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술

말(馬)을 타는 기술에 대해서는 승마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魔術 / Magic

1 개요

그리고 파이어볼
상식적인 판단으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되거나 기묘한 현상으로 보이는 트릭이나 환상을 자연적인 방법들을 사용해 관객들에게 공연함으로서 관객을 즐겁게 하는 공연 예술. [1]

본래 마법이라는 단어와 같이 인간의 상식이나 이치로는 설명할 수 없는 신을 일으키는 행위를 일컫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공연 예술로서의 마술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기 때문에, 본래의 초자연적 현상이라는 의미보다 트릭을 이용해 초자연적으로 보이는 현상을 인위적으로 연출해내는 방법이라는 의미로 더 많이 사용되고는 한다.

대부분의 마술은 트릭과는 관계가 없는 다른 행동에 관객의 시선을 유도하여, 트릭에서 눈을 돌리게 해서 눈치채지 못하게 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이것을 미스디렉션(Misdirection)[2]이라고 한다. 미스디렉션에 대해 간단한 예를 들면, 손바닥에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보여준 마술사가 갑자기 주머니 속에 손을 집어넣는다. 관객들은 모두 그 손에 시선이 집중된다. 그런데 마술사는 아무 것도 아니라는 듯 손수건을 꺼내서 얼굴을 닦는다. 여기서 관객들은 놀람이 사라짐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인식이 흐려지는데, 마술사는 이 때 손수건 안에 든 마술도구를 꺼내고 있는 중인 것이다. 이처럼 마술에서 과장된 행동이나 실수(또는 실수처럼 보이는 행동)들은 모두 계산된 행동이다.[3]

1.1 오해

마술은 범죄가 아니다. 하지만 일부 마술사들이 무대가 아닌 다른 곳에서 불순한 목적으로 자신의 마술을 마술이 아닌 신비스러운 무언가처럼 속이다 발각되는 사례가 있었다. 때문에 대중에게 '마술은 사기' 라는 잘못된 인식이 퍼진 적도 있었으며, 더 나아가 마술을 사기에 이용하는 나쁜 사람들도 있었다.

예를 들어 마술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마술이 아닌, 초자연적인 그 무언가인 양 위장해 무지한 사람들에게서 금전을 갈취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돈 나오는 컵'이라든가. 무슨 도깨비 방망이도 아니고 또한 심리학과 마술을 결합해서 "자칭" 영매, 초능력자, 독심술사 같은 사례들이 많았다. 독심술의 경우 심리학으로 대강 추정이 가능한 정보를 늘어놓으니 100% 사기는 아니라지만, 뒷조사+마술로 알아낸 거라면 영락없는 사기다.

공연을 하고 돈을 받았다면야 관람료, 즉 노동의 대가이다. 하지만 위에서 보듯이 불순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게 문제. 마술사들 역시 마술이 범죄에 이용되는 걸 막기 위해 자체적으로 단속을 하고 있으며, 그 유명한 예로 제임스 랜디가 있다.

여담으로 이러한 오해를 살짝 가미해서 마술의 트릭을 좀 과장한 오락 영화로 나우 유 씨미: 마술사기단이 있다.

1.2 역사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직업 중 하나가 마술사라는 이야기가 있다. BC 2500년에 기록된 '웨스토커 파필루스'에 따르면 이집트 제4왕조 시대에 왕궁에서 마술사의 공연이 있었다는 기록이 존재한다. BC 5000년 경의 이집트 피라미드에서도 마술에 관련된 기록이 발견된 바 있다. 인류 최초의 마술은 이집트에서 행해졌다고 보여진다.

마술은 전 세계적으로 행해졌다. 그리스-로마 시대에도 행해졌고, 고대 인도와 중국에서도 마술이 행해졌다는 기록이 존재한다.[4] 그러나 아쉽게도 동양의 마술은 고대 이후로 크게 발전하지 못해 그 명맥을 근근히 이어오는 수준에서 그쳤다.

마술은 근대에 들어 크게 발전하게 되었다. 과학 기술이 발전했기 때문에, 여러 도구나 설비를 이용한 규모 있는 마술이 고안되었다. 마술이 발전함에 따라 곡예와도 구분되는 독자적인 영역을 가지게 되었다. 18세기에는 큰 규모의 마술이 가능해짐에 따라 무대 마술이라는 것이 등장하게 되었다. 20세기에 들어 마술은 급속하게 발전했다. 수갑을 채우거나 사슬로 몸을 묶어서 상자나 수조 속에 들어가 짧은 시간 안에 탈출 또는 벗어나는 탈출 마술, 관객이 보는 앞에서 자동차코끼리를 없애 보이는 마술, 사람을 트렁크 속에 넣어 다른 사람으로 바꿔치기하는 마술, 회전 톱으로 인체를 절단하였다가 다시 붙이는 마술 등의 근대의 기계 기술이나 기구를 이용한 대규모적인 마술이 등장했다. 거기에 심령술의 유행에 따라 붐을 일으킨 예언, 텔레파시, 독심술과 같은 형태를 가진 멘탈 매직이라는 분야 역시 활성화되었다. 이렇게 현대의 마술사들은 매우 넓은 범위의 마술을 해 보이고 있다.[5]

1.3 관람 에티켓

마술사가 마술을 시연할 때 공연에 집중하지 않고 오로지 트릭만을 알아내려고 애쓰는 사람들이 있다. 유독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권 나라에 많다고는 하지만, 외국도 마찬가지다. 국적이나 인종이 어쨌건 궁금해하고 트릭을 알아내려고 고민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허나 이 경우는 마술을 관람할 때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에티켓을 지키지 않는 것이다. 마술은 그 자체가 공연이므로 공연을 즐겨야지, 트릭을 밝히려고 애를 쓴다면 이는 공연 중에 난동을 부리는 거나 마찬가지이며 더 나아가 영업 방해가 될 수도 있다. 같은 마술사라면 그 짓 못 할텐데

보통 마술사들은 트릭을 들키지 않기 위해 많은 시간을 들여 연습한다. 또한 연습하는 시간 이상으로 관객들을 즐겁게 하기 위한 노력도 게을리 하지 않는다. 이렇게 관객을 즐겁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연하는 마술사의 공연을 보며, 트릭만을 알아내려고 하는 것은 매너가 아니기에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 마술사의 마술은 허술하지 않아서, 그들의 트릭을 눈치채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마술사의 입장에서는 트릭을 알아내기 위해 마술사가 애써 준비한 공연에 집중하지 않는 것보다는, 그 순간을 보고 놀라고 신기해하면서 즐겨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트릭을 알아내려고 마술사의 손길에만 집중하는 사람은 공연을 관람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즐거움을 포기하는 것이며, 입 밖으로 트릭에 대한 의심을 꺼내는 순간 마술을 보고 있는 다른 사람들의 집중까지 흩어 버리는 경우가 된다. 이것은 영화관에서 대놓고 스포일러를 하는 사람 정도의 민폐이기도 한 것이다. 특히 코난이

사실 위의 이유로, 현 시점 대한민국 방송계에서 마술의 위치는 관객들 반응이 극단적으로 심하게 갈리는 장르 중 하나가 되었다. 남녀노소 모두가 마술을 좋아하긴 하지만, 여자들은 마술 그 자체로 즐기는 반면 대부분의 남자들은 특등 방해꾼 (...) 최현우가 쓴 책을 보면 공연중 남자들을 보면 하나같이 팔짱을 끼고 어디 한 번 속여봐 라는 자세로 있다고 한다. 트릭 알아내서 뭐하게. 나는 가수다처럼 탈락시키려고? 무슨 권한으로?

동양과 서양 사이에 마술을 관람할 때의 태도가 달라서 종종 논란이 일기도 한다. 이런 논란을 제기하는 사람들은 주로 서양 측인데, "동양 사람들은 마술할 때 맨날 꺅꺅 소리 지르나? 그냥 가만히 앉아서 보면 안 되나?"라는 것. 그런데 이건 딱히 어느 쪽이 옳다의 문제가 아니라 노래방 같은 데에서 보듯이 종특국민성의 차이에 따른 현상일 뿐이다. 다만 FISM과 해외 마술사의 초대, 마술 관련 프로 등이 나타나면서 이런 반응은 많이 사그라든 편이다.

1.4 저작권

저작권까지는 아니지만 마술사들 사이에서의 불문율이 존재한다. 마술사가 이미 있는 마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마술을 만든 마술사에게 허가를 받고 마술을 사용해야만 한다는 불문율이다. 만약 다른 마술사가 개발한 트릭이나 연출을 무단으로 가져다 사용하게 된다면 다음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첫째로 표절에 대한 윤리적 비난. 둘째로 법적 소송. 셋째로 마술사 세계에서의 징계와 제명조치다. 물론 지인에게 가볍게 보여준다거나 하는 건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정식 공연 또는 동영상을 찍어 인터넷에 업로드하는 등의 행동은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

마술사 사이에서의 관례는 그렇다고 해도, 법적인 문제는 어떻게 될까. 한국저작권위원회의 답변에 따르면 마술의 트릭은 저작권이 적용되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이것은 아이디어-표현 이분법이라는 것과 연관이 된다. 이것은 단순한 아이디어는 저작권 보호의 대상이 되지 못하며, 이것을 매체로 표현할때만 저작권법의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마술의 트릭 자체는 저작권법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해당 트릭을 책 혹은 영상 등의 표현물로 표현한 렉쳐만이 저작권법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즉 다른 사람의 렉쳐를 무단 배포하는 것은 불법이나, 그 렉처에 나온 트릭을 이용해 허락을 맡지 않고 공연을 하거나 다른 렉처를 만드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이라고 보기에는 어렵다는 것이 한국저작권위원회의 해석이다. 그러나 한국저작권위원회는 유권해석기관이 아니며 위 내용은 법원의 판단과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길 바란다.

또한 각각의 마술에 특허가 등록된 걸로 아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마술은 특허의 전제조건인 발명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연법칙을 이용한 것이 아닌, 단순한 인간의 기능일 뿐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트릭을 특허 출원하게 되면, 해당 마술의 모든 비밀을 출원서류에 상세하게 설명해서 공개해야만 한다. 마술은 기밀을 생명으로 여기는 분야이기 때문에 특허 출원은 어렵게 된다.

쉽게 예를 들자면, 한 일급 요리사의 조리를 보고 그대로 따라하여 한없이 비슷한(거의 같은) 음식을 만들어 판매한다면, 이게 욕을 먹을지언정 저작권에 저촉되는 행위는 아니다. 단 일급 요리사가 펴낸 요리 레시피 책을 자신의 것인양 이익을 취한다면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행위이다.

결론적으로 마술은 하나의 "기술"이나 다름없으므로, 간단히 다뤄서는 안 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2 배우는 방법

마술 강의 DVD나 교재를 렉처(Lecture)라고 한다. 가격은 저렴한 렉처의 경우 1~2만 원, 비싼 렉처의 경우 10만 원이 넘는 렉처도 있다. 렉쳐와 마술사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특수한 마술 도구를 같이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종류의 렉쳐의 가격은 때때로 수십만원을 호가하는 경우도 있다. 해외에서는 매 해 렉처나 도구들을 서로 사고파는 박람회가 열리기도 하며, 마술 대회가 열릴 때는 업자나 마술을 개발한 마술사 본인이 도구를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마술을 배울 수 있는 마술 학원이 매우 드물고, 마술 동아리 등의 커뮤니티에서도 배우는 데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마술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렉처와 도구를 구해 새로운 마술을 배우고 연습한다. 초보적인 마술의 경우 유튜브나 마술 사이트에 무료로 렉처가 올라와 있다. 이 무료 렉쳐만 잘 이용해도 지인에게 보여줄 수준의 클로즈업 마술을 익힐 수 있다.

TV에서 마술의 트릭을 밝히는 프로그램을 방영한 적도 있다. SBS에서 방영한 호기심 천국에서 본래 얼굴을 알 수 없도록 변장한 마술사 타이거 마스크[6]가 출연한 해외의 TV 프로그램을 수입해서 방영했다. 마술의 트릭을 대중에게 공개하는 것은 마술사의 불문율에 위반되나, 해외의 프로그램이기에 크게 문제된 적은 없었다.[7] KBS의 쇼 프로그램 스펀지에서는 마술의 비밀을 공개한다며 마술사들의 사전 동의 없이 여러 마술들의 트릭을 공개하는 바람에 물의를 빚기도 했다.

3 종류

여러가지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마술을 구분할 수 있다. 보통은 마술을 구경하는 관객의 규모와 공연 장소에 따라, 시연해 보이는 마술의 종류도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나누곤 한다.

3.1 클로즈업 매직

  • 클로즈업 매직은 소수의 관객을 대상으로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선보이는 마술이다.

가깝다고는 하나 보통 테이블을 앞에 두고 하므로 스트리트 매직에 비해서는 관객과 거리가 떨어져있는 편. 사람이 많은 대회의 경우 카메라와 빔 프로젝터를 이용해 테이블 위를 관객들에게 영상으로 보여준다. 동전, 카드, 손수건 따위의 소품들을 활용하는 마술이 적합하다. 가장 기본적인 형식의 마술이며 마술을 배우는 사람들이 무대에 서면 십중팔구 첫 무대는 클로즈업으로 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얕볼 수 없는 것이 일단 관객과의 거리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어설픈 마술사는 트릭을 간파당하기 매우 쉽다. 그런 만큼 손재주와 관객의 시선을 끄는 능력 등 기초적인 역량이 중시되며 제스처 하나도 어색하지 않게 연습을 많이 해야 한다. 또한 클로즈업의 경우 관객들과의 소통이 가능한데, 이것이 가능한 것을 넘어 거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어 대사를 제대로 치지 못하면 마술이 재미가 없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마술에서는 "기술 20%, 멘트 80%"라고 할 정도로 멘트가 굉장히 중요한 하나의 스펙으로 작용한다.

3.2 팔러 매직

  • 팔러 매직은 본격적으로 무대에 올라오게 되지만 비교적 소규모의 무대에서 클로즈업 매직과 비슷한 양식으로 진행하는 마술이다.

클로즈업의 장점과 스테이지의 장점을 합쳤다고도 말하기도 하고 클로즈업의 한계와 스테이지의 한계를 합쳤다고 말하기도 하는, 호불호가 갈리는 장르. 동네의 바나 소규모 극장, 학예회 등에서 벌어지는 마술쇼들과 일부 사람들이 많이 모인 스트리트 매직이 이에 해당된다. 마술사는 관객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무작위로 관객을 끌어내서 마술에 참여시키도록 하는 등 관객과 소통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무대가 미리 갖추어져 있기에 가까이서는 트릭이 보일 수 있는 간단한 장치를 이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그러나 사람들과 비교적 떨어져 있는 편이므로 가까이서 보여줄 수 있는 조그만 도구들- 즉 카드, 동전 등의 사용은 불가능하다. 카드와 동전이 마술을 가장 처음 배우는 사람이 접하는 것인 만큼 이 도구들을 쓰지 못한다는 것은 초보자들에게는 큰 한계로 다가오곤 한다.

3.3 스테이지 매직

  • 스테이지 매직은 미리 준비된 대형 무대를 바탕으로 마술사가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마술을 진행하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들을 꼽으라면 비둘기 마술, 빈손에서 끊임없이 카드를 뽑아내는 카드매니플레이션[8], 사람을 자르거나 없애거나 공중부양시키는 등의 일루전이 있다. 관객의 수는 적게는 50~100명, 많게는 몇천 명까지도 가능하다. 대사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음악을 틀어놓고 마술을 진행한다. 대규모의 마술쇼의 경우 관객과 마술사 사이의 거리가 멀고 또 조명이나 음향효과를 빌려 눈속임을 취할 수도 있지만 생각치 못한 곳에서 애로사항이 꽃피곤 한다. 예를 들어 재미있는 점을 한 가지 말해보자면 스테이지 매직을 촬영한 영상을 보면 어떠한 하나의 임팩트가 나온 뒤 마술사가 관객 쪽을 1~2초정도 응시하거나 관객 쪽으로 손을 뻗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행동을 취하지 않으면 관객들이 박수를 치지 않는다(...) 신기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언제 박수를 쳐야할 지 모르기 때문. 이렇게 박수 하나까지 유도해줘야 하기 때문에 은근 신경쓸 곳이 많다. 또한 거리가 멀어 마술사의 온몸이 한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관객의 시선을 마술사 본인이 원하는 곳으로 돌리기가 매우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테이지 매직을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이유는 앞의 다른 장르가 그냥 신기하고 "재밌는" 느낌이라면, 스테이지 매직은 환상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스테이지 매직의 가장 큰 장점은 온갖 장치와 아이디어를 이용해 마술사가 생각할 수 있는 모든 환상을 현실로 빚어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장 결정적으로 필요한 것은 마술사의 기발한 발상과 능력이 주가 된다.

3.4 스트리트 매직

  • 스트리트 매직이란 길거리에서 마술을 시연하는 것으로 클로즈업 매직과 비슷하게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탁자 등을 미리 준비해 사용할 수도 있고 그냥 그 자리에 서서 마술을 진행할 수도 있다. 가장 핫한 지역은 낮에는 대학로, 밤에는 홍대와 명동. 주로 보여주는 마술들은 클로즈업 매직에서의 마술과 비슷하며, 길거리에서 사람이 많아질 경우 팔러 매직을 하기도 한다. 하는 방법은 간단한데, 지나가는 사람, 또는 서있는 사람, 앉아있는 사람 등 할일 없어 보이는 사람들에게 접근해 대뜸 마술을 보여줄 수도 있고, 술집이나 음식점 사장님들의 허락을 받고 테이블에 앉아있는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도 있으며 클럽에서도 할 수 있다. 말 그대로 어디서나 하는 마술.[9] 마술사가 도구를 꺼내는 곳이 곧 그 마술사의 무대가 되므로, 마술사는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과 관객들의 특성[10]을 잘 파악하고 그에 따라 다른 마술, 다른 멘트 등을 준비해야 한다. 마술을 보여주기 위해 먼저 가서 말을 걸어야 하므로 처음 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많은 용기가 필요해, 초보자들로서는 자신감을 키우기 위해 꼭 해봐야 할 것들 중 하나다. 마술 보여주겠다고 기껏 접근했는데 퇴짜맞는 일도 빈번하지만(이 퇴짜율은 관객을 고르는 선구안(?)이 늘 수록 그리고 마술사가 잘생기거나 이쁠수록 줄어든다) 술집을 잘 돌아다닐 경우 꽤 많은 팁을 받기도 한다. 돌발적인 행동을 하는 관객의 비율이 가장 높아 마술사의 임기응변과 관객 장악력이 가장 크게 필요한 마술이며, 스트리트 매직을 오래 하면 관객을 자기 손아귀에 놓고 가지고 놀 수 있을 정도의 장악력을 지니게 된다. 소극적인 사람들에게 마술을 추천하는 이유 중 하나.

3.5 성격에 따른 분류

보통 위의 분류의 하위에 존재하는 소분류로, 클로즈업 매직의 하위 분류에는 클래식한 동전 마술과 카드 마술부터 시작해서 일상에서 볼 수 있는 펜, 반지, 고무줄, 신발끈, 명함 등을 이용한 생활마술,[11] 포크를 구부리거나 물건을 움직이는 초능력 위주의 연출을 하는 사이코키네시스 혹은 멘탈 매직, 사이코키네시스와 비슷하지만 귀신 등을 스토리에 집어넣는 심령 마술, 스테이지에는 특정 소품을 활용해서 손재주와 연출을 활용해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 매니퓰레이션, 수조나 밀폐된 상자 안에서 빠져나오는 탈출 마술, 사람을 잘랐다 붙이고 공중에 띄우고 건물이나 동상 등을 사라지게 만드는 일루젼 등의 하위 분류가 존재한다.

그 외에도 마인드 트릭이라고 해서 심리학을 마술에 적용시킨 것을 특화한 장르도 있다. 마인드 트릭와 멘탈리즘이 주 특기인 마술사를 멘탈리스트라고 부른다. 데런 브라운이 유명한 멘탈리스트이다. 마인드 트릭은 멘탈 매직과는 다른데, 그 이유는 전통적인 멘탈리즘은 심리학과는 별개의 체계로서 발전했기 때문이다.

성격에 따른 분류는 때로 애매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것이, 위에 말했듯 동전 마술은 일종의 생활 마술이라고 볼 수도 있고, 같은 마술이 연출에 따라 개그 마술이 될 수도 있고 초능력 마술이 될 수도 있고 사람 여럿 울리는 심령 마술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여러 연출을 합치는 일종의 크로스오버가 가능하다.

4 FIS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s Sociétés Magiques. 영어로 쓰면 International Federation of Magic Societies, 해석하면 "마술사 협회 국제연맹" 쯤 된다. 마술 올림픽/월드컵처럼 3년마다 열리며, 가장 최근의 행사는 2015년, 이탈리아의 리마니에서 열린 대회이다.

역사는 1937년프랑스 파리까지 올라가는데, 이 당시엔 ASAP(Association Syndicale des Artistes Prestigitaeurs, 요술가 협회)로서 시작했고 자체 월간지까지 두고 있었다. 이 모임의 부회장인 쥘 도텔 박사(Dr. Jules Dhotel)는 1939년 10월에 이 조직을 국제적으로 확대시켜 매년마다 마술사들끼리 교제를 갖고자 했다. 그러나 한 달 전인 1939년 9월에 나치스가 폴란드를 침공,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중단됐다. 그러나 전후인 1946년, 암스테르담의 호텔에 유럽에서의 마술사 300여 명이 모여서 강의와 전시회, 공공 시연회 등을 가졌다. 그 당시엔 각각 부문을 나누지 않고 한 부문에만 시상을 하되 수상자를 늘렸다. 참고로 첫 수상자는 프랑스의 장 발통(Jean Valton), 스코틀랜드의 존 램지(John Ramsey), 그리고 (국적 추가 바람)의 플레츠키 부부(De Flezkis)이다.

FISM 홈페이지에 1961년 8회 벨기에 리에주 챔피언십부터 최근까지의 FISM 챔피언십의 수상자들을 기록해 두고 있다.(FISM Winners)
(여기에는 2003년부터의 수상내역을 기재해 놓았다.)

  • 참고로 1976년 13회 FISM 챔피언십(비엔나)에서 북한 국적의 김탁송이란 마술사가 특별상을 수상한 내역이 있다!
2003년 22회 FISM 챔피언십 (네덜란드 헤이그)
그랑프리(스테이지) : Norbert Ferré (프랑스)
그랑프리(클로즈업) : Jason Latimer (미국)
매니플레이션 : Norbert Ferré (프랑스) (2위 Eun Gyeol Lee (이은결, 한국))[12] (다음팟)
제너럴 매직 : Pat Perry & Archibald (스위스)
인벤션 : Jason Latimer (미국)
마이크로매직 : Jason Latimer (미국)
클로즈업 카드 : MagoMigue (Miguel Puga) (스페인)
코메디 : The Great Nardini (스코틀랜드)
팔러 매직 : Die Zauderer (독일)
스테이지 일루젼 : 2위: Prince of Illusion (네덜란드) - 1위 기록없음
맨탈리즘 : 2위: Aaron (벨기에) - 1위 기록없음
2006년 23회 FISM 챔피언십 (스웨덴 스톡홀름)
그랑프리(스테이지) : Pilou (프랑스)
그랑프리(클로즈업) : Rick Merrill (미국)
매니플레이션 : Dai Bin Chun (중국)
제너럴 매직 : Eun Gyeol Lee (이은결, 한국) [13] (네이트판) [14] [15]
인벤션-클로즈업 : Mathieu Bich (프랑스), Pierric (스위스)
인벤션-스테이지 : Mickael & Bethy Ross (프랑스), Cesaral Magic (스페인)
마이크로매직 : Martin Eisele (독일)
클로즈업 카드 : Helder Guimaraes (포르투갈)
코메디 : Die Zauderer (독일)
팔러 매직 : Gaston (독일)
스테이지 일루젼 : Sittah (네덜란드)
맨탈리즘 : 2위: Timothy Trust & Julie (독일), Juan Ordeix(아르헨티나) - 1위 기록없음
가장 독창적 마술 : 스테이지 - Hugo Valenzuela (아르헨티나), 클로즈업 - Rocco (미국)
2009년 24회 FISM 챔피언십 (중국 베이징)
그랑프리(스테이지) : Soma (헝가리)
그랑프리(클로즈업) : Shawn Farquhar ( 캐나다)
가장 독창적인 마술 : Charming Choi (최현우, 한국) (유튜브)
인벤션(발명) : Jorge Luengo (스페인)
매니플레이션 : Yo Kato( 일본), Han Seoi-Hui(한설희(마술사), 한국) (유튜브)
제너럴 매직: Soma (헝가리)
스테이지 일루전 : Julius Frack (독일)
마이크로매직 : 2위 Vittorio Belloni (이탈리아)
클로즈업 카드 : Shawn Farquhar (캐나다)
팔러 매직[16] : Marc Oberon(영국)
멘탈리즘 : Rob en Emiel[17](네덜란드)
2012년 25회 FISM 챔피언십 (영국 블랙풀)
그랑프리(스테이지) : Yu Ho Jin (유호진(마술사), 한국) (유튜브) (유튜브) [18] [19]
그랑프리(클로즈업) : Yann Frisch (프랑스) (유튜브)
제너럴 매직 : Marko Karvo (핀란드) (2위, Haon Gun (한국))
가장 독창적인 마술 : 스테이지 - Ted Kim (김태원, 한국), 클로즈업 - Simon Coronel (호주)
코미디 매직 : Doble Mandoble (벨기에)
마이크로매직: Andost (미국)
매니플레이션 : Yu Ho Jin (유호진(마술사), 한국), (2위, Lukas (한국). 3위, Kim Hyun Joon (한국))
팔러 매직 : Yann Frisch (프랑스)
클로즈업 카드 : Jan Logemann (독일) (3위, Zeki Yoo 한국)
마이크로 매직 : Andost (미국)
일루전 : Marcel Prince of Illusions (네덜란드)
멘탈리즘 : 1등을 정하지 않음
인벤션 : Tango (아르헨티나)
코메디: Doble Mandoble (벨기에)
  • 특별상
고안 및 예술적인 시각 : Teller (미국)
역사, 연구 및 학식 : Mike Caveney (미국)
이론 : Eugene Burger (미국)
2015년 26회 FISM 챔피언십 (이탈리아 리미니)
그랑프리(스테이지) : Hector Mancha (스페인)
그랑프리(클로즈업) : Pierric (스위스)
제너럴 매직 : 김영민 (한국), Miguel Munoz (스페인), 이훈 (한국)
가장 독창적인 마술 : 스테이지 - Yann Frisch (프랑스), 클로즈업 - DK (김경덕, 한국)
코미디 매직 : 1등 없음, Vladimir Volkoff (프랑스), Hakan Berg (스웨덴)
마이크로매직: Andost (미국)
매니플레이션 : Hector Mancha (스페인), Lukas(이기석, 한국), 이창민 (한국)
팔러 매직 : Pierric (스위스), Wolfgang Moser (오스트리아), Henry Harrius (홍콩), Magic Brothers (한국)
클로즈업 카드 : Horret Wu (대만), Shin Lim (캐나다) 공동1등, Hannes Freytag (독일), Kelvin Chow (홍콩)
마이크로 매직 : 1등 없음, Mario Lopez (스페인), David Pricking (독일) 공동2위, Seol Park(박설하, 한국)
일루전 : 1등 없음, Alexis Arts (이탈리아), Jakob Mathias (독일) / Timothy Trust & Diamond (독일) 공동 3위
멘탈리즘 : Thommy Ten & Amelie, Lucca & Anca, Simon Thomas
인벤션 : Tango (아르헨티나)
코메디: Doble Mandoble (벨기에)
  • 특별상
고안 및 예술적인 시각 : Daniel Collado (스페인), Antonio Romeo (스페인), Semba (스페인)
역사, 연구 및 학식 : Mike Caveney (미국)
이론 : Eugene Burger (미국)

4.1 기타 사항

FISM 2012가 영국의 블랙풀(Blackpool)에서 열렸을 때 우리나라 마술사는 총 6명이 수상했다. (국가 가운데서 가장 많다! 2등은 프랑스).

  • 스테이지 그랑프리 - 유호진(마술사)
  • 제네럴 2위 - 하원근
  • 매니플레이션 1위 - 유호진(마술사)
  • 매니플레이션 2위 - 이기석 (예명 : Lukas)
  • 매니플레이션 3위 - 김현준
  • 클로즈업 카드 3위 - 유현민 (예명 : Zeki Yoo)
  • 가장 독창적인 마술 - 김태원 (예명 : Ted Kim)

유호진 마술사가 아시아인 최초, 최연소 그랑프리라는 업적을 남겼다.
또한, 대한민국 최현우 마술사가 최연소 FISM 심사위원으로 발탁된 때이다!! 실로 위대한 업적이 아닐 수 없다... 기사

2014년 10월 30일부터 FISM ASIA가 한국의 인천 송도에서 열리고[20] 2015년이탈리아의 리미니라는 휴양도시에서 FISM 2015가 열렸다. [21]

그리고 2015년 또한 우리나라가 국가들 중 가장 많은 수상자를 배출했다. 총 7팀!

  • 매니플레이션 2위 - 이기석 (예명 : Lukas)
  • 매니플레이션 3위 - 이창민
  • 제네럴 1위 - 김영민
  • 제네럴 3위 - 이훈
  • 마이크로 3위 - 박설하 (예명 : Seol Park)
  • 가장 독창적인 마술 - 김경덕 (예명 : DK)
  • 팔러 3위 - 매직브라더스

한편, 대한민국 출전자 중 공인성 마술사는 역대 최연소 참가자로 이슈가 되었다. 당시의 나이는 15세(만 13세)였다. 기사

또한, FISM 2018 개최지로 부산이 선정되었으며 입장권 가격은 보통 800유로 한화로 약 백만원돈이다.(07/19기준)

5 마술이 나오는 TV 프로그램

마술만 전문으로 나오는 TV 프로그램은 ★ 표시.

6 마술을 주제로 한 작품

7 서브컬처에서의 마술

한국의 서브컬쳐에서는 트릭을 이용한 속임수라는 의미로 쓰이지만 일본[22]과 그 스타일에 영향을 받은 매체에서는 마법이라는 단어의 대체어로써 많이 쓰이고 있다. 사실상 2000년대에 들어서는 마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빈도수가 적다. 사실 일본에서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트릭으로 이루어지는 마술'의 의미가 강한 어휘로서 奇術, 手品 등의 단어가 따로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魔術이라는 어휘에는 더 신비한 늬앙스가 붙게 되는 것 같다. 일본에서 무대마술은 매직 또는 일루젼 등의 용어를 많이 사용하는 듯.[23]

베트남에서 마술이라는 한자에서 유래된 Ma thuật는 일본과 비슷하게 마법적인 의미를 가진다. 마술 용도는 Ảo thuật.

대체로 마법=마술 드물게는 마법>마술 등의 의미로 쓰인다. 극히 일부에서 마법의 열화판이라는 의미로써 쓰이는 경우를 볼 수 있다.

7.1 TYPE-MOON/세계관에서의 마술

마술(TYPE-MOON/세계관) 문서 참조.

7.2 마술사 오펜에서의 마술

마술(마술사 오펜) 항목 참고.

7.3 나우 유 씨 미 세계관에서의 마술

나우 유 씨 미 세계관 에서의 마술의 기원은 고대 이집트 시절 파라오 등 갑부의 사람들로 부터 마술과 속임수로 현혹 시켜 음식을 빼내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눠주는 집단 '디아이 (The Eye)'로 부터 시작했다. 작중에서 보면 그냥 픽션속의 얘기란 소리도 있지만 21세기에서 누군가가 이 '디아이'를 부활시키려 하고, 포 호스만 이란 마술사팀은 그 디아이에 멤버로 들어가기 위한 '시험'을 위해 모인다.

7.4 가공의 마술

  1. Wikipedia:마술 (2015/1/15 10:15) 에서 인용.
  2. 고려대학교 마술동아리의 이름이기도 하다.
  3. 물론 진짜 실수를 아예 안 하는 것은 아니다. 마술사도 사람인지라…. 예를 들어 최현우 마술사의 경우 과거에 FISM에 출전했는데 조명이 제대로 작동을 안 하는 바람에 순위가 깎였다고 한다.
  4. 한자문화권에서는 기예, 차력 등과 묶여서 '환술(幻術)'이라고 불렀다.
  5. 마술의 역사 (지니의 매직업, 2011.07.25, 진한엠앤비)
  6. 정확한 명칭은 "가면 마술사(The Masked Magician)"이다. 본명은 밸 발렌티노(Val Valentino. 출생명은 레너드 몬타노 Leonard Montano)로, 1956년 출생이다.
  7. 타이거 마스크는 본인의 네번째 쇼에서 자신의 정체를 드러냈을 때를 회고하며 '마술의 비밀을 알려주는 것은 애들을 실망시키는 게 아니라 더욱 빠져들게 하며, 이러한 쇼 프로는 마술사의 쇼맨십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고 말했다. 또한 자신이 이렇게 현대 마술의 비밀을 공개함으로써 더 많은 사람들이 감명을 받아 새로운 마술을 만들어내고, 기존의 마술사들도 케케묵은 옛 마술만 계속 하는 게 아니라 새로운 마술을 개발하도록 유도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이 프로그램은 케이블 TV에서 '타이거 마스크 마술쇼' 라는 이름으로 방영 중이다.
  8. 카드매니플레이션만 있는 것이 아니다. 메니플레이션의 한 종류일뿐 매니플레이션은 같은 도구를 계속 사용하는 마술을 지칭한다
  9. 실제로 프로 마술사들에게 24시간 중 어느 시점, 어느 장소, 어느 상황에서라도 즉각적으로 마술을 보여줄 수 있는 능력은 마술사로서 갖춰야 할 기본 소양이다.
  10. 술집과 클럽에서는 섹드립이 가능하다, 취객들은 카드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마술에 집중하지 못하며 돌발행동을 할 확률이 높다, 대학로의 경우 연극 시작 시간을 숙지하고 그 전에 마술을 끝내주는게 좋다 등
  11. 말만 들어서는 별것 아닌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상당히 큰 임팩트를 가진 마술들이 많다. 또한 일부 동전마술은 생활마술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12. FISM 챔피언십 한국인 최초 수상
  13. 한국인 최초 부문별 1위 수상
  14. 액트 구성이 2003년과 비슷한점이 많지만 어떻게 보면 비슷한 내용구성으로 그 다음해에 1위를 수상했다는게 더 대단한 것일 수도 있다.
  15. 참고로 YTN 인터뷰에서 이은결이 직접 얘기하기로는 매니플레이션 분야로 참가했었는데, 심사위원이 제너럴 부분으로 바꿔서 심사를 했다고... 일부에서 예상하기로는 비둘기를 너무 많이 사용해서 기준이 바뀌어 버렸다고....
  16. 클로즈업보단 많지만 스테이지보단 적은 관객을 상대로 하는 마술. T.A. 워터스의 마술백과사전(1988년)에서는 "가치가 떨어지며 프로에겐 적합하지 않은 마술"이라고 적혀 있지만, 본문의 2012년, 2015년 항목을 보자. 그걸로 우승한 사람은 뭔데?
  17. Rob"과" Emiel이란 뜻이다.
  18. 아시아인 최초 FISM 챔피언십 그랑프리 수상
  19. 역대 최연소 수상
  20. 아시아의 대륙별 FISM 예선전. 상위 득점자는 출전권을 얻어 본 FISM 대회에 출전할 수 있다.
  21. 우리나라의 부산과 함께 개최지 후보였는데 리미니가 선정되었다 아까비
  22. 한국(마술)과 중국(móshù에서 마술이라는 용어는 어디까지나 비둘기 날리고 주사위 굴리고 카드놀이하는 이미지가 강하다.
  23. 가령 동방프로젝트의 경우, 키리사메 마리사앨리스 마가트로이드가 이런 일본적인 의미의 魔術師에 가까운데, 반대로 한국쪽에서의 의미의 마술사(일어로 기술사;奇術師)의 캐릭터로는 이자요이 사쿠야가 있다.물론 이 처자도 시간을 조종한다는 시점에서 이미 마술 트릭하곤 안드로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