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황청심원

牛黃淸心元. 우황청심환(~丸)이라는 이름이 더 유명하지만, 우황청심환은 중국에서 사용하는 명칭이며, 동의보감에서 사용하는 우리의 명칭은 우황청심원이다.

우황청심원의 공인된 효능은 뇌졸중(전신불수, 수족불수, 언어장애, 혼수, 정신혼미, 안면신경마비), 고혈압, 두근거림, 정신불안, 급ㆍ만성경풍, 자율신경실조증 그리고 인사불성이다.[1] 즉, 우황청심원(환)은 한약계의 구급약향정신성의약품[2]이라 할 수 있다. 딱 보면 알겠지만, 벤조디아핀계 약물과 흡사한 신경안정제로서[3][4][5], 본래 사향과 수은 화합물인 주사가 들어가는 과격한 비싼 처방으로, 원래는 공부와는 전혀 상관없는 약제이다. 하지만 어쩐지 한국에선 수험생의 어색한 파트너 (...) 취급을 받고 있다. 물론, 주사(!)가 들어간 무시무시한(?) 원방은 신경안정제 따위가 아니라 중풍응급처치약이다. 사향이 빠저서 약빨이 딸리는 주사가 빠진 현대의 우황청심원은 이제 응급신경안정제로 변했으나, 분명히 그 효력이 정신을 향하는 처방이므로, 한의학계의 정신/신경과 약물로 취급되어야 정상으로 보이지만 어쩐지 이곳저곳에서 오남용을 당하고 있다. 오남용당하는 것이 현대 정신/신경과 약물과 똑같다. 원방 우황청심원 잘못 먹고 뻗어봐야 정신을 차리지.

동의보감에 따른 우황청심원의 제조 방법과 재료 그리고 음용법은 다음과 같다.

산약 7돈, 감초(볶은 것) 5돈, 인삼 ·포황(볶은 것) ·신곡(볶은 것) 각 2돈 반, 서각 2돈, 대두황권(볶은 것) ·육계 ·아교(볶은 것) 각 1돈 7푼 반, 백작약 ·맥문동 ·황금 ·당귀 ·방풍 ·주사(수비한 것) ·백출(白朮) 각 1돈 반, 시호 ·길경 ·행인 ·백복령 ·천궁 각 1돈 2푼 반, 우황 1돈 2푼, 영양각 ·사향 ·용뇌 각 1돈, 석웅황 8푼, 백렴 ·건강(싸서 구운 것) 각 7푼 반, 금박 120장(이 중 40장은 겉에 입힌다), 대추 20알(쪄서 살만 발라 짓찧어 고약을 만든다). 열거한 재료들을 그에 맞는 방법으로 각자 가공한 뒤, 가루를 내어 대추고와 졸인 을 섞은 및재료에 넣고 잘 반죽한다. 각 재료를 고르게 섞은 뒤 1냥으로 10환씩 만들어 금박을 겉에 입힌다. 매번 1환씩 따뜻한 물에 풀어 먹는다.

주사와 사향의 압박
어째 처방이 20~50년대의 헤로인(!)이 들어간 감기약스럽다.[6][7]

현재는, 일부 중금속(위에서 말한 "주사", 즉 황화수은)이나 사향노루와 같은 멸종위기인 동물 또는 식물로부터 얻는 성분 따위를 배제하고, 특효한 약효를 대신 할 수 있는 화학적으로 제조된 대체물질을 첨가하여 조제한다. 그러나 서각의 대체재인 수우각은 그렇다 쳐도 사향을 대체하는 것은 천연물이 아닌 L-무스콘...[8]이미 현재 시중에서 시판되는 우황청심원은 원방(元方)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다. 2013년이 되며 백작약 또한 보호종으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원방과 더욱 멀어져가고 있다.

이게 왜 문제냐면, 예를 들어 인삼의 유효성분으로 알고 있는 사포닌은 실은 더덕, , 도라지, 심지어는 각종 봄나물에도 풍부한 물질이다. 그러나 사포닌이 들어있다고 저것들이 다 같은 효과를 내느냐면 당연히 아니다. 천연물을 조합하는 한방 고유의 처방으로 만들면서 약재를 대체하기 위해 특정 유효물질을 넣는다는 것은 이미 본래의 효과를 전혀 담보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시중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으로는 광동과 솔표 두 회사의 점유율이 높으며, 우황(의 대체성분)의 함량에 따라 차등된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정작 핵심인 사향이 빠저있잖아.[9][10] 판매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저가형은 2~4천 원 수준이지만 진짜 우황을 넣은 것은 만 원이 넘는다. 그 외 환제 외에도 복용의 편의를 위해 드링크로 만든 것도 있다.

애초에 동의보감 처방이라 한의사의 처방 없이는 그냥 사먹을 수 없는 게 정상인데, 정작 약국에서도 일반의약품으로 판매되는 경우가 있다. 물론 동의보감에 나왔다고 해서 모두 전문의약품은 아니다. 예를 들면 쌍화탕도 동의보감 처방이지만 그냥 일반의약품으로 판다. 의사의 감독이 필요하거나 부작용이 문제되는 경우에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우황청심원은 그 본래의 용도가 좀 그래서 이게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되어도 되는 지가 좀...

본래 우황청심원은 정신안정제가 아니라 중풍약이므로, 이는 졸도한 사람에게 급히 투여하는 용도이다.[11] 그러나, 정신안정 효과가 있긴 있으되, 약의 기운에 취해서 멍한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잦다.[12] 그러므로, 시험을 치르기 전에 이 약을 먹으면 심신이 과도하게 안정되어 시험에 대한 필수불가결의 요소인 적절한 긴장감을 없앤다. 따라서, 시험을 치르기 전에 조금만 먹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아니, 응급처치용 약을 시험용으로 먹을 생각은 접는 게 낫다.[13]

또한, 혈압이 낮거나 심장병을 앓는 사람이 먹을 경우에는 오히려 건강에 좋지 않을 수가 있다.[14]

구급약 본래의 용도로 보더라도, 중풍이 왔을 때 이미 의식불명이 되었다면 환제를 억지로 먹이는 것은 기도 질식을 부를 수 있어 위험하다. 굳이 의식불명자에게 먹이려면 물에 개어서 먹이거나 액상으로 된 제품을 써야한다. 물론 무엇보다 119 신고를 한 다음 취해야할 행동이다. 그리고, 쇼크에는 절대로 사용하지 말 것[15]을 권장한다.

의 오남용을 조심하자.

한편 우황청심원과 비슷한 용도로 수험생이 찾는 약으로는 천왕보심단이 있다. 약의 성격은 좀 달라서 우황청심원이 몸에 기운이 많은 사람이 열이 넘쳐 중풍이 난 경우에 진정시키는 약이라면, 천왕보심단은 몸에 기운이 부족한 사람이 평소 불안하고 잠을 깊게 자지 못하는 것을 진정시키는 약이라고 한다. 그리고 우황청심원은 구급약이라서 장복하는 약이 아니지만 천왕보심단은 장복도 가능하다고 한다. 이 약 역시 신경안정 효과가 있기 때문에 수험용으로 쓰고자 한다면 시험 전에 필드테스트를 해 보는 것이 좋겠다.

또한, 조선시대제주도가 특산지였다고 한다. (정확히는 주성분 중 하나인 우황. 제주도산 소에 유난히 우황이 많았다고 전해진다.)

조선시대 사신 일행들의 밀무역용 주무기이기도 했다. 인삼 등 다른 수출품과는 달리 부피가 작아 휴대가 간편하고 비상약이라 어느 정도는 가져가도 봐줬기 때문. 어디서든 우황청심환 몇 알이면 무사통과. 연암 박지원선생의 <열하일기>에 의하면 청나라 관리들이 너도나도 우황청심원을 찾았다고 하는데, 이유인 즉 중국에서 우황청심원이라고 파는 것은 죄다 짝퉁이라 영 약빨이 되지 않는데 조선산은 고급이라는 것. 청나라 시절에도 명불허전 메이드 인 차이나!!

90년대 초반, 중국과 국교수립이 이뤄지자 한국인들이 중국에 가서 우황청심환을 가득 사던 일도 있었는데 중국산 원조가 더 낫다고 멋대로 여겼던 것. 그러나 오래가지 않아 짝퉁이 다수라는 게 알려지면서 이걸 사재기하던 이들은 막대한 손해를 보았다.(...)

"청백리로 부자되기"로 김영이란 수령이 제주목사로서 선정을 베푼 다음 피부병을 위장하여 우황이 특효라고 하자 백성들이 소를 잡아(...) 우황을 대거 보내 그걸로 부자가 되었다는 일화[16]먼나라 이웃나라 로 유명한 이원복 교수의 사랑의 학교맹꽁이 서당으로 유명한 윤승운 교수의 맹꽁이 인물열전에 수록.

한편 북한산 우황청심원이 수입되려고 한 적이 있었는데,[17] 중금속 투성이라는 이유로 반입 불가능을 받은 일이 있었다. 이유는 당연하게도 약 안에 들어간 주사 때문이다. 반대로 생각하면 현대의 우황청심원에는 주사가 없다는 이야기고, 대체 약재도 없는 이상 효능은 뭐… 굳이 설명이 필요없다. 그리고 주사란 약재의 용도를 생각하면 진짜로 심각한 발작류의 증상에 응급처치하는 용도로는 당연히 쓸게 못 된다.

정신/신경과 치료를 받는 사람이 이 약을 복용한다면 더욱 주의할 것. 이미 벤조디아핀계 약물이나 베타차단제를 복용하고 있을 터인데, 거기다가 훨씬 과격한 처방을 끼얹으면 뭔 일이 일어날 진 불 보듯 뻔하다. 다만, 어쨌든 응급약이므로, 극도로 견디기 힘든 발작적 증상의 완화를 위해 복용하는 것 정도야 괜찮겠지만, 애초에 이 약은 중풍약이며, 안정효과는 일종의 부작용(...)이다. 우황청심원으로 갑작스럽게 정신/신경과 약물을 씹어먹고 일어난 증상을 넘기는 것이 잦아진다면 이건 애초에 우황청심원으로 때울 것이 아니라, 의사에게 처방을 더 늘리거나 바꿔 달라고 해야 하는 상황이다.(...)
  1. 솔표 우황청심원 제품의 약물 정보에 근거
  2. 준마약류란 의미의 향정신성 의약품이란 소리가 아니라, 효과가 정신을 향하는 의약품이란 뜻에서
  3. 극심한 공황발작에 꽤 그럴싸한 효과를 보인다. 그냥 막 처묵처묵하지 말고, 진짜 죽을 것 같은 수준의 공황발작에 좀 제대로 처방한 우황청심원이 꽤 효과적이다. 발작적인 불안증에는 시중에 파는 엉터리 제품 정도면 충분하며, 그 이상은 과하다. 양극성 장애와 우울장애로 인한 우울증과 조증에는 함부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 물론 시중에 파는 엉터리 처방은 별 문제 없을 듯.
  4. 주사와 사향과 우황이 제대로 들어가는 진짜 원방 우황청심원은 본래의 목적 그대로 응급상황에서만 사용하는 약물로 쓰자.
  5. 어쨌든, 엉터리 재료가 들어갔더라도 이 약은 응급약이고, 현대 정신/신경과에서 해주는 약물반응 관리를 받을 수 없는 만큼 장복하지 말것!
  6. 현대 약학이 충분히 발달하기 이전에 만들어진 서양 처방들을 보면 어째 한약스럽게 조제한 듯한 과격한 처방들이 상당히 많다. (...)
  7. 앞 링크가 그냥 농담 같아도 굉장히 중요한 건데, 현대 의학도 처음부터 이런 형태였던 것이 아니라 한의학스러운 서양 전통 의학이었으나, 그것을 과학적 방법론에 의거해 분석/발전시키면서 현대의 형태가 된 것이라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한의학은 현대 의학에서 분리된 것이 아니며, 한의학이 발전하면 그것은 현대 한의학이 아니라 현대 의학의 일부가 된다.
  8. 이 사향이 들어가는 처방은 대부분 사향이 핵심 약재다. 사향이 약효를 전달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맡기 때문. 사향의 역할이 누락될 경우 해당 처방은 잉여가 된다. 실제로 어떻게 작용하는 지는 과학적 연구가 된 바가 없으니, 사향의 원리는 미지수지만. 사향의 이 핵심인지, 사향을 내는 장기 조직의 구성 성분이 핵심인지도 모르는 마당에 사향의 향의 원인 물질만 집어넣은 것이 원래 의도한 효과를 낼진 미지수다. 혹시 당신이 한의학에서 말하는 사향의 효과가 일어나는 과정을 밝혀낸다면 당신은 노벨 화학상 유력 후보가 될것이다.(...) 뭐 한약재에서 찾아야할 작용 물질과 작용 원리를 밝혀내는 것 자체가 엄청난 업적이겠지만, 사향의 경우 이게 빠지면 잉여가 되는 처방이 허다한 주제에 공급이 거의 사라진 약재이므로 더욱 관심을 사게 될 것이다. 단순히 약재의 성분들의 작용을 강화하는 것이라면 밝혀내기 그나마 쉬울지도? 그게 아니라 매우 복합적인 작용으로 한의학에서 말하는 효과가 겉으로 드러나는 경우라면 연구 난이도는 안드로메다로 가겠지.
  9. 사향이 들어가는 약재는 사향이 없으면 잉여다. 그게 실제로 잉여인지는 미지수지만, 여하튼 한의학적으론 작용 원리의 중추가 빠지는 것이라 잉여다.
  10. 발작류 증상에 대한 응급처치란 면에선 주사가 들어가야 마땅한 약재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요즘 주사를 제대로 수비할 줄 아는 의원양반이 어디 있어? 물론 주사가 실제로 들어간 우황청심원은 진짜로 응급처치용 말고는 쓰지 말아야할 약이 되겠지만.
  11. 그러니까 각종 발작류 증상의 응급처치용이란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신경계에 작용하는 지는 몰라도 여하튼 신경안정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도대체 무슨 신경에 작용하는 지는 알 게 뭐야.
  12. 이런 작용을 보면 신경전달물질을 억제하는 것 같기도...? 일단 이 약에는 수비한 주사가 들어간다.
  13. 아무리 현대의 우황청심원은 주사 같이 과격한 약재는 안 들어간다지만 용도에 심하게 벗어난 용도로 약을 먹는 건 당연히 미친 짓이다!
  14. 안 좋을 수 있는 게 아니라 안 먹는 걸 원칙으로 삼는 게 당연하다. 우황청심원의 효과를 보면 신경 흥분을 가라앉히는 식의 작용을 하는 듯한 약인데, 이런 류의 약을 심장 질환이 있거나 저혈압이 있는 사람이 복용하는 건 신경계 관련 약물을 함부로 복용하는 것과 다를 게 없다.(...) 아니 애초에 이 약은 목적 부터가 신경계 관련 약인데?
  15. 쇼크와 뇌졸중을 구분할 수 없다면 절대로 쓰지 말아야 한다.
  16. 다만 백성들이 선정을 베푼 사또를 위해 주는 거니 돈 안 줘도 된다고 한 걸 반드시 제 값 받겠다고 하여 제주 시세로 제 값 다 치르기는 했다. 속인 것 가지고도 청백리 맞아 소리가 나올 소지가 있는데 돈까지 제대로 안 치르면 그것만 봐도 청백리라 할 수 없지. 그걸 한양 시세로 팔아 돈을 번 것. 그냥 주겠다고 할 정도로 선정 베풀고 우황을 얻는 과정에서 백성들을 손해 안 보게 했으니 국왕(정조라고 나온다)이 문제 없는 걸로 본 모양이다.
  17. 지금도 중국 여행을 하면 가끔 북한산을 파는 곳이 있다. 참고로 북한산에는 진짜 사향이 들어간다... 물론 짝퉁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