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워플레인/일본 테크 트리





월드 오브 워플레인
장비테크 트리지도
소모품승무원 스킬업적
월드 오브 워플레인 테크트리
미국전투기다목적 전투기중전투기공격기프리미엄
영국전투기다목적 전투기중전투기공격기프리미엄
독일전투기다목적 전투기중전투기공격기프리미엄
소련전투기다목적 전투기중전투기공격기프리미엄
일본전투기다목적 전투기중전투기공격기프리미엄
중국전투기다목적 전투기중전투기공격기프리미엄
프랑스전투기다목적 전투기중전투기공격기프리미엄
그 외 기체들
주포는 "Synchronized(S-엔진), Cowling-Mounted(C-동체), Wing-mounted(W-날개), Hub-mounted(H-허브)"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엔진의 성능은 숫자에 관계없이 엔진 1개의 성능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엔진 갯수에 카탈로그 성능을 곱한 값이 전체 출력/추력이 됩니다.
무장 역시 1정(또는 1문)의 성능과 가격으로 표시되며 각 구경별로 무장 갯수에 DPS를 곱한 값의 총합이 전체 화력이 됩니다.
다만, 후방 기총은 총좌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기총 수에 상관없이 하나로 취급합니다.
기체의 성능은 서버별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2023-08-06 11:47:14 현재 1.9.9 버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유럽은 SI 단위를 만든 세계답계 미터법이 표준화되었지만, 영국의 기관총 구경은 인치법으로 표기합니다.
구경인치법미터법
.3030.303 inch7.7 mm
.500.5 inch12.7 mm
중국서버에서는 "R계"[1]로 표기한다.

1 개요

이 트레일러에서 일본기가 구릴거라는걸 미리 알았어야 했어..

다른 모든것을 포기하고 선회전에 모든것을 건 궁극의 턴파이터
게임 CBT에서 NDA가 해제된 시점부터 2016년 현재까지 메타#s-2에서 벗어난 트리

2013년 CBT중에 추가된, 월드 오브 워플레인의 4번째 국가.
하지만 대우는 5번째 국가인 영국트리만도 못하고 버림받은 수준

처음 나왔을 때 일본 해군 항공대의 기체가 주축이 된 함상전투기 트리 1줄만 보유하고 있었으며, 2016년 9월 20일 이전까지 거의 3년간 1줄만 유지하고 있었다.

서비스 초창기부터 일본 육군항공대의 기체들이 추가될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고, 그에 맞춰서 떡밥도 꾸준히 돌았으나, 추가되지 않아 맥거핀 취급을 받으며 일본 트리를 타는 유저들에게 추가될듯 하면서 추가되지 않아 희망고문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워게이밍이 QnA에서 2016년 여름에 "새로운 일본기 트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하고 언급하며 신규트리를 예고하면서 그동안 일본트리의 성능으로인해 고통받던 유저들에게서 기대를 받았으나... 2016년 8월에 Ki-84 하야테같은 기체들로 이루어진 육군항공대 트리가 테스트를 거친후 [러시아 서버 기준] 9월 20일에 추가되었으나, 카탈로그 스펙상으로는 영 좋지 않은 성능을 뿜어내면서 결국 2차 희망고문으로 끝날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벤트가 종료되고 연구가 해금되는 2016년 10월 13일 이후에 운용데이터가 좀 더 쌓여야 희망고문으로 끝날지, 아니면 의외로 괜찮을지 확실해지겠지만.

2 특징

위에 서술했듯 1.9.6 업데이트 이전까지는 테크트리가 해군 항공대 트리(1차 전투기 트리) 한줄로만 구성되어있어, 사실상 해군항공대 트리의 특성이 일본트리 전체의 특성이라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었으며, 일본 2차 전투기 트리가 등장할때 먼저 등장한 1차 전투기 트리와 전체적으로 비슷한 특징을 보유하고 등장하면서 국가의 특징 자체가 1차 전투기 트리쪽으로 굳어지기 시작했다.
육군 : 해군 니놈 때문에 내 이미지까지 안 좋아졌잖아.
해군 : 웃기고 자빠졌네. 니놈도 원래 평판 안좋았거든?

저고도 선회전에 특화되어있으나 중고도 전투도 제한적으로 가능한 소련트리와는 다르게, 엔진이 영 좋지 않아 중고도 전투를 포함한 다른 모든것을 포기하고 저고도 선회전에 목숨을 건 수준으로 성능이 맞춰져 있으며, 그 덕에 저고도 선회전의 끝을 보는 국가. 2차 전투기 트리는 선회성능을 어느정도 포기하고 고도성능에 합의를 봐서, 소련같이 중고도에 올라갈 수는 있다.

다른 기체에 비해 선회능력이 압도적이라서 적 대공포화에 노출된 게 아닌 이상은 1:1 선회전 중에는 무서울 게 전혀 없다. 저, 중티어 기체들은 전체적으로 물렁살이기에 일본기의 화력과 선회의 콜라보레이션 시너지 효과를 확실히 체험할 수 있고, 그 덕분에 1:3에서도 한번에 한대씩 적을 붙잡고 격추하는 OP스러운 모습을 보이나, 티어가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부실한 내구도, 카탈로그 스펙만 좋고 실 성능은 영 좋지 않은 엔진 성능, 그리고 그 엔진성능에서 따라나오는 처참한 고도성능이 플레이어의 발목을 잡는다. 교전을 시작할때 위에서 덮쳐오는 고고도기에게 온갖 기동을 시도해도 내구도가 반 이상 까여나가는건 기본이요, 재수없으면 한방에 격납고로 사출되며, 만약 살아남았더라도 적 기체는 고고도에서 덮쳐오며 얻은 에너지와, 엔진 부스팅 남은걸로 고고도로 복귀해버리니 닭쫓던 개 지붕 쳐다보는 꼴이 나서 다시 내려오는거 맞고 순삭나는걸 기다릴수 밖에 없는 상황.

이 단점은 10티어에 가까우면 가까워질수록 더 처참한 수준으로 발목을 죄어서, 소련과 마찬가지로 적의 공격기나 잡아야하는 신세로 전락하게된다.물론 공격기를 잡는게 쉽다는 것은 아니다.
저티어에선 공방을 지배하나 티어를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오히려 성능이 안좋아지는, 끝이 안 좋은 국가. 혹시나 일본트리를 갈 유저는 이 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칸코레 렛푸 생각하고 렛푸 타면 멘붕한다
근데 칸코레 하는 사람이 뭐하러 워플레인을 흥미를 가지겠어, 워쉽을 하러 가겠지

엔진 성능도 약간 갖고있으면서 HP도 전체 평균을 찍던 소련과는 달리 엔진 성능도 없으면서 기체의 HP가 5티어가 타국 2티어와 동급[2]인 종잇장 내구도였으나, 1.3 업데이트를 통해 기체의 HP가 전체적으로 상향되어 동티어에 비해 심히 후달리는 수준은 아니게 맷집이 올라갔다.
그걸 감안해도 다른 국가의 기체들과 비교하면, 내구도도 제일 낮고, 연료탱크의 화재확률도 제일 높아, 종이장갑인 기체인점은 여전하다.
내구도 버프된 걸로 좋아했더니, 떨어지기까지 전보다 0.2초밖에 더 못버티더라...

일본 트리 유저중 일부는 워게이밍이 버린 게임이 버린 국가, 너무 성능이 안좋아서 아무도 안타는 바람에 통계에 나오지 않아 개발진이 까먹은 국가, 워쉽의 을 위해 제물로 바쳐진 트리 같은 이야기를 꺼낼 정도로 처참한 상황을 자랑한다.
메타에서 어긋난 스탯을 장점으로 삼는 바람에 실 전투에서는 그 장점을 갖기위해 포기한 단점만을 체감하게 되는 기체.

일본트리를 타면 잘 적응할수 있는 대상은 다음과 같다.

  • 나는 일본 기체를 좋아한다. 나는 일빠
  • 공중전은 하늘의 신사들이 벌이는 결투라고 생각한다.
  • 트리 시작부터 끝까지 계속 박혀있는 지뢰들을 전부 견딜수 있는 부처멘탈을 지닌 자
  • 기체를 풀업하고 시작할만큼 자경을 잔뜩 가지고 있는 자.
  • 맞는거 좋아하는 마조히스트
  • 나는 지는게 좋다

이 첫번째 목록에 해당사항이 많다면 일본 트리를 타도 잘 적응할수 있다
어서오시오 고난의 길에

일본 트리를 타지 않는것이 좋은 대상은 다음과 같다

  • 나는 일본 기체를 싫어한다. 나는 일까
  • 공중전은 개싸움처럼 난장판이며, 이기기 위해서는 뭐든 하는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 나는 월탱에서도 지뢰전차 넘는게 정말 짜증나고 지긋지긋했다
  • 나는 선회전을 별로 안좋아한다.
  • 나는 상대에게 프리딜 당하는게 싫다
  • 나는 지는게 싫다

이 2번째 목록에 해당사항이 하나라도 있다면 일본트리를 타지 않는것이 좋다.

2.1 전투기 트리

2016년 8월까지 1줄만 존재하던 일본트리에서 2,3,4,5,6,7티어를 담당하는 아직까지는 일본 트리의 척추. 2016년 9월에 추가된 2차 전투기 트리/육군 항공대 트리도 기체들이 전부 이 범주로 들어간다.

1차 전투기 트리는 낮은 HP와 화력, 느린 속도, 빨리 과열되는 기관포를 선회전으로 만회해야 한다. 할수 있다면 8,9,10티어 기체는 30mm 4문이라는 엄청난 화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다목적 전투기로 병과가 변경되었다.

베타 당시에는 사기급 스펙을 고루 갖추고 나올 정도로 성능이 굉장히 출중했었다. 게임내 기체는 죄다 쌈싸먹는 기동성을 들고 나오면서[3] 숙련자가 잡으면 흉악했던 국가로, 숙련자가 잡은 일본 전투기 상대로 1:1을 할 경우 진짜 한 대도 못 때려보고 빙빙 돌다가 격추되는 경우가 빈번했었다.[4]

그러나 그건 그때 일이고 현실은 시궁창. 2016년 9월 현재 1차 전투기 트리의 성능은 베타 당시의 성능이 상상도 안가는 수준으로, 1:1 상황에서 일본기를 이길수 없는 기체는 공격기말고 없는 수준이며, 공격기쪽 유저의 실력이 좋고 일본기가 8~10티어 신덴이 아니라면 공격기의 후방기총에게 역관광 당하는것도 자주 볼수있는 그야말로 워플레인내 최약체로 전락했다...[5]

2차 전투기 트리는 1차 전투기보다 좋은 고도성능을 보유하고 있어, 소련 1차 전투기 트리/라보츠킨 트리와 같은 중고도 선회기 포지션을 기대할 수도 있었으나, 일뽕 워게이밍 사이에서 혼자 일까인 워게이밍 키에프의 저주를 받아 1차 전투기 트리만도 못한 심각한 물몸과, 고티어가 가진 심히 구린 성능의 30mm 기관포로 인해 제대로 공방에서 운용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정식 업데이트 이전에 받았던 기대[6]를 고속으로 날려먹는 중이다.

2.2 다목적 전투기 트리

1.6패치를 통하여 1차 전투기 트리에서 8,9,10티어를 맡은 J7W 신덴 계열의 기체들과, 1티어 전투기인 91식이 다목적 전투기로 변경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나머지 기체들의 폭장이 전부 사라졌다. 이 넷들의 특징은 원래 1차 전투기 트리 계열 함재기/전투기다 보니

3 패치 내역

NDA 이전의 패치내역은 당시 NDA 규정상 유출이 불가능했으며, 지금까지 불가능할수 있으니 3년이 지난 지금까지?? NDA 해제 이후의 패치내역만 추가 바람

정식 오픈 이전의 0.5.3 패치로 5티어와 6티어에 각각 존재하던 A6M5 제로와, A7M 렛푸가 업그레이드 부품을 받은채 티어가 올라갔고, 5티어 자리에는 A6M2 제로센이 추가되었으며, 당시 7티어던 J4M 센덴이 렛푸에게 자리를 뺏기며 삭제되었다..[7] 그리고 렛푸는 영원히 고통받는다

1.1 패치로 트리 전체가 버프를 받았다. 이전까지는 5티어 A6M2를 찍어도 다른트리 2티어를 보는듯한 두자릿수 HP를 자랑했으나 전체적으로 HP가 버프되면서, 그 일이 사라졌으며, 8~10티어 J7W 신덴계열은 그 대신 기동성이 소폭 너프당했다.

업데이트 1.4.0 패치때 6티어 프리미엄 전투기로 카와사키 Ki-88이 추가되었다.

업데이트 1.5에서 9,10티어인 J7W2, J7W3 신덴에 250kg 폭탄을 싣는 폭장이 추가되었다.

업데이트 1.6에서 0.5.3 당시 삭제되었던 7티어 J4M 센덴이 성능 재조정을 받아 프리미엄 기체로 돌아왔고, 다목적/일반 전투기 분류 대격변이 일어난것에 영향을 받아 1티어 Type 91에게 폭탄이 생겼으며, J7W 신덴 라인이 HP 버프,화재률 하락, 롤 기동성 상승, 부스팅중이 아닐때의 엔진성능, 30mm 기관포의 성능을 버프받으며 조종성이 너프되었다. 그리고 0.5.3 이후로 계속 고통받던 렛푸도 전체적인 성능을 버프받는 특혜를 누렸으며, 1.5 패치에서 폭장이 추가된 신덴계열과, 이 패치에서 폭장이 추가된 1티어 Type 91을 제외한 모든 기체에게서 폭장이 삭제되었다. 아이고, 안그래도 적 전투기 잡는거 고달파서 폭장으로 경험치 벌어먹고 살았더니, 그거 뺏어가면 우린 뭐 먹고 살란말이오

업데이트 1.8에서 8티어 프리미엄 기체인 J8M 슈스이가 추가되었다.

1.9.4에서 렛푸의 내구성이 버프되고 30mm화력과 명중률이 버프를 받아서 10티어급 30mm 4문의 신덴시리즈의 화력이 거의 중전투기에 달하는 수준이 되었다.[8] J4M 센덴도 20mm 기관포의 명중률과 식는 속도가 올라가는 버프를 받았다.

1.9.6 패치에서 일본 2차 전투기 트리가 등장했다.

추가바람
  1. Japan이니까 J가 아니냐고 물을 수 있지만, 실제로 중국에서는 "Rìběn"이라고 부른다.
  2. 월탱으로 예를 들자면 셔먼 기준 460인 5티어 중형전차의 체력이 2티어 T2 MT와 동급인 170인 셈.
  3. 물론 화력은 독일보다 부족했지만, 일단 맞아야 공격력 운운 할 수 있다...
  4. 2023-08-06 11:47:14 현재 기준 트리의 발목을 심각하게 쥐어뜯는 '처참한 고도성능'이 베타 초창기에는 아예 존재하지 않았고, 중반부에도 지금에 비하면 굉장히 느슨했기에 카탈로그 스펙을 그대로 내는 엔진으로 어느정도 중~고고도전도 시도해볼수 있었던 시절이었으니...
  5. 정확히 말해서는, 일본기가 베타시절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잘하는 선회전으로 끌고들어가는데 성공하기만 한다면 여전히 1:1 최강자이나, 패치를 거듭하면서 그게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6. 성능이 멀쩡하다거나, 소련 3차 전투기 트리/MiG트리처럼 고고도 기체로 등장한다거나 하는
  7. 그리고 센덴은 업데이트 1.6에서 프리미엄 기체로서 돌아오게 된다.
  8. 그렇다고 속사형이 된 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