 애니는 2D라는 걸 생각해 보자. 3D에도 많은 2D 오덕들은 거부감을 강하게 표출하는데 사람이 맡으면 오죽하는가?

그래서 그런지 일본에서 제작한 실사 영화치고 제대로 된 작품은 거의 없다. 그래도 흥행은 하는지 많이 제작되는 중이고, 일본 박스오피스 내에는 만화 실사 영화가 많다.

2.2 할리우드

일본과 달리 할리우드에서는 그 빠빵한 자본력과 연출력으로 실사판도 상당히 높은 퀄리티로 나올 때가 많다. 당장 트랜스포머 실사영화만 봐도 알 수 있다. 거기다가 미국의 코믹스들 그림체는 일본 코믹스들과 달리 실사에 가깝게 그려지기 때문에 실사화를 하여도 위화감이 딱히 느껴지지 않는다. 특히나 DCEU의 경우엔 배우 캐스팅이나 캐릭터 디자인이 워낙 잘 돼서 만화에 나온 디자인을 써도 코스프레물이 되지 않고 만화를 찢고 나온듯한 싱크로율을 보여준다.

일본 실사물들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원작의 디자인과 설정에 대한 지나치게 집착하지 않고, 적절히 현실적으로 각색하는 작품들이 많다는 것. All you need is kill의 할리우드 버전인 엣지 오브 투모로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등이 그 예시.

그래서 그런지 일본과 달리 할리우드는 실사화 소식이 나와도 큰 반발은 거의 없는 편이다. 물론 그렇다고 항상 실사화에 성공하는 건 아니다. 엑스맨 실사영화 시리즈처럼 코스프레물이 되어버린 경우도 많고,[1] 원작에 대한 존중은 눈꼽만큼도 없고, 스토리도 허접한 괴작들도 많다.

3 나무 위키에 등재된 실사판 작품

항목이 분리된 작품만 서술. 항목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는 서술하지 않는다.
망작만 보이는 것은 착각이다

  1. 물론 이쪽 영화들은 대부분 작품성이 좋은 편이다.
  2. 설정파괴로 욕을 먹는 망작이긴 하지만 드래곤볼이 배경이긴 함으로 등재.
  3. 실사화 중에서 가장 성공한 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