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종간부후보생

(갑종장교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국군 장교 임관 과정
사관생도과정육군사관학교해군사관학교공군사관학교육군3사관학교국군간호사관학교
사관후보생과정학군사관학사사관단기간부사관군사학과
전문사관과정의무사관수의사관법무사관군종사관교수사관ADD 장교
기타과정기본병과장교특별임관현지임관사이버국방학과
폐지된 과정갑종장교육종장교제2사관학교군사영어학교호국군사관학교

1 개요

대한민국 국군에 존재했던 장교양성제도. 갑종장교라고도 하며, 줄여서 갑종이라 부르기도 한다.
의 영원한 동생친구 도 있었는데, 을종간부후보생은 오늘날의 부사관인 하사관을 양성하는 제도였다.

2 역사

육군보병학교에서 '갑종간부후보생' 교육을 받은 장교 자원으로, 1950년 7월 15일 1기가 임관한 이래 1969년 8월 30일 갑종 마지막 기수인 제 230기가 임관하기까지 총 4만5424명이 임관하였다. 전시에는 약 24주 교육기간으로 운영되어 육군종합학교와 함께 전시 단기 장교 양성을 담당하였다.

이들은 6.25 전쟁베트남 전쟁 당시 많은 피를 흘렸는데, 6.25 전쟁 3년간 약 1만 500명의 장교들이 전선에 나가 2000여명이 전사하였으며, 베트남 전쟁 당시에는 참전한 총 장교 2만 2000여명 중 1만 4700여명이 갑종 장교 출신이었다. 특히 갑종간부후보생 1, 2기 출신들은 교육기간 도중 한국전쟁이 발발했기 때문에 이들 중 일부는 임관도 하기 전 후보생 신분으로 전선에 투입되어 전사한 자원도 많았으며, 수료증조차 받지 못한 사람들도 많았다. 참고 기사

여담으로 참고 기사에 언급된 갑종장교단중앙회 회장 박희모(육군 중장 예편) 장군12.12 쿠데타 당시 반란군 측에 협력한 당시 제30보병사단이었고, 갑종장교 1기 대표인 하소곤(소장 예편) 장군은 당시 진압군 측에 있던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으로, 수경사헌병단장이었던 신윤희가 이끄는 장태완 장군 체포조의 한영수 대위가 쏜 총에 맞고 이후 강제전역당했다. 둘이 저런 자리에서 만나는 것도 참 어이없을 듯.

2006년 11월 17일 갑종 222기 출신이었던 육군대장 권영기 장군(당시 제2야전군사령관)이 퇴역하면서 갑종 출신은 현역에서 완전히 은퇴했다. 그러나 육군제2사관학교육군제3사관학교의 설치와 함께 폐지되었기 때문에, 계보상으로는 현 육군3사관학교의 전신에 가깝고, 그와 동시에 현 학사사관후보생이나 단기간부사관과 비슷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여러모로 현재의 양성과정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3 진급

해방과 한국전쟁 당시에는 국군 자체적으로 장교 인력들이 많이 부족했기에 갑종장교도 많이 뽑았고, 게다가 육사 초창기부터 10기까지는 4년제 출신도 아니어서 오늘날과 같은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갑종장교 출신이라고 육사 출신에게 기죽을 이유가 없었다.

물론 이 때문에 같은 육사 출신이라 해도 4년제 육사와 2년제 육사는 차별이 극심해서, 후배들이 선배들을 뛰어넘어 진급하는 것이 일상다반사 였다. 그래서 전두환을 필두로 한 4년제 육사 첫 졸업생 패거리였던 하나회 멤버들이 정권 잡기 전인 1970년대까지만 해도 갑종출신들은 장성급에도 잘 진급하고 꽤나 요직에 있는 경우도 많았다. 물론 그후로 갑종은 천대받아 "갑종 출신으로 별 달았다"면 정말 드물고 대단한 케이스로 취급되게 되었다.

갑종장교 출신 중 약 200여명이 장성으로 진급했고, 이들 중 5명은 대장에까지 올랐다. 갑종 장교 중 6.25 전쟁이나 베트남 전쟁 등 참전 용사들이 많았기에 이들은 육군사관학교 출신 다음가는 대접을 받았고, 육사 다음으로 장성에까지 오른 인원도 많은 편이었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압도적으로 많은 육사 출신 장성수에 비하면 매우 적은 편이었지만… 특히 12.12 군사반란이후 전두환하나회 중심으로 장군 자리를 정리하면서 갑종출신은 이후 천대를 받게 된다. 그래도 1990년대까지 육사 다음으로 많은 장성 자리를 차지한 장교가 갑종출신이었다.

4 문제점

지원자 중 고졸 이상인 자는 갑종으로 분류하여 소위로, 중졸 이하는 을종으로 분류하여 을종은 일등중사로 임관시켰는데, 장교부사관의 역할이 다른데도 불구하고, 같은 훈련을 받고 학력을 차별해서 임관시킨다는 것은 상당히 큰 문제점이다. 현재에도 학사장교부사관후보생들의 교육 기간은 얼추 비슷하지만, 분명 훈련 교과목 편성 자체는 상당히 다르다. 미군의 예로 대졸자에 상병 계급 부여 같은 예시가 있으나, 저 경우는 고학력자에 대한 일종의 학력인정에 따른 혜택이지, 부사관으로 임관시켜준 것이 아니다. 부여되는 계급도 스페셜리스트로, 부사관 대우를 받는 코퍼럴이 아니다. 다만 상병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미 부사관에 해당하는 병장으로 고졸보다 진급을 빨리 할 수 있을 뿐이다. 어쨌든 당시 고학력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했고 군 체계가 자리를 잡지 못한 과도기에서 볼 수 있었던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과도기 치고는 너무 오랜 기간 시행된 감이 없지는 않지만…

5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