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규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파일이 없음
건국훈장
대한민국장(重章) 수여자
강우규김구김규식김좌진
김창숙민영환서재필손병희
신익희쑨원쑹메이링안중근
안창호여운형오동진윤봉길
이강년이승만이승훈이시영
이준임병직장제스조만식
조병세조소앙천궈푸천치메이
최익현한용운허위박정희

姜宇奎
1855년 7월 14일1920년 11월 29일

1 개요

한국독립운동가, 한의사. 1920년 3대 조선총독으로 부임하였던 사이토 마코토가 탑승한 마차에 폭탄을 투척하여 저격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여 그 해 66세를 일기로 서대문형무소에서 사형되었다. 평안남도 덕천군 출신.

2 초기 생애

1855년 7월 14일(음 6월 1일) 평안남도 덕천군 무릉면 제남리에서 가난한 농가의 4남매 가운데 막내로 태어났다. 본관은 진주, 호는 왈우(曰愚)이다.[1]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누님 집에서 성장하였고, 청소년기 친형에게 한학과 한방 의술을 익혀 생활의 방편으로 삼았다.

하지만 전통적 학문으로는 개항 이후 점증하는 사회의 근대화 요구를 실현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점차 개화사상으로 기울어졌고 개신교 장로교에도 입교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집안 어른들과의 갈등도 생겨 1883년에 함경남도 홍원으로 이주하였다고 한다. 홍원에서 흥원 읍내 남문 앞 중심지에서 한약방을 경영하여 상당한 재산을 모았다. 이를 기반으로 읍내에 사립학교와 교회를 세워 신학문을 전파하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등 민족 계몽운동을 전개한다.[2]

3 독립운동 투신

1910년 8월 경술국치로 인해 독립운동에 참여할 것을 결심한다. 1911년 봄 북간도 화룡현 두도구로 망명하였고, 이후 만주와 연해주 일대를 순방하면서 박은식·이동휘·계봉우 등 애국지사들과 만나 독립운동 방도를 모색하여 갔다.

1915년 우수리강 대안의 길림성 요하현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북만주에 위치한 이곳은 남만주와 연해주를 연결하는 지리적 요충지였다. 강우규는 이곳에 한인 동포들을 불러모아 새로운 마을을 만들어 신흥동(新興洞)이라고 명명하였다.[3] 이 곳에 광동학교를 세워 청소년의 민족의식을 고취하려 노력하였다.

4 투탄의거와 순국

1919년 전국적인 3.1운동이 일어나고 강우규 역시 독립에 대한 희망을 갖지만, 세계열강으로부터 민족의 독립을 승인받지 못하고 그해 5월을 넘기며 점차 소강상태에 빠져들자 위기감을 느낀 강우규는 당시 일제가 무단통치에서 문화 통치로 식민정책을 변경하고자 조선총독을 교체하는 것을 보고 새로 임명될 조선총독을 처단하기로 결심한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만난 러시아 군인으로부터 영국에서 제조하였다는 수입폭탄을 구입한 다음에 몰래 휴대하여[4] 입국한다.

8월 초부터 서울 안국동 김종호에 머물면서 신임 총독의 부임 정보를 탐문하던 강우규는, 신문 보도를 통해 8월 12일 사이토 마코토(齋藤實)가 신임 총독에 임명되어 9월 2일 부임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후 신문에 난 사이토의 사진을 오려 가지고 다니면서 그의 얼굴을 익혔다고 한다. 사이토 부임 전인 8월 28일부터 남대문역[5] 부근의 여인숙으로 거처를 옮겨 매일같이 역전에 나아가 지형지물을 면밀히 답사ㆍ조사하면서 투탄 위치를 탐색하는 등 주도면밀 하게 거사를 준비하였다.

거사 당일인 9월 2일, 남대문 밖 중국음식점에서 간단히 식사를 한 강우규는 남대문역에서 미리 보아둔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오후 5시 부임식을 마치고 막 관저로 떠나는 사이토의 마차를 향해 폭탄을 투척한다. 그러나 폭탄이 빗나가 뒷 차를 맞히면서, 정무총감인 미즈노와 뉴욕 시장의 딸이었던 해리슨 부인, 그밖에 호위 군경, 취재기자, 조선총독부 관리 등 37명에 중경상을 입혔고 정작 사이토는 옷이 약간 불에 탔을 뿐 상처를 입지는 않았다.[6][7]

여기서 혼비백산하는 군중들 사이로 빠져나온 강우규는 다시금 의거를 계획하나 9월 17일 자신의 가회동 하숙집에서 순사 김태석에 의해 붙잡히면서 1920년 2월 25일 경성지방법원으로부터 사형을 언도 받는다.

이후 자신의 폭탄에 휩쓸린 취재기자들에 대해 폭탄의 위력을 몰랐다고 항변한 강우규는 자신의 아들에게 "내가 죽는다고 조금도 어쩌지 말라. 내 평생 나라를 위해 한 일이 아무것도 없음이 도리어 부끄럽다. 내가 자나 깨나 잊을 수 없는 것은 우리 청년들의 교육이다. 내가 죽어서 청년들의 가슴에 조그마한 충격이라도 줄 수 있다면 그것은 내가 소원하는 일이다."라는 말을 남기고서 그해 11월 29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한다.

한편 강우규는 사형집행 당시 감상이 어떠하냐는 일제 검사의 물음에 "단두대 위에 서니 오히려 봄바람이 이는구나. 몸은 있으되 나라가 없으니 어찌 감상이 없겠는가(斷頭臺上 猶在春風 有身無國 豈無感想)."라는 시를 남긴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5 서적 등 관련자료

6 기타

400height=600px
2011년 9월에는 구(舊) 서울역 광장에 강우규 의사 동상이 건립되었다. 이 때문에 강우규 의사가 구 서울역 역사를 배경으로 의거를 했을거라는 생각을 하기 쉽지만, 실제로 강우규 의사의 투탄의거 당시인 1919년 남대문 역사는 건평 15평 수준의 조악한 목재 가건물이었고, 구 서울역사는 의거 이후인 1922년 착공되어 1925년 준공된 건물이다.

참고

박경리토지 2부에서 등장한다. 의료활동을 했던 행적을 따라서 '강 의원'이라고 등장하며 토사곽란에 시달리는 주갑이를 치료해 주며, 주갑이는 강우규를 따라서 만주의 독립운동에 참가하게 된다. 작중 유일한 실존인물이기도 하다.

  1. 간혹 일우(日愚)라고 표기되어 있는 곳도 있으나, 왈우가 맞다.
  2. 이는 "우리 집에서도 몇 차례 이동휘 선생을 모셨다."고 하는 얘기를 들었다는 손녀의 기억에도 드러나듯이, 당시 관서·관북 지방민들의 존경을 받던 이동휘의 영향이 컸다.
  3. 이렇게 이름을 지은 것은 이곳에서 한민족을 새롭게 발흥시키려고 하였기 때문이었다.
  4. 이를 위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원산으로 오는 선편에서 폭탄을 기저귀처럼 다리 사이에 차고 들어왔다고 한다.
  5. 현재의 서울역. 참고로 서울역의 이름은 경부선 철도가 개통될 때인 1900년 남대문역으로 출발하여 1923년 경성역이 되었다가 1947년 서울역으로 변경되어 지금에 이른다.
  6. 한편 사이토는 조선총독 재임 후 1932년 일본 총리대신 자리에 오르지만, 1936년 2.26 사건으로 파시스트 청년장교들에게 살해되고 만다.
  7. 이때 일본 경찰들은 강우규를 체포했다가 '설마 이 노인이...'라는 생각에 풀어줬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