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도전 골든벨에서 출연한 학교 및 방영된 실패한 골든벨 실패자를 나열한 항목이며, 골든벨 실패자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이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50번 골든벨 문제
-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하여 참가한 학교의 최후의 1인은 선택한 문제의 남성 MC가 각 색의 통 속의 문제에서 교장선생님께서 전달하여 여자MC가 교장선생님께 마지막 문제를 출제한다.
- 마지막 골든벨 문제 유형은 색을 선택산 문제 유형이다.
- 마지막 골든벨 문제의 난이도는 최고수준에 달한다.
2.1 50번 골든벨 문제 유형(색) 선택
- 과거 (1999년 1월 8일 ~ 2014년 12월 28일) : 도 (빨간색), 전 (노란색), 골 (파란색), 든 (하얀색), 벨 (초록색)을 선택한다.
- 현재 (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 현재: 도 (남색), 전 (빨간색), 골 (회색), 든 (보라색), 벨 (진한 보라색)을 선택한다.
3 골든벨 실패 목록
첫출연 학교 실패자(◎) | 재도전 학교 실패자(◇) | 3번 이상 재도전 학교 실패자(◆) | 골든벨 실패 왕중왕 우승자(☆) | 골든벨 실패 준왕중왕 준우승자(★) |
◎ : 첫 출연 실패 학교
◇ : 2회 출연 실패 학교
◆ : 3회 출연 실패 학교
☆ : 골든벨 실패 왕중왕 우승자
★ : 골든벨 실패 준왕중왕 준우승자
3.1 골든벨 실패자 학교 지역과 연도별 골든벨 실패수
- 1998년 10월 16일에 접속 신세대를 시작하여 1999년 1월 8일 도전! 골든벨 코너의 첫방송을 시작한 이래
- 현재까지 재도전 학교는 63개교이며(10학교는 골든벨을 실패한 상태에서 재도전),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실패가 나온 경우는 17개 학교이다. 3번 이상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실패가 나온 경우는 2개 학교이다. 2명 이상 골든벨 실패가 나온 경우는 1개 학교이다.(전북 전주 호남제일고등학교는 2명 실패)
- 역대 골든벨 명예의 전당 실패자는 154명 학생, 131개 학교이다.
- 현재까지 한 회에서 2명의 도전자가 최후의 1~2인이 도전한 학생은 단 1회로 전북 전주 호남제일고등학교(여학교) - 여학생 2명 탈락하여 2인 동시 탈락하여 기록한 학교이다.
3.2 1999년
3.2.1 접속! 신세대 코너 시절(6회)
3.2.2 단독 편성(1회)
3.3 2000년(7회)
3.4 2001년(5회)
3.5 2002년(3회)
3.6 2003년(7회)
회차 | 날짜 | 학교명/편성명 | 실패자(학과 및 학년) | 선택(색) | 비고 |
171 | 4월 27일 | 서울 한국삼육고등학교 | 이종률(3학년,101번) | 역사문제(노란색) | [4] |
172 | 5월 4일 | 제주 신성여자고등학교 | 김은나(3학년) | 문학문제(하얀색) | 제주지역 첫 골든벨 실패 |
174 | 5월 18일 | 제주 남녕고등학교 | 변성욱(3학년) | 과학문제(파란색) | 제주지역 2번째 골든벨 실패 |
176 | 6월 1일 | 경기 포천 동남고등학교 | 김선혜(2학년) | 역사문제(노란색) | |
183 | 7월 27일 | 대구여자고등학교 | 김송은(3학년) | 벨(초록색) | |
186 | 8월 17일 | 부산 성일여자고등학교 | 마영실(3학년) | 전(노란색) | |
195 | 10월 19일 | 충남 서산여자고등학교 | 양지해(3학년) | 전(노란색) | |
3.7 2004년(4회)
3.8 2005년(9회)
3.9 2006년(17회)
3.10 2007년(9회)
3.11 2008년(7회)
3.12 2009년(12회)
3.13 2010년(10회)
3.14 2011년(9회)
3.15 2012년(7회,2인 1조 한팀이 탈락) [64]
3.16 2013년(8회 - 역대 최초로 2명 동시 골든벨 도전 실패)
3.17 2014년(3회) [84]
3.18 2015년(19회 - 역대 1위, 역대 2번째로 특집편에서 2명 동시 탈락)
3.19 2016년(16회~현재)
3.20 2017년
대수 | 실패자(출신학교/학과/학년) | 학교명/편성명/특집명 | 선택(색) | 회차 | 날짜 | 비고 |
| ( 학년) | 고등학교 | ( 색) | | 월 일 | |
3.21 2018년
대수 | 실패자(출신학교/학과/학년) | 학교명/편성명/특집명 | 선택(색) | 회차 | 날짜 | 비고 |
| ( 학년) | 고등학교 | ( 색) | | 월 일 | |
3.22 2019년
대수 | 실패자(출신학교/학과/학년) | 학교명/편성명/특집명 | 선택(색) | 회차 | 날짜 | 비고 |
| ( 학년) | 고등학교 | ( 색) | | 월 일 | |
3.23 2020년
대수 | 실패자(출신학교/학과/학년) | 학교명/편성명/특집명 | 선택(색) | 회차 | 날짜 | 비고 |
| ( 학년) | 고등학교 | ( 색) | | 월 일 | |
4 골든벨 실패자 분포(160명 실패 학생 기준, 133개 실패 학교 기준)
4.3 성별
4.4 학교 구성
4.5 학교 유형
학교 유형 | 학교 수 |
일반고(2) | 137 |
전문계고 | 12 |
합계 | 149 |
4.6 학년별
학년 | 학년 별 학교 수 |
1학년 | 19 |
2학년 | 61 |
3학년 | 74 |
합계 | 154 |
4.7 참고사항
- 특집방송분, 고등학교만을 대상으로 한다.
- 같은 지역에서 2학교 이상이 실패한 회차는 1회로 처리한다.
- 2번 이상 재도전하여 실패한 학교는 첫번째로 출연한 경우만 들어간다.
- 지역 연합은 1학교로 처리한다.(과학고 특집, 독서 골든벨이 연합해서 한 특집 제외)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도전 골든벨/각종 기록들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 이동 ↑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의 골든벨 실패
- 이동 ↑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의 마지막 골든벨 실패
- 이동 ↑ 독립 편성으로서의 최초로 골든벨 실패
- 이동 ↑ 유일하게 101번을 달고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50번 골든벨 문제 영어의 우리말로 번역한 문학 문제
- 이동 ↑ 8개 중 1개가 틀려서 차이로 아쉽게 탈락
- 이동 ↑ 마지막 50번 문제에서 동물에 관한 문제에서 답이 학(x) 글자가 아니고 원앙(o)이 정답이므로 아쉽게 탈락
- 이동 ↑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로 2005 왕중왕전 우승
- 이동 ↑ 첫 도전에서 참가한 전북 정읍 정주고등학교가 아쉽게 답을 적지 못해 골든벨 등극 실패
- 이동 ↑ 서울특별시 실업고 학교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 이동 ↑ 천광호(서울 선린인터넷고등학교 교장) 50번 골든벨 문제 출제
- 이동 ↑ 안철진(교장선생님) 50번 골든벨 문제 출제
- 이동 ↑ 관동대학교에서 촬영
- 이동 ↑ 강원도 관동지역 고등학생이 이 학교에 참가
- 이동 ↑ 한동관(관동대학교 총장) 50번 골든벨 문제 출제
- 이동 ↑ 장세원(경북 칠곡 왜관 순심고등학교 2학년,최후의 2인, 오답자(오답: ))의 저주'라고 불려졌으며, 방송에서는 해당 말이 나오지 않았음
- 이동 ↑ 역대 최초로 최후의 2인 중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오답으로 1명 탈락
- 이동 ↑ 방송 시간 관계상 마지막 과학문제에서 탈락
- 이동 ↑ 김영석(교장선생님) 50번 골든벨 문제 출제
- 이동 ↑ 5개 밖에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 이동 ↑ 하늘에 계신 외할아버지도 보고싶은 이예빈(2학년) 학생
- 이동 ↑ 답을 적지 못함
- 이동 ↑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최초로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이동 ↑ 답을 적지 못함
- 이동 ↑ 역대 2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실패
- 이동 ↑ 400회 특집 전국고교최강전
- 이동 ↑ 최영희 국가청소년위원회 위원장 출제
- 이동 ↑ 2주 연속 실패
- 이동 ↑ 과학 광우병 문제
- 이동 ↑ 두가지 답을 적는 문제
- 이동 ↑ 마지막 문제에서 제목과 저자를 적는 문제
- 이동 ↑ 마지막 문제에서 이영재(2학년)은 노자밖에 못써 아쉽게 탈락
- 이동 ↑ 미확정
- 이동 ↑ 답을 적지 못함
- 이동 ↑ 답을 적지 못함
- 이동 ↑ 과학문제 미확정
- 이동 ↑ 3주 연속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최후의 1인 이미란(3학년)은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답을 적은 호메론(x)가 아닌 오페론(o)이 정답으로 아쉽게 탈락
- 이동 ↑ 가족들로 응원(엄마,남동생)등도 참석했다.
- 이동 ↑ 명문사학으로 청주상업고등학교(舊)가 청주대성고등학교로 (現) 교명 변경
- 이동 ↑ 답은 버나드 쇼인데 아쉽게 탈락
- 이동 ↑ 2주 연속 실패
- 이동 ↑ 50번 골든벨 문제의 도전자의 답은 이인의 딜레마(x)가 아닌 수인의 딜레마(o)로 아쉽게 탈락
- 이동 ↑ 2주 연속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이동 ↑ 답을 적지 못함
- 이동 ↑ 2주 연속 실패
- 이동 ↑ 역대 3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역대 4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역대 최초로 재도전 학교에서 2번이상 골든벨 실패
- 이동 ↑ 답을 적지 못함
- 이동 ↑ 역대 5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역대 2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2번이상 골든벨 실패
- 이동 ↑ 역대 6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최초로 100번째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이동 ↑ 재도전으로 참가한 서울 청량고등학교(◇)에서 여자인터뷰 많이 함
- 이동 ↑ 재도전으로 참가한 서울 청량고등학교(◇)에서 아쉽게 83대 골든벨 등극 실패
- 이동 ↑ 재도전(◇)에 참가하여 83대에 등극할 경우 김윤영(3학년) 양 학생이 교장선생님이 매점을 만들겠다고 생각했는데 등극 실패로 매점 만드는 것의 꿈은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 이동 ↑ 역대 7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역대 3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2번이상 골든벨 실패
- 이동 ↑ 참가한 서울 금옥여자고등학교에서 1번문제에서 여자인터뷰 못함
- 이동 ↑ 최후의 1인 최나경(3학년)은 조선일보에 나온 학생이다.
- 이동 ↑ 취업을 희망하는 특성화고 학생들이 출연했다.
- 이동 ↑ 차다혜 아나운서 새 MC
- 이동 ↑ 2012년 모두 남학생 7명, 여학생가 골든벨 도전에 실패하지 않았다.
- 이동 ↑ 2012년 왕중왕전 준왕중왕
- 이동 ↑ 최후의 1~2인이 2명이 50번 문제까지 가서 1명만 탈락하여 오답자 김양원(학과 미상 3학년)(오답-편적 현상)의 저주라고 불린다.
- 이동 ↑ 역대 2번째로 최후의 2인 중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오답으로 1명 탈락
- 이동 ↑ 그 뒤 충남외국어고등학교에서 최후의 2인에 등극한 학생은 2012 왕중왕 등극
- 이동 ↑ 역대 8번째로 재도전 학교가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2인 1조 한 팀이 탈락
- 이동 ↑ 차다혜 아나운서 마지막 여자 MC
- 이동 ↑ 서울 보인정보산업고등학교가 보인고등학교로 교명 변경,상업계에서 일반고로 전환
- 이동 ↑ 역대 9번째로 재도전 학교가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수지세포(x)가 아닌 수지상세포(O)로 한글자 차이로 아쉽게 탈락
- 이동 ↑ 역대 10번째로 재도전 학교가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골든벨 울린 학교중 최초로 재도전한 학교이다
- 이동 ↑ 역대 11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답을 적지 못함
- 이동 ↑ 2명 모두 탈락
- 이동 ↑ 골든벨 울린 학교 중 2번째로 재도전한 학교이다.
- 이동 ↑ 역대 12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전주리 아나운서 새 여자 MC
- 이동 ↑ 역대 13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2014년 모두 여학생 3명 - 남학생이 골든벨 도전에 실패하지 않았다.
- 이동 ↑ 수원지역 2번째 골든벨 실패
- 이동 ↑ 답을 적지 못함
- 이동 ↑ 예술고등학교 최초로 출연
- 이동 ↑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카타르시스(x)가 아닌 스탕달 신드롬(o)으로
- 이동 ↑ 2015년 새해 첫 골든벨 도전 실패
- 이동 ↑ 2015년 새해 첫 방송에서 아쉽게 탈락
- 이동 ↑ 남학교는 217일만에 출연
- 이동 ↑ 2주 연속 실패
- 이동 ↑ 남학교는 2주연속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골든벨 3주연속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역대 14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역대 4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2번이상 골든벨 실패
- 이동 ↑ 2015년 왕중왕전 최후의 5인
- 이동 ↑ 답을 적지 못함
- 이동 ↑ 유일하게 단독으로 최후의 1인에 도전하여 50번 골든벨 문제 아쉽게 탈락
- 이동 ↑ 2주 연속 단독 최후의 1인
- 이동 ↑ 2주 연속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1번문제에서 여학교가 여학생 인터뷰 못함
- 이동 ↑ 답을 적지 못함
- 이동 ↑ 여학생 2회 연속
- 이동 ↑ 참가하여 골든벨 문제에 실패한 경기 고양 저현고등학교는 패자부활 축하공연이 없었다.
- 이동 ↑ 여학생 4회 연속
- 이동 ↑ 여학생 6회 연속
- 이동 ↑ 참가하여 골든벨 문제 실패 학교의 여학교이다,
- 이동 ↑ 여학생 7회 연속
- 이동 ↑ 역대 15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쌍둥이 골든벨 도전 실패(그외)
- 이동 ↑ 추석특집으로 전남 신안군 도초도에서 촬영했다.
- 이동 ↑ 67대에 이어 동명이인이 나올 뻔 했다.
- 이동 ↑ 도전자의 답:언문회지(x) 정답:한글모 죽보기(o)로 아쉽게 탈락
- 이동 ↑ 재도전으로 참가한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도전자의 답:스태그 디플레이션(x) 정답: 골디락스(o)로 아쉽게 탈락
- 이동 ↑ 역대 16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도전자의 답: 밤(x) 정답: 위대한 정오(o)로 아쉽게 탈락
- 이동 ↑ 김해지역 여학교 2번째 실패
- 이동 ↑ 최후의 1인에 도전한 조수연(디지털정보과 2학년)은 '전'(빨간색) 선택으로 도전자의 답은:산결표(x)가 아닌 정답:산경표(o) 답으로 한글자 차이로 아쉽게 탈락
- 이동 ↑ 최후의 1인 조수연(디지털정보과 2학년)이 방송에서 학과명를 표기하지 않았다.
- 이동 ↑ 마지막 문제에서 도전자의 답:(저자,제목을 쓰는 답) 아리스토텔레스 - 소크라테스 진술서 (x) 정답: 플라톤 - 소크라테스의 변명 (o)으로 아쉽게 탈락
- 이동 ↑ 올해 여학교 5회 실패
- 이동 ↑ 통영지역 3번째 골든벨 실패
- 이동 ↑ 이때부터 2015년 12월 13일부터 2016년 7월 24일까지 224일여(7개월 24일)동안 여학교가 출연하지 않았다.
- 이동 ↑ 얼마 안된 개교한 학교인데 성별은 남학교이다.
- 이동 ↑ 마지막 문제에서 제목,저자를 적는 문제인데 아쉽게 탈락
- 이동 ↑ 유일하게 이주하(1학년)은 여학생이 답을 적지 못함
- 이동 ↑ 안산지역 2번째 골든벨 실패
- 이동 ↑ 참가하여 실패한 초지고등학교는 학교 홈페이지에서 알리지 않았다.
- 이동 ↑ 전북지역 남학생은 1,470일여(4년 10일)만에 실패
- 이동 ↑ 전북지역 남학생 골든벨 도전 실패
- 이동 ↑ 결국 특집편에서만 등극에 만족해야만 했다.
- 이동 ↑ 27대에 이어 동명이인이 나올 뻔 했다.
- 이동 ↑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답을 적은 프라임(x)가 아닌 모멘텀(o)이다.
- 이동 ↑ 9대 골든벨 김수영(학과 미확정 3학년)에 이어 아쉽게 여수지역 실업계가 나올 뻔했다.
- 이동 ↑ 2016년 올해 안산지역 2번째 골든벨 실패
- 이동 ↑ 안산지역 3번째 골든벨 실패
- 이동 ↑ 2016년 남학교 3번 골든벨 등극 실패
- 이동 ↑ 역대 최초로 3번 이상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용인 지역에서는 11년(4017일) 만에 2번째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역대 최초로 3번 이상 재도전 학교에서 출연
- 이동 ↑ 역대 세번 이상 3번째로 재도전 학교 에서 2번째로 골든벨 실패
- 이동 ↑ 벨(진한 보라색) 선택
- 이동 ↑ 최후의 2인 중 학과 표기를 하지 않았다.
- 이동 ↑ 답을 적은 격언(x)이 아닌 아포리즘(o)
- 이동 ↑ 3번 이상 참가하여 실패한 경남 진주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는 학교 홈페이지에서 알리지 않았다.
- 이동 ↑ 끝내 답을 적지 못해 "문과라서 죄송해요"라고 적은 최후의 1인
- 이동 ↑ 답은 "태양 폭풍"으로 아쉽게 탈락
- 이동 ↑ 역사 통일 골든벨 편에서 역대 2번째로 골든벨 실패
- 이동 ↑ 경북 지역에서는 1년 4개월(503일) 만에 골든벨 실패
- 이동 ↑ 역대 17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마지막 문제의 답은 파상풍(x)가 아닌 말라리아(O) 아쉽게 탈락
- 이동 ↑ 역대 18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광주 지역에서는 5년 9개월 (2,070일) 만에 골든벨 실패
- 이동 ↑ 최후의 1인 임민석(1학년)의 답은 시장의 개척(x)이 아닌 정답은 창조적 개척(o)로 아쉽게 탈락
- 이동 ↑ 역대 19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작년 한글날 특집 이어 올해도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2016년 골든벨 실패 15회 최다 기록
- 이동 ↑ 한글날 특집에서 같은 학교 골든벨 문제 실패
- 이동 ↑ 장영준 학생은 장승연 학생의 남동생, 사상 최초 남매가 최후의 2인으로 남음
- 이동 ↑ 답을 적지 못함
- 이동 ↑ 두 명 이상의 골든벨을 실패한 지역은 (2)로 표시한다.
- 이동 ↑ 역대 골든벨 실패 중 경기도지역 최다 실패 1위 기록
- 이동 ↑ 역대 골든벨 실패 중 서울특별시지역 최다 실패 2위 기록
- 이동 ↑ 전북지역은 남학교에서만 총 8회 골든벨 문제에 실패한 학교도 있다.
- 이동 ↑ 전북지역은 골든벨의 주인공이 많이 실패한 적이 있는데 염소의 저주와 유사하긴 하지만 50번 문제까지 간 학교도와 실패한 적도 있다.
- 이동 ↑ 2013년 한 회에서 여학생이 최후의 2명이 골든벨 문제에 아쉽게 실패
- 이동 ↑ 역대 골든벨 실패 중 전라북도지역 최다 실패 3위 기록
- 이동 ↑ 광주광역시는 여학생이 골든벨 문제에서 실패하지 않았다.
- 이동 ↑ 2015년 한 회에서 특집편의 2015 재중동포 골든벨 재중동포학생이 최후의 2명이 골든벨 문제에 아쉽게 실패
- 이동 ↑ 연도별에서 두 명 이상의 골든벨을 실패한 지역은 (2)로 표시한다.
- 이동 ↑ 2인 1조의 1팀(남자1명,여자1명)에서 골든벨을 실패한 조는 (1팀)로 표시한다.
- 이동 ↑ 접속! 신세대에서 6명 실패
- 이동 ↑ 단독 편성에서 1명 실패
- 이동 ↑ 경남 통영여자고등학교 같은 학교에서 실패 2회
- 이동 ↑ 역대 최소 3명 실패
- 이동 ↑ 2005년 왕중왕전에 등극한 이묘진은 경기 과천여자고등학교가 등극했는데 골든벨 문제 실패한 학생이다.
- 이동 ↑ 역대 최초로 골든벨 실패
- 이동 ↑ 역대 최초로 최후의 2인 도전중 1명 탈락
- 이동 ↑ 역대 2006년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최다 꼴찌 2위기록
- 이동 ↑ 400회 특집 - <전국고교최강전>에서 골든벨 문제에서 아쉽게 탈락
- 이동 ↑ 2009년 새해 첫 골든벨 도전 실패
- 이동 ↑ 2009년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아 여학생 4회 실패 기록
- 이동 ↑ 2005년 첫도전에서 전북 정읍 정주고등학교의 같은 학교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이동 ↑ 2011년 새해 첫 골든벨 도전 실패
- 이동 ↑ 2006년 첫실패에서 특집편에서 강원 강릉여자고등학교의 이후 출연학교에 따라 같은 학교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이동 ↑ 최초로 100번째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이동 ↑ 2006년 첫도전에서 서울 청량고등학교의 같은 학교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이동 ↑ 모두 남학생
- 이동 ↑ 역대 2번째로 최후의 2인 도전중 1명 탈락
- 이동 ↑ 모두 남학생,2인 1조(남자1명,여자1명)탈락
- 이동 ↑ 2012년 방송할때 여학생이 한번도 골든벨을 실패하지 않았다.
- 이동 ↑ 2012년 충남외국어고등학교편에서 골든벨문제에 도전한 최후의 2인 중 김양원(졸업생)이 아쉽게 탈락하여 2012년 왕중왕 등극
- 이동 ↑ 1년 4개월만에 여학생 실패
- 이동 ↑ 여학생 2명 모두 동시 탈락
- 이동 ↑ 역대 최초로 2인 동시 실패
- 이동 ↑ 2번째로 최소 3명 실패
- 이동 ↑ 모두 여학생
- 이동 ↑ 2014년 방송할때 남학생이 한번도 골든벨을 실패하지 못했다.
- 이동 ↑ 2015년 새해 첫 골든벨 도전 실패
- 이동 ↑ 1월 4일 ~ 1월 18일 3주 연속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이동 ↑ 1년 2개월 만에 남학생 실패
- 이동 ↑ 역대 최다 19회 실패
- 이동 ↑ 특집편에서 그외에서 최후의 2인 중 의 남자.여자 2명 모두 탈락
- 이동 ↑ 역대 2번째로 2인 동시 실패
- 이동 ↑ 2009년 첫도전에서 전남 여수 부영여자고등학교의 같은 학교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이동 ↑ 역대 2015년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최다 꼴찌 1위기록
- 이동 ↑ 2015년 골든벨의 주인공이 많이 19번에 실패한 적이 있는데 염소의 저주와 유사하긴 하지만 50번 문제까지 간 출연 학교도와 실패한 적도 있다.
- 이동 ↑ 2016년 남학생이 12회 실패
- 이동 ↑ 2016년 골든벨 실패 16회 최고 기록
- 이동 ↑ 역대 세번 이상 3번째로 재도전 학교 에서 2번째로 골든벨 실패한 적이 있다.
- 이동 ↑ 2016년 실업계 학교 3번째로 50번 골든벨 도전 실패
- 이동 ↑ 2016년 남학교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5회(첫도전3회,재도전2회)
- 이동 ↑ 2006년 재도전에서 3번 이상 재도전한 인천 송도고등학교의 같은 학교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이동 ↑ 두 명 이상의 골든벨을 실패한 여학생은 (2)로 표시한다.
- 이동 ↑ 같은 성별(남자/여자)에서 2번 이상 실패한 경우는 1회로 처리
- 이동 ↑ 2016년 10월 2일 임민석(광주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1학년) 현재 남학교 마지막 실패자
- 이동 ↑ 2016년 10월 9일 박장민(충남 천안 복자여자고등학교 1학년) 현재 여학교 마지막 실패자
- 이동 ↑ 같은 학교에서 2번 이상 실패한 경우는 2회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