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타워

(용두산타워에서 넘어옴)


width=100%

위키백과의 부산타워 사진

1 설명

부산광역시 중구 용두산공원에 있는 관광 이자, 20세기 항도 부산을 대외에 나타내는 핵심 시설[1]이었다. 단 노후화된 오늘날은 광안대교가 21세기의 부산을 대표하고 있다. 부산 지역 명물 중 하나로서 1973년 완성되었으며, N서울타워(일명 남산타워)보다 2년 앞서 준공되었다.

탑의 높이는 120m이다. 이후에 지어진 탑들에 비하면 비교적 높이가 낮고, 자체 편의시설도 없는 순수한 전망탑이다. 관광 상권인 남포동에서 정 가운데 있고, 탑이 세워진 용두산의 높이도 딱 49M 밖에 안 되는 언덕에 불과하다. 실제로 보면 그냥 산책하러 올라가는 장소에 세워놓은 관광물 정도의 느낌이다.

완공 직후의 모습이 나온 부라보콘 광고.

2 특징

꼭대기의 전망대는 경주시불국사 다보탑 지붕에 얹혀 있는 보개(寶蓋)를 본떠 만들었다고 한다. 남산타워처럼 복층 구성인데, 엘레베이터를 타고 올라가보면 꽤 좁다. 내부 인테리어는 물론 편의시설도 삭막하다. 그래서 부산 시민들은 어쩌다 타지에서 온 지인의 가이드 노릇이 아니라면 돈 내고 올라갈 생각이 없다. 밑에 있는 용두산 공원도 그렇고 딱 1980년대 느낌이 남아있는 한적한 시설.

부산의 모든 초등학생들은 토요스쿨패스카드 토요일에만로 할인받을 수 있지만 그래도 요금 내고 들어가야 된다 카더라..

덤으로, 높이로는 상대가 안 되지만 인근에 오픈한 롯데백화점 광복점 옥상도 전망대다. 이쪽은 공짜이긴 한데, 바닷바람이 워낙 세서 감기 걸릴지도 모른다.

덧붙여 "부산타워를 보며 먹는 부산오뎅은 천만금 줘도 아깝지 않다"라는 말도 있다. 남산타워와는 달리 방송용 송신소로 쓰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높이도 낮은데다 근처에 영도 송신소와 천마산 중계소가 있기 때문. 영도 송신소가 라디오 전용 송신소로 전환된 이후로 동구를 제외한 구도심권의 TV 송신은 천마산에서 전담한다.[2]

정작 부산사람들은 부산타워를 그렇게 좋아하지는 않는 듯...그도 그럴 것이, 주변에서 생활하는 사람 입장에선 그냥 길쭉한 하얀 탑이다(…). 맨날 보는데 뭐가 좋아 도심 한 가운데 있는 공원이라서 입지도 나쁘지 않지만, 근처 주민들도 일 년에 한번 올라갈까말까한 장소이다. 남포동에 자주 들르는 사람 아니면 어릴 때 엄마 손잡고 한번 와보고 다시는 안 온다 덕분에 부산타워를 찾는 사람들은 대부분 외국인들이다. 서울타워와 비슷한 취급. 때문에 아래층에 외국인들을 타겟으로 한 관광상품점이 들어섰는데, 김치맛 초콜릿(....) 등 별 특이한 물건을 다 팔고 있다.

멀리서부터 잘 보이는 하얀 탑이 항구도시라는 부산 이미지에도 잘 맞고, 외지인들 입장에선 제법 볼만한 랜드마크이다. 자갈치시장 및 (구)부산항에서는 4블럭 쯤 떨어져 있으며, 바닷가와 가깝기 때문에 부산으로 향하는 크루즈에서도 잘 보인다.

참고로 주민들은 상당수가 용두산 타워 또는 '용두산 공원탑'이라고 부른다. 부산타워라는 명칭보다는, 용두산공원 위에 있는 탑이라고 인식하는 경우이다. 부산타워 앞에 있는 영도대교도 마찬가지인데, 주변 주민들은 영도대교를 영도다리로 부산대교를 영도대교로 바꿔서 호칭하는 경우가 많다. 덤으로 2000년대 넘어서 개발된 신도심 쪽의 어린아이들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3 인접 지형

부산 구도심의 중심에 있는 거대한 전망탑이라서, 옛날 시가지에서 봐야할 경치는 거의 다 보인다. 영도 반대편에 있는 태종대와 동쪽의 해운대 제외 하지만 부산타워 주변은 부산에서 80 ~ 90년대에나 중심지였던 곳이라서, 주변의 지리를 모르고 보면 낡은 시멘트 도심 밖에 안 보인다. 주변 거리가 낡아서, 삭막한 느낌도 든다.(...) 물론 2010년대 이후 롯데백화점 광복점이 들어서는 등 재정비를 해 어느정도 다시 살아나고 있긴 하다만.

해가 떴을 때는 바다 쪽 경치가 좋은 편이다. 자갈치가 있는 부산남항, 컨테이너 박스와 관광선들이 오가는 부산항 방향이 잘 보인다. 날씨가 좋은 날에는 오륙도, 관광객들이 타는 크루즈는 물론이고 바다를 지나가는 화물선도 보인다. 거꾸로, 밤에는 바다쪽이 시커매서 부산대교의 등불과 운행하는 컨테이너선 정도 밖에 안 보인다. 부산지리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도시 쪽의 야경이 볼만하다.

참고로, 해운대구 방향은 부산 특유의 들쑥날쑥 솟아있는 산 때문에 볼 수가 없다. 그쪽 경치를 보려면 황령산을 넘어가야 한다. 어차피 버스도시철도로 20분 정도면 간다(…). 이 때문에 외지인들의 부산 관광은 최소한 1박 2일이라 카더라

구도심 쪽을 본다면, 영도 방향(자갈치-영도-롯데백화점), 서면 방향(초읍-부산역-서면), 보수동 방향(광복동-보수동-중앙공원)으로 각각 경치가 갈린다. 이쪽에서는 낮에 보수산 가운데 솟아있는 민주공원, 그리고 6.25 참전 용사들을 기리는 충혼탑을 볼 수가 있다.[3] 대부분의 관광객들은 외국인도 많고 충혼탑이 있는 민주공원 쪽으로는 잘 가지 않고, 부산타워에서 바라보는 것으로 만족하는 편이다. 충혼탑은 이렇게 생겼다.

4 용두산공원

5 가는 방법

남포동 관광객들의 산책코스이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남포역 1번 출구에서 가깝다. 이 쪽에서 올라가는 길은 경사로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어서 올라가기 편하다. 공원 뒤쪽으로는 남포역에서 한 칸 뒤 중앙역 1번 출구나 5번 출구도 가까운 편.

6 기타

2012년 6월에 소형 등명기가 설치되어 등대 역할을 겸하게 되었다. 관광용 뿐만이 아니라 항구에 드나드는 배들을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고. 관련 기사 한국 최초의 전망탑이자 도시의 이름을 딴 랜드마크에 이어서, 한국에서 제일 높은 등대 타이틀도 겸하게 되었다. 당연하지 애초에 등대가 아니니까

부산타워가 지어지고 십년 뒤, 설계자가 안전에 관한 커밍아웃을 해 충격과 공포를 주었다. 안전에 관한 사항을 모두 고려했기 때문에 매우 안전할 줄 알았는데, 바닷바람은 생각하지 못했다고.(...) 실제로 부산타워를 관람하고 나오는 길에 큰 금속판으로 새겨져있는 제작과정을 보면 기획부터 설계 시공완료가 3개월 밖에 걸리지 않았다. 흠좀무. 근데 용케 버티고 있다

그래서인지 2008년 부산타워를 포함하여 용두산공원 전체에 대한 전면 재개발 계획이 있었으나 주변 상인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다만 지금도 부산타워의 수명 문제와 한국에서 제일 오래된 공원시설 중 하나라는 점 등에서 리뉴얼하자는 이야기는 자주 나온다. 그런데 부산시가 동남권 신공항 문제로 예산이 없고, 개발도 신도심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언제 이뤄질진 미지수.

투니버스에서 아즈망가대왕을 한국어판으로 번안했을 때 학교축제에서 팔려고 부산댁(오사카)이 만든 정체불명의 통천각 인형을 부산타워로 로컬라이징하기도 했다. 로컬라이징이야 필요하다만 닮은 구석이 하나도 없는 통천각을 부산타워라고 우긴바꾼 것이 문제.

2014년까지 모두의 마블에서 부산의 랜드마크였다. 랜드마크 건설! 2016년 기준 부산의 랜드마크는 사직야구장이다.퍽이나

이 주변 지역은 견인단속이 많기로도 유명하다. 특히 주차장 근처 보도블록의 연석을 보면 견인공지문이 잔뜩(...) 붙어 있다. 공원 주차장 근처에 이런 차가 있다면 몇십 분 지켜보자. 경보기비명를 울리면서 질질 끌려가는 차를 볼 수 있다.

입구에 세계선박모형전시관이 있다. 선박 모형 80점을 전시 중이며 입장료는 어른 3천원.
  1. 디지털부산카드 초도발행분의 배경이 부산타워였다. 광안대교가 한창 공사중이던 시절이라 이때만 해도 부산타워가 부산의 핵심 랜드마크로 유효했다. 광안대교가 없던 시절이면 도대체가 언제적 얘기여 하지만 하나로카드의 마지막 발행분엔 당연히 광안대교가 들어가 있다.
  2. 이외에도 부산광역시에는 TV방송을 송신하는 중계소가 여럿 있다. 키스테이션인 황령산을 비롯해서 천마산, 장산, 만덕(금정산), 괴정, 녹산동, 기장군 등…. 이게 다 부산에 산들이 워낙 많기 때문에 산꼭대기에 송신소를 세운 것이다.
  3. 충혼탑은 보수산과 대청산 사이에 걸쳐 있는 민주공원(중앙공원의 부속시설) 한 가운데 있다. 부산, 그것도 구도심에 있는 학교들은 1년에 한 번은 꼭 여기에 학생들을 데리고 가서 참배를 시킨다. 보수산 가운데 있는 민주공원 가운데 있는 충혼탑이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