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개통하지 않은 역 또는 노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 또는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개통했지만 이 역을 지나는 다른 노선이 공사 중인 역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하며, 나무위키는 잘못된 정보에 의한 피해를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공정이 중단되면 틀:공사중단으로 바꿔 주시고, 공정이 완료되면 틀을 제거해 주십시오.
분당선 | |||||
왕십리 방면 신 갈 | ← 1.4 km | 기 흥 | → 1.9 km | 수원 방면 상 갈 | |
수도권 전철 | |||||
분당선 | |||||
왕십리 방면 신 갈 | ← 1.4 km | 기 흥 (K237) | → 1.9 km | 수원 방면 상 갈 | |
분당선 (급행) | |||||
왕십리 방면 죽 전 | ← 5.9 km | 기 흥 | → 7.2 km | 수원 방면 망 포 | |
용인경전철 | |||||
시종착역 | ← 1.4 km | 기 흥 백남준아트센터 (Y110) | → 1.0 km | 전대·에버랜드 방면 강남대 |
기흥역 (백남준아트센터)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Giheung |
한자 | 器興 |
중국어 | 器兴 |
일본어 | キフン |
역번 |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K237 |
수도권 전철 용인경전철 | Y110 |
300px 수도권 전철 분당선 승강장 크게보기 | |
300px 수도권 전철 용인경전철 승강장 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1 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2 크게보기 | |
주소 | |
수도권 전철 분당선 기흥역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지하 460 (舊 구갈동 227-25) |
수도권 전철 용인경전철 기흥역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468 (舊 구갈동 480-36) |
수도권 전철 | |
운영기관 |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파일이 없음 |
분당선 운행 개시일 | 2011년 12월 28일 |
운영기관 | " />?width=110 |
용인경전철 운행 개시일 | 2013년 4월 26일 |
일반 철도 | |
운영기관 | 코레일 수도권동부본부 |
분당선 개업일 | 2011년 12월 28일 |
역 등급 | 배치간이역(망포역 관리) |
器興驛 / Giheung Station
목차
1 개요
수도권 전철 분당선 K237번.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지하 460(舊 구갈동 227-25번지) 소재.
용인경전철 Y110번.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468(舊 구갈동 480-36번지) 소재.
부역명은 백남준아트센터.
2 역 정보
400px
구갈역 시절.
2011년 12월 28일 분당선 연장개통 신설역사 중 하나다. 플랫폼은 총 2면 4선의 8량 대응 쌍섬식 승강장이며, 9호선 동작역을 연상케 할 만큼 규모가 크다.
2.1 역사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333;padding:12px;" {{{+1 주의. 폐지된 역 또는 신호장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역은 폐지되어 열차가 정차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문서를 잘못 이해하여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수려선 | 운영기관 : 철도청 개업일 : 1930년 12월 1일 역 종류 및 등급 : 폐역 폐역일 : 1972년 4월 1일 | |||||
수 원 방면 덕 곡 | ← | 신 갈 | → | 여 주 방면 어 정 |
550px
수려선이 있던 시절에는 이 역이 신갈역이었다. 이 당시부터 역 위치는 구갈(舊葛)리였는데 인근 구흥면 지역에 신갈(新葛)리(신촌 + 갈천)를 만들고 그에 따라 신갈역이라는 이름을 준 일제의 괴상망측한 네이밍센스. 그 외에도 기흥구에는 상갈동과 하갈동도 있다.
신갈역은 구갈로의 한성 2차 아파트 진입로 부근에 있었다고 한다.
2.2 역명
2000년대 들어 용인이 커지면서 주목받기 시작한 뒤에야 의문을 제기하는 이들이 많지만, 상위 행정구역 명칭이 기흥이다. 과거 기흥면→기흥읍이었으며 2005년 이후 기흥구.
550px
구갈동의 영역. 강남대역이 구갈동 주민센터 앞에 있지만 강남대학교에서 따와 역명을 정했기 때문에, 이 역 역명을 지을 때 동 단위 지명을 따왔다면 구갈역이 되었을 것이다.
통상 '기흥'이라 하면 삼성전자 반도체 기흥공장이 있는 공세동, 고매동 일대를 지칭하는 반면 이 역의 근방은 주로 '신갈'이라 통칭되는데, 상위 일반구 명칭이 기흥구여서 일반구 명칭을 따라 기흥이라는 역명을 채택하게 되었고, 기흥구청이 역세권에 있어 대표 역명으로도 적합하다. 2011년 이 역이 종착역으로 결정될 당시 용인시에서 기흥구를 홍보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당장 용인시에서도 이 역 주변 역세권 개발사업을 구갈 역세권 개발사업이라 명명하였다.[1]
분당선은 기흥역, 용인경전철은 구갈역(백남준아트센터)의 역명을 사용하고 있었다. 두 역이 붙어있고 환승통로도 만들어지는 시점에서 4호선 총신대입구역/7호선 이수역처럼 다른 역명을 사용한다는 것은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여론이 있었다. 분당선은 광역철도라서 역명 개정에 국토교통부 고시가 필요하여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리하여 용인시에서 역명을 결정할 수 있는 도시철도인 용인경전철이 역명을 기흥역(백남준아트센터)로 바꿨으며 분당선 기흥역이 부역명으로 백남준아트센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두 노선의 역명이 통합되었다.[2]
2.3 환승통로
원래는 당연히 환승통로가 계획에 있었다. 당시의 조감도에도 환승통로가 그려져 있으며, 현재의 환승통로가 거의 이 조감도대로 지어졌다는 것도 알 수 있다. 하지만 용인경전철 공사 당시에는 분당선쪽 기흥역도 없었고, 분당선과의 환승통로 위치 잡기가 어려웠는지 환승통로는 빼고 건설했다. 분당선 기흥역은 2011년 12월 28일 개통으로, 용인경전철 "완공"보다 약 2년 이상 늦었기 때문. 용인경전철이 개통되고 얼마 안 돼서 곧바로 계획 및 조감도대로 환승통로 공사가 시작되었다.
환승통로는 2014년 1월 9일에 완공 및 개통되었다. 당시의 환승통로는 분당선 기흥역과 용인경전철 기흥역의 대합실끼리 이어주는 연결통로로써 간접환승의 이동거리를 줄여주고, 궂은 날에는 비·바람을 맞지 않고 각 기흥역 대합실로 오고갈 수 있게 해주는 역할 정도만 수행했다. 2014년 9월 20일, 의정부 경전철보다도 약 2달 먼저 수도권통합 환승할인제가 시행되자, 통로를 다시 공사할 수는 없으니까 개찰구의 위치를 옮겨서 환승통로가 개찰구 안쪽에 위치하도록 했다.
분당선 기흥역 지하 2층 대합실과 용인경전철 기흥역 지상 2층 대합실을 연결하는 이 직결통로(길이 55m, 폭 8m)는 장애인 등 노약자를 위한 경사형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환승할인 시스템 등이 설치되었다. 환승할인과 동시에 환승구조도 바꿔서 간접환승방식이 아닌 직접환승방식으로 하고 있다. 참고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경우 2005년 이대역 이후 8년 만에 새로 설치된(도시철도 한정) 경사형으로, 경사형답게 정말 느리다.
분당선 기흥역 승하차 게이트의 위치를 변경하여 이전에 승하차 게이트 밖에 위치했던 환승통로가 안쪽에 위치하게 되었다. 물론 이로 인해 환승통로 바로 옆에 있던 용인시 사회적 기업 홍보관이 승하차 게이트 안쪽에 위치하게 되었고, 상당히 넓었던 기흥역 지하 2층 대합실은 반 이상 잘려나가게 되었다. 환승태그는 용인경전철 기흥역사에서 하게 된다. 참고로 엄청 큰 기흥역 화장실도 승하차 태그기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분당선 투어를 하다가 급하다면 기흥역 화장실을 이용하면 된다. 다만 먼 배차간격을 감수해야 한다.
참고로 여기를 자주 다니는 위키러의 증언에 따르면, 여기서 어떻게 나가냐고 역무원에게 묻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환승통로에 8번 출구라고 적혀있기 때문. 수도권 전철에서도 'x, y, z, w번 출구, n호선 대합실 이용'이라는 안내판이 있는 걸 떠올려 보자. 환승통로에 '8번 출구'라고 써 놓은 건 아무 문제없다. '8번 출구'로 나가려면 용인경전철 대합실을 이용하라는 의미이다. 전에는 간접 환승체계였으므로 출구로 이용할 수 있으나 직접 환승으로 바뀐 이후엔 출구 한가운데에 벽을 설치해 버렸다.
물론, 환승 게이트에 환승태그한 뒤에 용인경전철 개찰구에 하차태그하고 나가면 된다. 이 경우에는 용인경전철 구간이용요금 200원이 나가지 않으니 걱정 말자. 용인경전철과 똑같은 방식으로 구간이용요금 900원을 징수하는 신분당선을 떠올려보자. 2호선을 타고 강남역에서 내려서 신분당선쪽 출구(3, 4, 5, 6번)로 나가는 경우, 신분당선 환승 게이트에 환승태그한 뒤에 신분당선 개찰구에 하차태그하고 나가면 된다. 이 경우에는 신분당선 구간이용요금 900원이 나가지 않는다. 이는 강남역 문서의 '역 구조' 문단에도 설명되어 있다.
참고로 간접환승방식에서 직접환승방식으로 요금 시스템을 바꾸는데 시간이 걸렸기에 바꾸기 하루 전날(2014년 9월 19일)에는 용인경전철이 무료로 운행하였다.
3 승강장 구조
3.1 수도권 전철 분당선
↑ 신갈 | |||||||
ㅣ | 4 | 3 | ㅣ | ㅣ | 2 | 1 | ㅣ |
상갈 ↓ |
1·2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영통·망포·수원시청·수원 방면 |
3·4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죽전·정자·선릉·왕십리 방면 |
분당선 역은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급행 운영을 상정한 대피선이 건설되어 있다. 수원까지 분당선 전구간이 완공된 이후 대피선을 활용하여 출, 퇴근 시간에 한정하여 급행이 운영되고 있다.
3.2 용인경전철
종착역 | |||||
상 | ㅣ | 하 | ㅣ | ||
↓ 강남대 |
상 | 용인경전철 | 당역종착 |
하 | 용인경전철 | 초당 · 시청·용인대 · 운동장·송담대 · 전대·에버랜드 방면 |
용인경전철 |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
용인경전철 역은 3면 2선의 두단식 승강장으로, 평상시엔 2면 1선만 사용한다. 일단 강남대역 방향에서 온 열차는 기흥역 진입 전에 분기기를 통해 왼쪽 선로로 진입하여, 하차용 승강장(진행방향 기준 맨 왼쪽 승강장)의 문을 열어 승객들을 하차시킨 후, 반대쪽 문을 열어 가운데 승강장의 승객들을 태우고 다시 하행 방향으로 출발한다. 나머지 1면 1선은 비상시에 사용되며, 1선에는 비상시에만 투입되는 예비 열차가 상시 대기중. 막차시간대에 막차로 운행한다.
4 역 주변 정보
인근에 기흥구청, 구갈지구 아파트 단지가 있다. 3번 출구 앞에는 옛 녹십자 공장 터가 있다. 그리고 좀 먼 거리에 백남준아트센터와 경기도 박물관 등이 위치하고 있다.
4.1 기흥역세권개발사업
width=100% | width=100% | |
구획도 |
width=100% | width=100% | |
조감도 |
용인시에서 용인경전철이 개통됨에 따라 옛 녹십자 공장 부지 주변으로 역세권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허허벌판에 심시티. 버스 환승센터와 각종 업무지구, 상업지구, 주상복합 아파트 등을 지어 기흥역 주변을 용인시의 중심지로 만들고 용인시 인구를 크게 늘려보자는 발상이다.
이 역세권 개발에 따라 옛 녹십자 공장 부지에 버스 환승센터를 짓는다는 떡밥이 있다. 기흥역에서 한참 서쪽에 있는 경부고속도로 수원신갈IC 근처의 신갈고속시외버스정류장 근처는 늘 차로 붐비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헬게이트인데, 버스 환승센터를 이 쪽으로 옮겨온다면 헬게이트 현상은 많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은 개통 현재는 3~5번 출구가 있는 구 녹십자 공장 터는 주차장과 마을버스 정류장이 조성된 상태다.
5 연계 교통
시내버스, 마을버스, 광역버스, 시외버스 등 많은 버스 노선이 이 역 인근을 지나간다. 또한 기흥역에서 서쪽으로 약 1km 정도 거리에 경부고속도로 수원신갈IC 근처의 신갈고속시외버스정류장이 있는데, 고속버스는 광주, 부산, 마산, 창원, 진주행이 여기서 중간 승하차한다.(서울경부행은 유방동에서 중간 승하차) 신갈정류장에서 중간 승하차하는 시외버스는 버스연합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예매는 안 된다.)
6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분당선 |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3,737명 | 6,179명 | 7,426명 | 9,969명 | 7,712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