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씨전

(박씨부인전에서 넘어옴)

001857.jpg

박씨전
朴氏傳)
작자미상
배경조선 전역, 병자호란
갈래군담소설, 한글 소설
성격전기적, 영웅적
시점전지적 작가 시점
주제박씨의 애국충정, 청나라에 대한 적개심

1 개요

조선 시대의 고전소설로, 《박씨부인전》이라고도 한다.미세스 박 스토리 작자와 연대는 미상이지만, 연대는 소설의 배경을 고려할 때 적어도 병자호란 이후로 추측된다. 국문 필사본만 전해지며 목판본이나 한문본은 전해지지 않는다.

청나라에게 진 것이 자존심 상해서인지 이런 소설이라도 써서 정신승리하는 내용[1]. 아닌 게 아니라 참고서나 교과서에서도 청나라에게 무력으로 짓밟힌 조선 민중들의 정신적 승리라고 적어놓았다(...)

다소 특이한 것은 주인공인 박씨 부인과 그 하녀 계화는 물론, 10,000리를 내다보는 청나라 황후 마씨나 여성 자객 기룡대 등 뛰어난 능력을 보이는 적군 측 인물들도 여성들이라는 점이다. 보통 고전소설과 달리 남성이 맡는 영웅적 역할을 여성들이 다수 담당하고 있는 전격 여성상위 소설이며[2] 이는 박씨전의 독특한 면모이다.

2 줄거리

인조 때 이조참판 이득춘의 늦게 얻은 아들인 이시백은 16세 되던 해 금강산의 박 처사의 장녀와 혼인한다. 이득춘이 아들을 얻기 전 금강산에 유람을 갔다가 만난 박 처사의 풍모에 반하여 서로의 자녀를 결혼시키자고 약속했기 때문이었다. 첫날밤 신방에 들어온 신부는 천하박색에 어깨에는 2개의 혹이 매달려 있고 몸에서는 악취가 풍겼다. 시집 온 첫 날부터 독수공방한 박씨 부인은, 뒤뜰에 "피화당(避禍堂)"이라는 이름의 별당을 짓고 그곳에서 기거하였다. 그녀는 재주와 학식이 뛰어나고 도술로써 범상치 않은 능력을 보였으며, 남편 이시백을 장원급제 시킨다.

이때 아버지 박 처사가 구름을 타고 의 소리를 내며 찾아와 딸의 흉한 허물을 벗겨준다. 지금까지 박씨 부인의 모습이 흉했던 이유는 전생의 업보 때문이라는 말도 함께 남겼다. 이시백은 미인으로 변모한 아내에게 마침내 사과데꿀멍하고 그의 벼슬은 평안감사, 병조판서에 이른다.

이 무렵 청나라의 가달이 조선을 넘보므로, 이시백은 임경업과 함께 이를 평정한다. 청나라 왕은 자신의 공주인 기룡대를 원주 기생 설중매(雪中梅)로 속여 두 사람을 암살하고자 하나, 박씨 부인이 미리 알고 예방한다. 또 용골대 형제가 군사 3만으로 한성부경기도 광주시에 침입하지만 박씨 부인의 도술에 혼이 나고 물러간다.[3] 이로써 박씨는 충렬정경부인이 되고 시백은 영의정, 세자사(世子師)가 되어 그 자손에게까지 관직이 내려졌다는 이야기이다.

3 실제 역사

주인공인 이시백은 인조반정의 공신이며 호란 때 병조참판을 지낸 실존 인물이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그렇지는 않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이시백과 실존 인물 이시백은 한글은 같지만 한자가 다른 동명이인. 소설 주인공인 이시백은 李始白이며 실존 인물 이시백은 李時白이다. 실제 이시백의 부친은 인조반정의 주모자인 이귀이며 소설 속 이시백의 부친은 위에 서술되었듯 이조참판 이낙춘[4]이고 실존 인물 이시백의 부인은 윤씨다. 그렇지만 활약 연대나 한글 이름 등으로 봐서는 소설 주인공 이시백의 모티브가 실존 인물 이시백일 수는 있다. 홍길동전의 주인공 홍길동(洪吉童)과 그 모델인 실존 도적 홍길동(洪吉同)의 한자가 다른 것과 비슷한 이치.한마디로 동인캐

역사상의 이시백은 실록에 의하면 정치인으로써의 특출난 재능은 없었던 평범한 관료였지만, 성실함과 청렴함으로 이름이 높았다고 한다. 인조의 신임을 크게 받아서 인조가 말년에 아들 효종에게 "내가 죽더라도 이시백과 김자점은 존중해라" 라고 당부했을 정도. 김자점 따위랑 같이 묶이니까 괜히 급이 떨어져 보인다 병자호란 후의 국난 수습에 힘썼고 당시에 몇 안 되는 대동법을 지지한 인물이기도 하다.[5]

국왕 인조, 김자점[6], 임경업, 청나라 장수 용골대 등도 모두 실존 인물이지만 용골대의 동생 "용홀대(혹은 용울대)" 는 임진록가등청정의 동생으로 나오는 "가등청룡" 처럼 가상인물이다. 2차 창작

간혹 박씨 부인의 실제 모델이 소현세자의 아내인 민회빈 강씨라는 주장이 있는데 전혀 근거가 없다. 물론 강빈 역시 소설 속 박씨 부인처럼 강단 있는 여성이었지만, 실제 소설 속 박씨 부인과는 어떠한 접점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박씨 부인 모델이 강빈이라는 설은 그냥 이런 설이 있구나, 하고 받아들이고 진지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4 기타

전형적인 먼치킨 대체역사물로, 청나라에 대한 정신승리적 내용이 강하게 들어가 있다.[7] 다만 당시 민중에게 강하게 어필한 데다 17세기 고전소설인 점을 감안하면, 현대에 쏟아져 나오는 수준 이하의 대체역사 자위물보다는 좀 나은 편이다.양판소 1패

한국 순정만화 정체불명 새색시가 이를 모티브로 했다. 여주인공 무연이 우스꽝스런 돼지 가면을 쓰고 다니는데, 나중에 벗고 보니 절세미인인 것 등... 당연한 거지만 그리고 나중에는 남주는 이시백이, 무연은 박씨 부인이 환생한 것이었음이 밝혀진다.

윙크에서 연재했던 또 다른 순정만화 어화둥둥 박보르미도 박씨전이 모티프. 하지만 작중 병자호란에 해당하는 사건이 일어나기 직전 시점에서 연중되었다(...) 아니 이게 무슨 소리요 병자호란 없는 박씨전이라니 여기서는 원래 미인이었던 여주인공 보르미가 부모님의 싸움에 휘말려 추녀가 된 것으로 나온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보르미의 가명이 이분을 모티프로 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분은 박씨전 원문에 실제로 인용된 적이 있다는 것.

모습이 예뻐진다는 것에 대해 외모지상주의가 느껴진다는 반응도 있다. 작중 박씨는 현모양처에다 남편의 과거시험을 사실상 하드캐리해줄 정도로 내조도 잘하는 부인이지만 외모지상주의 덕에 남편에게 부당하게 박대를 당하는 인물이라 이런 점에서는 외모지상주의를 비판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지만, 박씨의 성형 변신으로 인해 이시백이 태세전환하고 부부의 갈등이 종결된다는 전개는 오히려 외모지상주의를 긍정하는 부분이라 앞뒤가 잘 맞지 않는다는 것.[8][9] 물론 아름다워지는 게 좋긴 하겠다만 굳이 그럴 일 없이도 슈렉피오나 공주처럼 당당히 살았으면 좋았을 텐데라는 의견. 하지만 렛미인 이런 면에서 당시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흔치 않은 작품이었지만 한계가 느껴진다 보는 시선이 있다.

푸짜르 버전의 패러디가 있다. 이른바 푸씨전(...).
  1. 병자호란보다 약간 앞선 시대의 인물인 윌리엄 셰익스피어도 "백년전쟁에서 영국마녀 잔 다르크가 이끄는 프랑스에 고전하지만 결국엔 이겨서 마녀를 불태워 죽이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교황의 압력으로 할 수 없이 평화협정으로 물러났다"고 역사왜곡 자위 희곡을 써서 정신승리를 한 걸 보면 서양도 똑같다. 근데 이쪽은 반대로 침략자 주제에 이런다. 동양조선이 있었다
  2. 못난 외모 때문에 남편에게 박대받는 걸 당연시하는 박씨 부인라든가 하는 장면도 나오는데, 나중에 가면 박씨가 미인으로 돌아오고 나서는 남편에게 그동안 당했던 걸 그대로 갚아주는 장면도 나온다(...) 그냥 외모지상주의의 폐해
  3. 일부 판본에선 조선을 침탈한 죄는 죽어 마땅하나 하늘의 뜻이므로 혼내기만 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4. 단, 실존 인물 이귀도 이조참판을 지낸 적이 있기는 하다.
  5. 참고로 그 동생의 이름은 이시방. 박시백 화백은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 이시백 형제의 이름으로 말장난을 구사하기도 했다.
  6. 당연히 간신 기믹으로 병자호란인조남한산성에 가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임경업을 해치는 등의 악행이 그려진다. 그와 함께 나오는 좌의정 박운학은 실존 인물도 아니다. 하지만 최후는 좀 다른 게, 소설에선 이시백이 임경업의 음모를 폭로하면서 결국 인조에게 사사된다.
  7. 마찬가지로 조선 후기에 인기가 좋았던 조웅전도 넓게 보면 이 부류지만 박씨전만큼 정신승리의 흔적이 짙지는 않다.
  8. 물론 이때 외모만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면모를 비판하는 대사가 나오기는 한다.
  9. 사실 박씨가 변신하기 전에 누가 봐도 추녀라고 하고 악취(...)까지 풍긴다 할 만큼 엄청난 추녀이긴 했다.슬라네쉬의 악마 잉게텔 이시백 나름대로도 이유는 있었던 셈(...) 물론 추녀라는 이유만으로 아예 개무시하고 장원급제에 도움을 주겠답시고 한 번만 자신을 보러 와달라고 간청하는 사람을 고마워하지는 못할 망정 오히려 발목 잡는다고 욕하면서 죄 없는 박씨의 몸종을 패버리는 등 이 시기 이시백의 행태는 당연히 잘못된 것이다. 읽어보면 알겠지만 박씨가 변신 후 역으로 이시백을 갈굴 때 이시백이 무릎까지 꿇고 싹싹 빌었는데 절대로 괜히 그런 일이 아니었다. 솔직히 통쾌하게 느껴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