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간선버스(서울)
서울특별시 5권역 간선버스 | |||||||
500†§ | 501 | 502 | 503 | 504 | 505 | 506 | 507† |
540 | 541 | 542 | 571 | ||||
† : 주간선노선 / § : 공동배차 노선 |
뉴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504번 | |||||
기점 | 경기도 광명시 하안1동(광명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을지로입구역) | ||
종점행 | 첫차 | 3:55 | 기점행 | 첫차 | 04:55 |
막차 | 22:50 | 막차 | 00:05 | ||
평일배차 | 4~8분 | 주말배차 | 토요일 4~8분/일.공휴일 5~10분 | ||
운수사명 | 한성운수 | 인가대수 | 40대(예비 3대)[2] | ||
노선 | 광명공영차고지 - 광명종합운동장, 광명실내체육관 - 철산주공4단지 - 광명경찰서, 철산역 - 광명시민회관 - 광명시청 - 모세로삼거리 - 철산주공8,13단지 - 철산9단지, 우체국 - (← 철산주공9단지 ←) - 철산주공12단지 - 디지털3단지 - 디지털단지오거리 - 가산초교 - KT구로지사 - 금천경찰서 - 난곡네거리 - 호림박물관 - 신림역 - 당곡사거리 - 보라매삼성아파트 - 신대방삼거리 - 성대시장 - 동작구청, 노량진초교 - 노량진역 - 노들역 - 노들섬 - 한강대교 - 신용산역 - 삼각지역 - 숙대입구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북창동 → 을지로입구역 → 서울특별시청(동편) → 소공동주민센터 → 숭례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이후 역순 |
2 개요
한성운수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4.04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26-3번 도시형버스(철산동 - 명동롯데)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번호만 504번으로 바뀌었다.
- 2006년 9월 4일에 광명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 서울역고가차도에 노선버스 진입이 금지되면서 2008년 12월 27일에 회차구간이 '숭례문 → 명동롯데 → 을지로입구역 → 삼성플라자 → 숭례문'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6년 8월 16일에 막차가 23시에서 22시 50분으로 빨라졌다. 관련 공문
4 특징
- 광명시에서 서울역(숭례문)까지 가는 3대 노선(503번, 504번, 505번) 중에서 가장 배차가 좋은 노선이다. 2대가 기차놀이 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고 2대가 동시에 지나간 후에 잠시 후 또 1대가 올 정도로 자주 오는 노선[3]이다. 그래서 세 노선 중 인지도는 가장 높은 편.
이동거리를 보면 영등포역과 여의도 쪽으로 가는 503번이 우세하지만 504번에 비해 배차가 상당히 안 좋다는 점이 옥의 티. 게다가 광명시 구간에서는 하안동공영차고지에서 광명우체국으로 곧바로 나가는 504번에 비해 503번은 하안동 투어를 한 후 서울 방면으로 오고간다. 경인로의 정체도 504번에 손을 들어 줄 때가 많았으나 경인로에 버스중앙차로가 설치되면서 이제는 옛말. 대신 503번은 원효로 구간의 정체가 문제다. 하지만 504번도 남부순환로 구간 정체가 문제다. [4]
철산동 구간이 503번,5536번,5714번 하고는 조금 다른데 언급한 세 노선은 광명경찰서에서 우회전한뒤 광명성애병원, 래미안자이, 철산한신 아파트를 지나서 철산교를 건너는 반면, 504번은 직진해서 철산역, 광명시청, 철산주공단지 (7~9, 12~13단지) 까지 다 돌고 철산교를 건넌다.
서울시의 유명한 빗자루 노선들중 하나였지만, 최근엔 무슨이유 때문인지 배차가 자주 벌어지는 편이다
노선 경로는 신대방삼거리역같은 약간씩 막히는 구간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이동상태가 원활하다. 신대방삼거리의 경우 막히는 이유가 다양한데, 가장 어이없는 이유 중 하나는 지난번에 자동차 가스값이 오르기 전날에 미리 가스충전을 하려고 주유소에 진입하려는 차량들로 인해 정체를 빚었던 적이 있었다.
주유소의 위치도 정체에 한몫한 이유중 하나인데, 주유소의 위치가 삼거리 코너에 있었기 때문에 우회전으로 빠지는 차선에도 가스를 넣기 위해 차들이 줄을 서 있어서 우회전으로 빠지는 차량들도 빠지지 못했기 때문에 더욱 막힐수 밖에 없었다.
지하철과의 연계는 대부분 걸어서 5분 이내로 역에 갈수 있을 정도로 잘 되어 있는 편이다.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노량진역, 용산역[5], 남영역[6], 서울역, 시청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 신림역, 을지로입구역, 시청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 신용산역, 삼각지역, 숙대입구역, 서울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 삼각지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 철산역, 신대방삼거리역, 장승배기역[7]
- 서울 지하철 9호선 : 노량진역, 노들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용산역[5], 서울역
- 인천국제공항철도 : 서울역
- 일반 철도역 :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용산역(KTX, ITX-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ITX-청춘)[5]
- ↑ 현재는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
- ↑ 토요일은 35대, 공휴일은 28대로 운행.
- ↑ 2004년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전 26번, 26-2번이 노선이 단축되면서 504번으로 투입되면서 차량 수가 늘어났고 개편 후 5629번의 폐선 또한 504번의 대량 증차에 영향을 미쳤다.
- ↑ 특히 시흥IC-구로전화국 사거리 구간하고 신림사거리 주변은 꽤 많이 막히는편, 철산교-수출의다리-디지털단지오거리구간도 출퇴근시간에 극심한 정체가 발생한다
- ↑ 5.0 5.1 5.2 신용산역 하차
- ↑ 숙대입구역 하차 도보 5분 거리
- ↑ 을지로입구역 방면 상도초등학교입구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