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에서의 입체 교차에 대해서는 입체 교차로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열차의 충돌이나 진로 방해를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철도 노선이 입체적으로 교차하는 방식.
통행량이 많지 않은 곳에서는 굳이 돈을 더 들여가면서까지 입체 교차를 만들 필요 없이 평면교차로도 충분하지만, 구로역같이 수시로 열차가 지나다니는 곳에서까지 평면교차로 선로를 분기하려 든다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로 옆의 구로삼각선을 보면 답이 나온다.
이외에도 두 노선의 통행 방식이 서로 달라 중간에 꽈배기굴을 만드는 경우[1]나 복복선에서 선로별 복복선과 방향별 복복선 사이의 전환을 위하여[2] 입체 교차를 짓는다.
2 예시
- 수도권 전철 1호선 구로역 ~ 구일역, 가산디지털단지역
600px |
- 구로역 인근의 입체 교차. 철도 동호인 사이에서는 구로IC라고 부르기도 한다.[3]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구로역 ~ 구일역, 가산디지털단지역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입체 교차이다. 경부선과 경인선 완행, 급행선이 교각을 통해 입체교차한다. 한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철도 입체교차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동묘앞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4]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 지선이 본선 아래를 터널로 입체 교차한다.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 : 지선이 본선 아래를 교각 아래로 입체교차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금정역 : 안산선이 1호선 위로 산본역 방향으로 입체 교차한다.
- 천안직결선
- 미전선
- 서울 지하철 5호선 강동역 : 마천지선이 본선 아래를 터널로 입체교차한다.
- 수도권 전철 4호선 남태령역~선바위역 : 열차의 통행방식과,전력공급방식을 바꾸기위해 입체교차하면서 절연구간[5]이 되었다
- 경부고속선 오송역 : 호남고속선이 분기한다.
- 경부고속선 신경주역 : 동해선이 분기한다. 2015년 현재 신경주역 이북에서 서울 방향으로만 입체 교차한다.
- 야마노테선과 케이힌토호쿠선 시나가와역에서 타바타역구간 : 야마노테선과 케이힌토호쿠선이 선로별 복복선에서 방향별 복복선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케이힌토호쿠선의 북행[6]선이 야마노테선의 두 선로 위로 입체교차한다. [1]참조.
3 여담
-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과거
어거지로라도평면교차를 통해 용산~왕십리~광운대행 열차를 회기역에서 처리하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개통하면서 아예 용산~왕십리~회기쪽 노선을 중앙선으로 분리개통한 것은 회기역에 입체교차 시설을 만들만한 자리가 없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