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야구에서의 기록
프로야구에서 한 시즌 동안 30 홈런과 30 도루를 동시에 기록한 선수들을 가리키는 용어. 하위 버전으로 20-20 클럽, 상위 버전으로 40-40 클럽이 존재한다.
이 기록 자체 만으로도 상당히 희소성을 가진다. 보통 거포인 타자가 발이 느리고, 발이 빠른 타자는 똑딱이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폭발적인 장타력과 함께 빠른 발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호타준족 형의 선수들의 상징과도 같은 기록이다.
메이저리그에는 2014년까지 총 54번이 기록되어 있고(40-40 기록 포함), 배리 본즈나 알렉스 로드리게스, 블라디미르 게레로, 알폰소 소리아노 등 한 시대를 풍미한 호타준족들이 한 번 이상씩은 달성했다.그런데 이 4명 중 3명은 약쟁이 다만 신인 자격으로 달성한 선수는 2012년의 마이크 트라웃이 유일하다.
KBO 리그에서는 1996년 현대 유니콘스의 박재홍이 신인시절 처음으로 달성하였고, 2000년 박재홍 이래 2015년 에릭 테임즈가 가입할 때 까지 15년간 명맥이 끊겨 있었다.
그 이유로는 선수 개인이 호타와 준족을 모두 갖추는게 힘들고 타자의 역할 분업화가 점점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도루같은 기록에서 선수들에게 돌아가는 실익(보너스 등)이 적은지라 어느순간부터 선수들이 기록보단 부상과 계약에 신경을 많이쓰기 시작했기 때문이란 분석도 있다. 심지어는 과거 30-30에 성공한 어떤 국내 선수는 “돈 되는 것도 아닌데 앞으로 이런 거 안하겠다”고 말한 경우도 있다고 한다.
참고로 일본프로야구에서는 3할 타율까지 동시에 기록할 경우 트리플 쓰리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와모토 요시유키, 벳토 카오루, 나카니시 후토시, 미노다 코지, 아키야마 코지, 노무라 켄지로, 가네모토 도모아키, 마쓰이 가즈오, 야마다 테츠토[1], 야나기타 유키까지 단 10명이 달성한 성역의 기록이다. 2002년 마쓰이는 2루타도 46개를 기록하여 쿼드러플 쓰리를 달성하였다.[2]
한국에서는 30-30 클럽 중 1996년과 1998년의 박재홍의 기록을 빼고는 전부 트리플 쓰리 조건을 만족한다.
30-30클럽에 100타점-100득점인 100-100 클럽을 합친 30-30-100-100클럽도 있는데, 2015년 현재로서는 2000년의 박재홍과 2015년의 에릭 테임즈 2명이 이에 해당된다.
1.1 이 기록을 달성한 선수들
- '기록' 란의 빨간 글씨는 그 선수가 당해 해당 부문에서 1위를 기록했음을 뜻한다.
구분 | 연도 | 선수 | 소속팀 | 기록 | 비고 |
1 | 1996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30홈런 - 36도루 | 2관왕(홈런&타점)&신인왕&골든글러브 |
2 | 1997 | 이종범 | 해태 타이거즈 | 30홈런 - 64도루 | 골든글러브 유격수 최초 |
3 | 1998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30홈런 - 43도루 | 개인 2번째 달성 골든글러브 |
4 | 1999 | 홍현우 | 해태 타이거즈 | 34홈런 - 31도루 | 2루수 최초 |
5 | 이병규 | LG 트윈스 | 30홈런 - 31도루 | 골든글러브 | |
6 | 제이 데이비스 | 한화 이글스 | 30홈런 - 35도루 | 외국인 최초 | |
7 | 2000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32홈런 - 30도루 | 개인 3번째 달성 |
8 | 2015 | 에릭 테임즈 | NC 다이노스 | 47홈런 - 40도루 | 외국인 2번째 달성 1루수 최초 역대 최소 경기 달성[3] KBO 유일무이 40-40 달성 4관왕(타율&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2 프로축구에서의 기록
현역 기간 동안 하나의 리그[4]에서 30골-30어시스트를 달성했을 때를 말한다.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모따도 현역 8년만에 K리그 30-30 클럽에 가입할 정도로 엄청나게 어려운 기록. 상위 기록으로는 10골 10어시스트가 추가될 때마다 40-40부터 60-60 클럽까지 존재한다.[5]
보통 이 기록의 하위버전인 20-20 기록과 비교하자면 그 가치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차이가 커서 이 기록을 달성하면 축구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된다.
이유인즉 이는 리그에서의 지속적인 공격력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데, 한 시즌에서 반짝거리고 끝나는 게 아니라 꾸준히 활약하였음을 증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 이 선수는 한 시즌만에 30-30 클럽을 달성한 예외 중의 예외
2.1 역대 K리그 30-30클럽 가입자
- 01. 이흥실: 1991년 05월 15일
- 02. 고정운: 1994년 10월 26일
- 03. 라데: 1996년 08월 22일
- 04. 이상윤 : 1996년 08월 31일
- 05. 김현석: 1996년 10월 19일
- 06. 윤상철: 1997년 04월 09일
- 07. 신태용: 1998년 06월 06일
- 08. 신홍기: 1999년 08월 11일
- 09. 노상래: 1999년 10월 02일
- 10. 데니스: 2001년 10월 21일
- 11. 마니치 : 2001년 06월 17일
- 12. 박태하: 2001년 07월 01일
- 13. 정정수: 2001년 10월 13일
- 14. 고종수: 2002년 09월 04일
- 15. 샤샤: 2003년 08월 03일
- 16. 김도훈: 2003년 11월 05일
- 17. 우성용: 2006년 05월 05일
- 18. 황연석: 2006년 07월 19일
- 19. 남기일: 2007년 04월 07일
- 20. 김대의: 2007년 06월 16일
- 21. 이관우: 2007년 08월 25일
- 22. 김은중: 2008년 05월 03일
- 23. 김기동: 2008년 09월 13일
- 24. 에닝요: 2009년 10월 11일
- 25. 이동국: 2010년 07월 17일
- 26. 최태욱: 2010년 08월 21일
- 27. 모따: 2011년 06월 27일
- 28. 염기훈: 2011년 09월 24일
- 29. 황진성: 2012년 04월 22일
- 30. 데얀: 2012년 08월 22일
- 31. 몰리나: 2012년 11년 15일
- 32. 이천수: 2013년 08월 10일
- 33. 산토스: 2016년 04월 24일
- 34. 황일수: 2016년 06월 26일
3 관련 항목
- ↑ 2015, 2016 시즌 연속 달성. NPB 유일 기록이다.
- ↑ 참고로 범위를 30-30클럽만으로 넓하면 1963 시즌의 장훈역시 30-30을 달성했다.(.280 33홈런 41도루). 하지만 '트리플 쓰리'를 강조하는 일본에서는 잘 언급되지 않는듯.
- ↑ 112경기.
- ↑ K리그는 컵대회 포함.
- ↑ 아직까지 70-70 클럽은 전인미답의 경지로 남아있다. 또한 아래 단계인 60-60 클럽 가입자도 네 명밖에 없다. 실력이 실력이지만 나이와 부상, 군문제와 해외 진출 등 변수가 워낙 많은 탓이다. 2015년 시점에서 70-70에 가장 가까운 선수는 전북의 이동국뿐이다.(에닝요도 가능했지만, 2015년 시즌 중반 퇴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