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그마르의 마술사왕


제3시대 사우론의 부관이자 모르도르의 군대의 지휘관으로서의 모습


아홉 인간에게 주어진 힘의 반지로 타락하기 이전, 위대한 왕이자 마법사로서의 모습


반지의 힘에 의해 인간의 육체를 상실하고 악령이 된 모습

The Witch-king of Angmar

존 로널드 르웰 톨킨의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인물.

1 개요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악역. 암흑의 군주 사우론 휘하의 강력한 악령으로, 아홉 나즈굴 중 가장 강력한 지휘관이다.[1] 본디 위대한 왕이자 마법사인 인간이었으나[2] 사우론의 계략으로 힘의 반지에 완전히 타락했다. 연합 세력을 괴롭히는 주요 악역으로 활약한다.

제 2시대 중엽(SA 2251년)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이후 무려 4200여 년 동안 사우론의 오른팔, 모르도르의 총사령관이자 아홉 나즈굴의 군주로서 가운데땅에 악명을 떨친 악령이다. 펠렌노르 평원의 전투에는 모르도르군의 총 지휘관을 맡은 바 있다. 진실된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 수많은 이명을 가진 자로 모르굴의 군주(The Lord of Morgûl), 앙그마르의 마술사왕(The Witch-king of Angmar), 나즈굴의 군주(The Lord of the Nazgûl) 등등의 이름으로 불렸다.[3]

영화에서도 아주 위협적인 적으로 등장한다. 영화 내내 끈질기게 반지 원정대를 괴롭힐 뿐만 아니라 곤도르와의 전쟁에서 간달프에 맞선 호적수로 등장한다. 프로도에게 모르굴 검을 찔러넣어 평생 후유증을 안겨준 장본인이며, 로한의 왕 세오덴을 펠렌노르 평원에서 살해한 것 또한 그의 소행.

2 행보

He is the lord of the Nazgûl, the greatest of the Nine. Minas Morgul is his lair.

그는 나즈굴의 군주이자, 아홉 중 가장 강력한 자일세. 미나스 모르굴이 그의 소굴이지.
- 간달프 -

나즈굴이 처음으로 역사에 등장한 이후 제 3시대 3019년에 펠렌노르 평원에서 장렬하게 전사하기 까지 총 4210년 동안 가운데땅에서 그의 악행은 그의 주인(사우론)을 제외하면 맞설 자가 없었다. 제 2시대는 누메노르의 위세가 대단했으며 사우론이 패퇴하여 이렇다 할 역할이 부각되지 않았지만, 제 3시대에 그의 활약상은 무척 화려하다. 최후의 동맹 전투에서 패배했던 자신의 주인 사우론이 다시 형체를 갖추어 나타나자 그와 함께 돌 굴두르를 점령(TA 1050년)하고, 250년 뒤인 1300년에 더 북쪽으로 나아가 앙그마르라는 나라를 세웠다. 그는 타락한 누메노르 혹은 검은 누메노르인, 주변 일대의 야만인들, 오크, 트롤 등 사악한 세력을 규합하여 세력을 키웠고 북왕국 아르노르를 위협하기 시작했다. 동시에 왕권 다툼으로 세 국가로 분열된 북왕국 아르노르 중 하나인 루다우르를 야만인을 이용하여 동맹국(혹은 속국)으로 잡아먹고 나머지 두 왕국을 역병, 마술, 전쟁으로 500년 동안 집요하게 공격한다.[4] 마침내 1974년 북왕국이 무너졌고 앙그마르는 국가의 목적을 완수한다.

마술사왕은 북왕국의 세 국가를 모두 무너뜨림으로써 요정과 곤도르 연합이 그를 북왕국에서 쫓아내기까지 북쪽 땅을 완전히 유린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이 전쟁을 통해 인간이 가지고 있던 4개의 팔란티르를 수장시켰고 북왕국 혈통을 끝장내기 직전까지 몰아세웠다.[5] 더욱이 그가 북왕국에서 집요하게 아르노르를 공격했기 때문에 형제왕국이었던 아르노르곤도르는 서로 도와주기가 매우 힘들어졌다. 당시 곤도르는 동쪽으로부터 끊임없이 위협을 받아왔고 원래 수도였던 오스길리아스가 바로 이 때 폐허가 되었다. 결국 마술사왕은 단순히 북왕국 유린에서 그치지 않고 사우론이 곤도르를 효과적으로 견제할 수 있도록 혼란을 이끌어냈던 것이다.

앙그마르 왕국은 1975년 포르노스트 전투에서 요정과 곤도르, 잔존한 북왕국 세력의 연합에 의해 패배하였고 마술사왕은 북쪽에서 후퇴했다. 그렇지만 그는 곧 모르도르로 돌아가 나머지 나즈굴을 다시 불러모았다. 그리고는 TA 2000년 나즈굴을 이끌고 미나스 이실을 공격하여 2년만에 함락시켜버린다. 그리고 그 땅을 오염시키고 그 요새에 있던 팔란티르를 가져갔으며 미나스 이실을 그의 요새로 삼았다. 이후 미나스 이실은 미나스 모르굴(흑마법의 요새라는 뜻)로 불리게 되었고 나즈굴 대장의 이명에 '모르굴의 군주'라는 호칭이 추가된다.[6]

이에 그치지 않고 모르굴의 군주는 남은 하나의 인간 왕국 곤도르를 괴롭히기 시작한다. 그는 미나스 모르굴에서 당시 곤도르의 왕이었던 에아르누르를 도발하여 유인한 뒤 살해했다.[7] 에아르누르는 후계자가 없었으므로 곤도르의 왕 계보는 끊어지고 이후 섭정이 다스리게 된다. 이 통치 체제는 반지전쟁 완료 후 아라고른이 즉위할 때까지 유지된다. 왕을 살해한 뒤에 마술사왕은 계속해서 곤도르를 괴롭혀 그나마 버티던 오스길리아스를 완전히 쑥대밭으로 만들어버렸다.[8] 그리고 이후 500여 년동안 모르도르 재건과 곤도르 견제를 하다가 호빗 마을에 절대반지가 있다는 첩보를 받는다. 그리고 마침내 3018년 여름에 골룸과 다른 첩보를 활용, 에리아도르로 나즈굴을 이끌고 추격에 나서면서 반지의 제왕의 이야기가 막을 연다.

호빗을 추격하다가 간달프의 훼방과 깊은골의 방어에 잠시 무력해졌지만, 곧 모르도르로 돌아가 곤도르 공성 총사령관이 된다. 그는 대규모 군사를 일으켜 미나스 모르굴에서 출격하여 오스길리아스를 다시 유린하고 곤도르 공성전을 벌이다가 펠렌노르 평원의 전투에서 로한 여장부의 손에 죽임을 당한다. 이 정도면 3천 년 동안 가운데땅을 거의 휩쓸고 다녔던 셈이다. 그 동안 그의 악명이 얼마나 드셌을지 상상해보자.

3 마술사왕의 최후에 대하여

사실 그가 그냥 죽게 된 것은 아니다. 그와 관련해서는 유명한 예언이 하나 전해 내려오는데, 이는 북왕국 말기 곤도르의 왕자이자 훗날 왕위에 오르는 에아르누르와 요정 영주 글로르핀델의 연합군이 앙그마르에서 그의 세력을 몰아냈던 포르노스트 전투 당시, 퇴각하면서도 여유만만하게 자신을 조롱하던 마술사왕에게 분개하는 에아르누르를 진정시키며 글로르핀델이 했던 말에서 유래한다.

Glorfindel: "Do not pursue him! He will not return to these lands. Far off yet is his doom, and not by the hand of man shall he fall."

글로르핀델: "쫓지 마시오! 그는 이 땅에 더 이상 돌아오지 않을 것이니. 또한 그의 운명은 아직 다하지 않았으며, 그를 쓰러뜨리게 되는 이는 man(인간/남자)이 아닐 것이오."

에아르누르는 비록 그 때 글로르핀델의 말에 따라 추격하지 않았지만 이를 무척 수치스럽게 생각했다. 그것이 결국 이어져 에아르누르는 미나스 모르굴에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다. 이후 펠렌노르 평원의 전투에서 쓰러진 세오덴 왕 곁을 지키면서 마술사왕의 예언을 깨트린다. 여기서 글로르핀델의 예언이 실현되어, 마술사왕은 메리아독이 지니던 단검과 에오윈의 검에 의해 파멸하게 된다. 결국 '인간'이 아닌 호빗 메리아독과 '남자'가 아닌 왕녀 에오윈이 마술사왕을 무너뜨린 것. 묘사를 보면 마술사왕은 'man'을 '인간'이라는 종족에 한정지어 생각한 듯한데, 사실 '남자'라는 성별로도 해석할 수 있는 중의적인 단어였던 셈이다.[9] "날 죽일 수 있는 은 없다!" "난 이 아니라 이거든요 ㅗ" 영어뿐만 아니라 인도유럽어족의 많은 언어에서 남자를 뜻하는 단어는 인간을 뜻하는 보통명사로 쓰일 수 있다. 다만 설정상 글로르핀델이 사용했을 신다린이나 서부공용어가 이런 성격을 가지고 있었는지는 모를 일.

게다가 때마침 메리가 지니고 있던 검은 과거 앙그마르 시절 그와 싸워왔던 두네다인들이 그를 치기 위한 의지를 담아 벼려낸 고귀한 옛 보검이다. 그런 유서깊은 물건이 '하필이면' 일개 호빗의 수중에 들어가 바로 그 시간 그 장소까지 운반됨으로서 불멸의 존재로 믿어지기까지 하던 그의 강대한 마력을 깨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니, 그야말로 운명적인 최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를 찌름과 동시에 검은 파괴되었으며, 메리와 에오윈은 파괴된 검을 타고 전해진 저주에 의해 죽기 직전까지 내몰렸고 아라고른의 치유의 능력 덕분에 살아난다. 1부 반지 원정대에서 프로도가 마술사왕의 단검에 찔리고 한참동안 사경을 헤메다가 깊은골 요정들이 치료해줘서 겨우 살아남는데[10], 그 때의 상처가 4년동안이나 완치되지 않는다고 하는 걸 보면 역시 보통 사악한 존재가 아니었던 모양.

아무튼 그의 파멸과 함께 미나스 티리스를 공격하던 모르도르군의 사기는 크게 꺾이고, 그 뒤를 이은 아라고른의 귀환에 의해 모르도르군이 대패함으로서 미나스 티리스는 위기를 벗어나 모르도르 본토를 향한 반격을 준비하게 된다.[11]

사실 나즈굴 중에서도 가장 강한 자이자 그 정체에 대해서 가장 많이 이야기가 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절대반지가 파괴되기 전에 죽은 유일한 나즈굴이다. 오히려 지나친 존재감으로 인해 일찍 퇴장당한 불운한 케이스. 사실 사루만이 두 개의 탑에서 퇴장했기 때문에 만들어진 중간보스의 이미지가 더 강하게 느껴지지만

4 그 밖에

그의 최후에 대해 예언한 글로르핀델은 훗날 부상당한 프로도깊은골로 옮기는 바로 그 사람이다.(단, 영화에서는 아르웬이 그 역할을 대신한다)

실마릴리온에도 살짝 나오는데, '모르굴의 군주'라는 칭호로 나온다.

'witch'가 현대에는 주로 '마녀'라는 뜻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비영어권에서는 혹시 여성이 아니냐는 이야기도 가끔 나오는 모양이지만...작중에서 그의 성별은 남성으로 명시되어 있고, 사실 witch는 명사로서 단독으로 사용될 때를 제외하면 성별과 무관한 의미를 가지며(witchcraft, witchdoctor 등의 단어를 참조) 중세 영어에서는 남성형, 여성형이 따로 있었다. 남성형은 Wicca[12], 여성형은 wicce witch인데 정확한 어원은 현재 언어학계에서도 밝혀지지 않았다. 다른 게르만 제어에서도 witch에 딱 대응할 만한 단어가 없는 점도 연구를 어렵게 하는 문제. 아무튼 witch는 여성만을 가리키는 표현이 아니며, 그러다 보니 가끔 영어 서적을 번역할 때 '남자 마녀' 같은 웃긴 표현이 나타나기도 한다. 일본쪽에선 witch-king을 마왕으로 번역했다.

왕의 귀환 확장판에서는 간달프와 대면하여 손도 대지 않고 그의 지팡이를 부러뜨리는 장면이 있는데, 간달프를 계속 공격하려는 찰나 로한군의 나팔 소리에 물러난다.

그런데 이 장면은 원작과 명백히 다르다. 원작에서 싸웠더라면 간달프한테 그냥 발렸을 거다. 간달프: "이겼다! 반지의 제왕 끝!"...은 아니지만 마술사왕은 근본이 인간이고 간달프는 나즈굴의 주군인 사우론과 같은 마이아 출신이다. 간달프막장 플레이 중이었다는 설도 있다 애초에 원작에서는 서로 마주보고 싸우려다 로한의 기마병이 당도하자 대치 상황이 무산된다. 마술사왕이 간달프를 조롱하는 대사야 소설에도 나오지만, 그것은 싸움에서 흔히 나오는 도발일 가능성이 높다. 앙그마르의 어그로 원작에서는 '멍청한 늙은이! 지금은 나의 때임을 모르는가! 죽어서 후회해라!' 정도의 도발을 날린 것이 전부. 마술사왕이 간달프를 상대로 자신감 있게 도발을 날린 것은 사실이지만 아무리 권능을 다 쓸 수 없다고 해도 마이아인 간달프를 뛰어넘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에 가깝다. 간달프가 'Man'이라서 못 이긴다는 말이 있는데, 사실 간달프는 늙은 노인의 형상을 했을 뿐 남자도 인간도 아닌 존재다. 또한 소설에서 간달프는 9명의 나즈굴 전부가 프로도를 쫓았을 때 격렬한 전투 끝에 9명을 모두 물리쳤다는 장면이 암시되어 있다! 하지만 마술사왕이 호빗과 여성에게 죽을 운명이라 죽이지는 못했다.

단 마술사왕의 힘이 각별하다는 것은 원작에서도 암시되고 있고, 나즈굴들이 간달프를 피해 흩어지는 장면에서도 그를 대적할 자신들의 우두머리가 아직 오지 않았기에라는 단서가 붙는다.[13] 또 마술사왕이 가졌던 인간들의 아홉 반지는 사우론의 권능의 지배하에 있으므로, 사우론이 무슨 버프(...)라도 걸어 줘서 미나스 티리스에 있을 것이 분명한 간달프를 대적할 수 있도록 계획했을 가능성도 있다. 간달프 역시 마술사왕을 특별히 경계하는 발언을 데네소르에게 하고, 데네소르는 쫄아서 도망쳐 오기라도 했냐고 야유를 날린다. 애시당초 일단은 힘 대 힘으로 사우론을 찍어누르는 것이 금기시되어 있는 이스타리인만큼 간달프가 마술사왕을 상대로 풀파워를 개방(...)할 수 없는 모종의 사정이 있었는지도 모른다. 다른 나즈굴들은 쫓잖아 발록도 죽였잖아

호빗 실사영화 시리즈의 1편 호빗: 뜻밖의 여정에서도 잠시나마 등장한다. 검은 망토를 뒤집어쓰지 않은 본래 악령의 모습으로 라다가스트를 기습해 싸우다가 물러난다. 그리고 라다가스트는 곧이어 나타난 사우론의 포스에 질려 줄행랑(…). 그리고 그가 떨어트린 모르굴의 검은 라다가스트가 주워 간달프에게 건넸고, 간달프는 이를 신성 회의에 증거물로 제출해 악의 세력이 돌아왔음을 알린다. 이후 3편인 호빗: 다섯 군대 전투에서는 사우론 및 휘하의 나즈굴들과 함께 돌 굴두르를 찾아온 백색회의에 맞서나 갈라드리엘의 권능과 사루만의 몽둥이 찜질에 못 이겨 퇴각한다.

여담이지만 영화판의 마술사왕은 몸과 목소리가 따로 노는데(?), 몸 연기는 영화 1편의 사우론(다고를라드 평원의 전투에서의 모습) 역과 우루크-하이 대장 러츠 역, 그리고 3편의 오르크 대장 고스모그 역을 담당한 로렌스 마코레라는 배우가 맡았고, 최종보스 전문 배우 목소리 연기는 다른 나즈굴들과 같이 골룸/스미골 역의 앤디 서키스가 맡았다. 그래서인지 깊은골 앞에서의 대치씬에서 "호빗을 넘겨라, 요정!"이라고 말할 때는 골룸에 가까운 경박한 목소리(?)이지만 왕의 귀환에 와선 상당히 침울하고 무거운 톤으로 바뀐다. 한국판에선 송준석.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오마주했다. Lich-king이라든가, Angrathar라든가.

파일:Attachment/20130903184923 560.gif
사실 에오윈이 아이셔를 먹이고 죽였다 카더라 명불허전 요리실력

무슨 지거리야!!!
  1. 다른 8명의 나즈굴들은 밝은 햇빛과 흐르는 물에 약하다는 설정이 있는데, 마술사왕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한다.
  2. 아홉 나즈굴 중 세 명은 누메노르의 명가 출신이라는 말이 있는데, 아무래도 가장 뛰어난 마술사왕이 누메노르 출신 중 한 명이 아닐까 하는 추측이 있다.
  3. 원작 이외에 게임 등에서 덧붙인 설정에 따르면, 누메노르의 12대 왕 타르-키랴탄의 차남 틴도물(Tindomul, 황혼의 아들, 퀘냐)이며, 에르-무라조르(Er-Mûrazôr, 어둠의 왕자, 퀘냐)라는 호칭이 주어졌다는 비공식 설정이 있다. 이 설정이 유명해서 진짜 원작 설정인 줄 아는 사람도 꽤 된다.
  4. 영화에서 프로도가 칼에 찔리는 그 감시탑(아몬 술)은 바로 이 때 폐허가 된다.
  5. 게다가 하마터면 바라히르의 반지도 없어질 뻔했다.
  6. 이 때 팔란티르를 마술사왕이 빼앗은 것은 인간 연합 쪽에서는 정말 큰 손실이 된다. 그 팔란티르 하나 때문에 사루만이 타락하고, 곤도르 섭정 엑셀리온 2세는 결국 광기에 사로잡히고 말았다.
  7. 에아르누르는 강대한 전사였지만 혈기가 과했는데, 마술사왕은 이 약점을 이용해 일 대 일로 결투를 벌이자고 전갈을 보내온다. 에아르누르는 분노에 가득 차 당장 뛰쳐나가려고 했지만, 섭정 마르딜의 조언에 따라 한 번은 화를 억눌렀다. 하지만 몇 년 후 에아르누르를 비웃으며 또다시 마술사왕이 결투를 걸자, 마르딜조차 말리지 못해 에아르누르는 홀로 미나스 모르굴로 갔다. 그 이후에 에아르누르의 운명이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마술사왕이 - 결투로든 간계로든 - 에아르누르를 제압해 죽였을 것이라고 다들 생각했지만, 왕이 죽었다는 증거가 없었기에 새로운 왕조가 세워지는 대신 섭정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8. 영화를 보면 오스길리아스는 그야말로 폐허가 됐음을 알 수 있다.
  9. 이와 비슷한 언어유희를 셰익스피어맥베스에서 볼 수 있다. 여기서는 맥베스가 여자에게 태어난(born of woman) 사람에게는 위해를 입지 않을 것이라는 예언이 있었는데 끝내 제왕절개로 태어난 남자에게 살해당한다.
  10. 그나마 사악한 힘에 잘 저항하는 호빗이라 살아남았지, 인간이 찔렸다면 몇시간도 버티지 못하고 죽었을 것이라고 한다.
  11. 소설의 묘사에 따르면 그가 죽자 곤도르 주변이 조금 밝아지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고 한다. 전쟁 중에서 그의 존재감을 짐작케 하는 부분이다.
  12. Neo-paganism의 일환으로 유명한 위카Wicca가 여기에서 나왔다. 다만 중세 영어식 발음으로는 위카가 아니라 위챠 정도였다.
  13. 단, 이 우두머리가 마술사왕이 아니라 사우론을 말하는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