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워플레인/미국 테크 트리/다목적 전투기

월드 오브 워플레인
장비테크 트리지도
소모품승무원 스킬업적
월드 오브 워플레인 테크트리
미국전투기다목적 전투기중전투기공격기프리미엄
영국전투기다목적 전투기중전투기공격기프리미엄
독일전투기다목적 전투기중전투기공격기프리미엄
소련전투기다목적 전투기중전투기공격기프리미엄
일본전투기다목적 전투기중전투기공격기프리미엄
중국전투기다목적 전투기중전투기공격기프리미엄
프랑스전투기다목적 전투기중전투기공격기프리미엄
그 외 기체들
주포는 "Synchronized(S-엔진), Cowling-Mounted(C-동체), Wing-mounted(W-날개), Hub-mounted(H-허브)"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엔진의 성능은 숫자에 관계없이 엔진 1개의 성능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엔진 갯수에 카탈로그 성능을 곱한 값이 전체 출력/추력이 됩니다.
무장 역시 1정(또는 1문)의 성능과 가격으로 표시되며 각 구경별로 무장 갯수에 DPS를 곱한 값의 총합이 전체 화력이 됩니다.
다만, 후방 기총은 총좌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기총 수에 상관없이 하나로 취급합니다.
기체의 성능은 서버별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2023-08-05 06:30:42 현재 1.9.9 버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유럽은 SI 단위를 만든 세계답계 미터법이 표준화되었지만, 영국의 기관총 구경은 인치법으로 표기합니다.
구경인치법미터법
.3030.303 inch7.7 mm
.500.5 inch12.7 mm

1 개요

미군 멀티롤은 크게 함재기와 육상기로 구분된다.

함재기는 커세어 트리[1][2]로 강력한 엔진성능과 절륜한 20mm의 화력이 주특기이다. 기본적으로 명중률이 뛰어나서 적기를 맞추기가 쉬운 편이며, 특히 9티어 F-94D의 최종 무장인 M61 발칸으로 절정에 달한다. 선회가 전투기에 비해 약간 밀리는 편이므로 전투기 상대로 선회전은 자제. 9티어부터는 그나마 강점이었던 롤링도 1.9때 제대로 너프먹어서 둔한 녀석이 되어버렸다.[3] 외장으로는 투하용 폭탄(500파운드 기준 2~4발) 또는 5인치 로켓(최대 8발)이 주무장이지만, F-94D의 경우는 2.75인치 공대공 로켓 24발을 장착할 수 있다. 커세어 트리의 기본 전술 교리는 자신이 고탑인 경우 일격이탈에 기반한 자유사냥 플레이를, 동티어방이거나 낮은 티어로 배정받은 경우 팀과 함께 움직이자. 성능이 애매하기 때문에 단독행동은 자제하는 편이 좋다.

육상기는 썬더볼트 트리로, 8티어까지는 커세어트리와 중전투기의 중간 정도의 성능을 발휘하다가, 9티어부터는 중고도 선회기가 된다. 주무장은 12.7mm(......)이며, 외부 무장으로 커세어는 8발까지 달고 다니던 5인치 로켓을 12발까지 달고 다니는 것도 모자라, 초대형 로켓인 타이니 팀[4] 까지 같이 달고 다니는 기염을 토한다. 로켓을 2종 이상 달고 다니게 되므로 이 경우 타이니 팀은 폭탄 투하 버튼으로 사용하게 된다. 8티어까지는 중전투기 수준의 운용성이 요구되는데, 기관총만 쓰기 때문에 근접플레이까지 겸해야한다. 초보자에겐 어려운 난이도.

2 기본 기체

2.1 Boeing P-12 - 1티어

세계대전 사이의 전간기에 미 육군 항공대와 미 해군에서 운용된 복엽 전투기입니다.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R-1340-8425 마력330 kg공랭식1티어스톡00
R-1340-7450 마력350 kg공랭식1티어751,230
R-1340-17525 마력450 kg공랭식2티어최종1301,340
엔진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
7.62mm M1919A4 (S) 2정17600380301티어
외부 장착 무기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100파운드 폭탄 2발1,10050452티어최종220125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F4B-1657801티어스톡00
P-12E757002티어최종, R-1340-7 엔진 연구 필요.1201,650
게임 시작시 기본으로 제공되는 기체

딱 평범한 1티어급 전투기. 스톡 기총이 곧 풀업 기총이다. 그래도 7.62mm가 엄청나게 구린 것은 아니므로 그럭저럭 할 만하다. 속도나 선회력 모두 뒤처지는 면이 없으므로 평범하게 잘 몰아주면 된다.

3 1차 다목적기 트리

저고도 선회기에서 죽음의 휘파람으로

커세어 트리/해군 항공대 트리 라는 이명이 있는 미국의 첫번째 다목적 전투기 트리로, 이명에 걸맞게 미 해군 항공대에서 운용된 기체들이 주를 이룬다. 그로 인해서 정식 오픈 이전에 있던 0.5.3 업데이트 이전까지는 '함재기/함상전투기'라는 병과로 분류되었으며, 그 업데이트에서 함재기 병과가 사라져, 일반 전투기로 분류되었다가, 이후 1.6 업데이트에서 F6U 파이렛을 제외한 모든 기체들이 다목적 전투기라는 병과를 새로 받았지만 지금도 "함재기 트리"로 널리 통하고 있다.

저티어와 고티어의 특징이 각기 다르다. 저티어는 3티어까지 복엽기라서 전체적으로 저고도 선회기에 가까운 성능을 보이지만, 6티어 F4U-1 커세어를 기준으로 고티어는 선회능력을 잃는 대신 강력한 화력을 부여받았다. 화력은 경쟁자로 취급되는 독일의 포케불프 트리에 비해서 밀리는 수준이나, 일반 전투기들에 비해서는 그럭저럭 괜찮은 수준이며, 20mm 기관포 특유의 긴 사거리로 인해 상대적으로 편하게 딜을 넣을 수 있다.

1.9.2 업데이트로 2차 다목적기 트리/썬더볼트 트리가 추가되면서 서로 비교가 종종 되는데, 1차 다목적기 트리는 20mm 기관포로 인해 무장의 사거리가 길고, 다목적기 트리 기체들 중 1티어랑 다목적기라고 보기 힘든 신덴들 떼고는 선회가 제일 좋다. 그 대신 2차 다목적기 트리 기체들보다 근접화력이 많이 밀린다.

3.1 Grumman 계통

1차 다목적기 트리의 전반부를 담당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는 다른 국가들의 저티어가 일반적으로 그렇듯이 저고도 선회기인 성향이 강하다. 특히 3티어 F3F에서는 동티어 정규 트리 중 유일하게 "복엽기"라는 업적을 달성하며 선회력 최강자리를 집어먹는 등, 선회전을 좋아하는 유저에게는 황금기인 시기라고 할 수 있다.

5티어 자리에 들어있는 F4F 와일드캣이 전반부의 끝이지만, 현실의 카탈로그 스펙이 그렇듯 A6M2 제로센 21형과 맞붙으면 스펙에서 열세인 부분이 많은 탓에 F4F 와일드캣 대신 F6F 헬캣을 원하는 유저들이 많다.
물론 F4F 와일드캣을 많이 잘다루면 현실의 교환비가 보여주듯 A6M2를 찢어버릴수 있다는건 함정

그러나 1.9.4 이후 워게이밍은

"항공모함의 나머지 고양이들은 빠른 시일 내에 나오지는 않을 것입니다." 개발자 QnA

라고 못을 박았으니, 아직 헬캣을 보려면 한참 먼 것 같다.[5]

3.1.1 Grumman F2F - 2티어

복좌 함재기인 FF-1의 단좌형이며, 1940년 9월에 모두 훈련기로 전환되었습니다.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R-1535-44625 마력420 kg공랭식2 티어스톡00
R-1535-72650 마력440 kg공랭식2 티어1952,180
R-1535-98700 마력490 kg공랭식3 티어최종2304,000
엔진 장착 주포 1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
7.62mm M1919-A4 (S) 1정17600380301티어
엔진 장착 주포 2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7.62mm M1919-A4 (S) 1정17600380301티어스톡00
12.7mm BMG1921 (S) 1정28500440603티어최종3607,800
외부 장착 무기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100파운드 폭탄 2발1,20070452티어최종220125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XF2F-1901,1321티어스톡00
F2F-1901,1222티어최종1653,300
요구 경험치가격
125 xp3,500 크레딧

3.1.2 Grumman F3F - 3티어

1930년대 최고의 복엽기 중 하나로, 1941년 말까지 운용되었습니다.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R-1535-72650 마력440 kg공랭식2 티어스톡00
R-1535-84700 마력450 kg공랭식3 티어6307,270
R-1820-22950 마력520 kg공랭식4 티어최종90015,300
엔진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7.62mm M1919-A4 (S) 2정17600380301티어스톡00
12.7mm M2 (S) 2정38700460604티어최종85017,600
외부 장착 무기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100파운드 폭탄 2발1,20070452티어최종220125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XF3F-11051,2602티어스톡00
F3F-31151,2903티어최종79010,550
요구 경험치가격
1,500 xp33,000 크레딧

3티어 유일의 복엽기

다른 나라는 2티어를 기준으로 복엽기가 끝났겠지만[6] 유일하게 이 티어만 3티어까지 복엽기가 이어진다. 복엽기라서 속도는 떨어지지만 선회전에서 일본기를 이긴다. 아직까진 난전이 주 무대인 3~4티어 방에서는 꿇리지 않고 싸움을 할 수 있다. 다만 복엽기 특유의 물몸은 주의.

3.1.3 Brewster F2A Buffalo - 4티어

영국, 네덜란드, 핀란드 공군으로 수출되었으며, 태평양 전쟁 초기에 사용되었다.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XR-1820-G1850 마력500 kg공랭식3티어스톡00
R-1820-34950 마력520 kg공랭식4티어1,08015,500
R-1820-401,200 마력600 kg공랭식5티어최종1,55033,500
엔진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
12.7mm M2 (S) 2정38700460604티어
날개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0스톡00
12.7mm M2 (W) 2정38700460604티어최종85015,600
외부 장착 무기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100파운드 폭탄 2발1,20070452티어최종220125
기체내구도무게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F2A-11751,7313티어스톡00
F2A-22001,7804티어최종1,00023,900
요구 경험치가격
3,560 xp137,000 크레딧

그루먼 속에 숨은 첩자

스톡 시기에는 화력도 F3F랑 동일하면서 선회가 확 까여나가는 다른 트리들은 보통 3티어에서 이미 겪어봤던 고통을 겪는다. 날개에 달 M2 기관총을 머스탱 트리 5티어 P-40 워호크에서 떼어올 수는 있는데, 머스탱 트리도 4티어 P-36의 성능이 그렇게 좋은 것도 아니어서 어느 쪽으로 가나 고통인 건 변함이 없었다.

과거에는 어떻게든 스톡 기간을 참고 버티면 20mm Hispano-Suiza HS.404 기관포를 날개에 2문을 달 수 있어서 아군이 어그로를 끌면 뒤에서 기관포로 4티어답지 않은 딜을 넣을 수 있었는데[7] 마치 23mm Madsen이 달렸던 시절의 P-36 Hawk를 연상케 한다.

덤으로 과거에는 M2 중기관총도 과열이 잘 안되는 건 아니라서 20mm 과열됐다고 제로센처럼 기관총 죽어라 쏘고 다닐 수도 없었던 건 함정...

그 후 1.6패치로 20mm 기관포가 삭제되면서 화력이 대폭 감소했으나, 그 대신 M2의 과열이 어느 정도 해결되면서 스톡 자체는 어느 정도 탈 만한 정도로 나아졌다.

여담이지만 알파/클로즈베타 테스트 당시의 전설로 F2A 버팔로에게 처음에는 12.7mm M2가 8정이 달렸다는 전설이 떠돌고 있으나, 사실확인이 되지 않았다.
만약에 지금까지 달렸으면 이건 이거대로 캣사기..

튜토리얼 3단계지만 4티어부터 할 수 있는 임무인 Dogfight Training에서 이 기종을 운용해볼 수 있다.

3.1.4 Grumman F4F Wildcat - 5티어

태평양 전쟁 초기의 최고의 함상 전투기로, 외형은 전쟁 말기까지 유지되었습니다.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R-1830-761,200 마력567 kg공랭식5 티어스톡00
R-1830-941,350 마력580 kg공랭식5 티어3,05032,700
XR-1820-701,450 마력620 kg공랭식6 티어최종4,70049,600
날개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12.7mm M2 (W) 4정38700460604티어스톡00
12.7mm M2 (W) 6정38700460604티어최종, 동체 연구 필요015,600
외부 장착 무기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100파운드 폭탄 2발1,20070452티어220125
250파운드 폭탄 2발3,300801134티어2,400700
5인치 HVAR Mk.4 로켓 6발1,20040648티어최종14,500300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F4F-32352,6134티어스톡00
F4F-42502,7634티어최종3,10045,500
요구 경험치가격
12,500 xp336,000 크레딧

P-40 워호크에 이은 미제 분무기 2호

12.7mm M2 중기관총 최대 6문이라는 적당한 화력. 체력이 기본 235, 동체를 업그레이드하면 250이라는 전투기 치고 괜찮은 맷집을 자랑한다. 속도는 동급 5티어에 비하면 그리 높진 않지만 부스트 시간이 20초 수준에 달하는 18초이기 때문에 여차하면 이 부스팅 성능을 이용해 붐앤줌 놀이도 가능하다. 다만 운항고도가 높진 않으니 이 점 주의. 아직까지는 선회 능력이 괜찮은 편이기 때문에 수틀리면 강제 플랩 전개로 선회전에 돌입하는 전술도 써먹을 만하다.[8]

폭탄 장비도 가능하며 결정적으로 8티어급 로켓인 5인치 HVAR Mk.4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일단 업그레이드만 해놓으면 뒤의 커세어 시리즈까지 모두 호환이 되었고, 옛날에는 머스탱들에도 달려서 로켓을 쓸 거라면 필수 업그레이드 였으나,[9][10] 이후 패치로 8티어 슈퍼 커세어의 로켓은 개량형인 HVAR Mk.25로 바뀌어서 필수 업그레이드까지는 아니다.

최종 엔진인 XR-1820-70에서 다음 티어인 F4U-1을 연구할 수 있다.

3.2 Chance-Vought 계통

1차 다목적 전투기 트리의 후반부를 담당하는 파트로, 커세어 트리라는 이명은 여기에 해당되는 기체중 6, 7, 8티어가 죄다 커세어라서 그렇다.

강력한 엔진성능과 20mm 4문이 주 특징으로, 그만큼 속도와 화력이 출중하다. 평균적으로 일반 전투기들보다 빠르지만 그만큼 기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역으로 뒤를 잡히기 쉬운 편이므로 이때부터 일격이탈에 기반한 플레이가 요구된다. 뛰어난 화력과 속도성능으로 중전투기를 요격하기 좋은 트리이기도 하다.

본래 함재기 트리로 9티어에 F6U가 배정되었으나, 1.6 패치로 멀티롤 트리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폭장이 없는 F6U만 전투기로 밀려나고 그 자리에 F-94D가 들어왔다. 물론 이녀석도 기본적으로 20mm 4문을 장착하는건 똑같지만, F-94D는 아래에서 서술할 M61 발칸포를 최종 무장으로 받았기 때문에 F6U 파이렛과는 화력 격차가 좀 있다.

3.2.1 Chance-Vought F4U-1 Corsair - 6티어

2차 세계대전 시기에 가장 많이 제작된 미 해군 전투기들 중 하나이며, 지상전, 해전 모두에 투입되었습니다.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XR-2800-41,805 마력950 kg공랭식6 티어스톡00
R-2800-51,850 마력1,000 kg공랭식6 티어6,30055,900
R-2800-82,000 마력1,100 kg공랭식7 티어최종11,90062,700
날개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12.7mm AN/M2 (W) 6정45750480606티어스톡00
20mm M2 (W) 4문90400700906티어최종6,20030,000
외부 장착 무기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500파운드 폭탄 2발6,0001002255티어3,150950
5인치 HVAR Mk.4 로켓 8발1,20040648티어최종14,500300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XF4U-12754,0545티어스톡00
F4U-1A3204,1006티어최종9,45078,500
요구 경험치가격
25,000 xp907,000 크레딧

본격 선회 버리고 엔진깡패로 거듭나는 시작점

일단 출고했다면 엔진부터 업글하자. 어차피 엔진 업그레이드는 다음 티어로 가는 필수 업그레이드이기도 하다. 엔진 업그레이드가 안 된 커세어의 별명이 날아다니는 벽돌인 만큼 정말로 말 그대로 쓸 데가 없다. 엔진 1업을 했다면 그 다음으로 무장을 연구해주자. 기본 무장은 5티어 와일드캣과 같지만, 무장 업그레이드를 하면 20mm M2 기관포 4문을 장착할 수 있으며,[11] 일단 장착하면 강력한 화력으로 충분히 보답해줄 것이다. 이후 업그레이드는 취향에 따라 순서를 정해주자. 동체를 업그레이드하면 P-51A와 유사하던 새장 캐노피에서 우리가 익숙하게 본 진짜 커세어의 모습으로 환골탈태하게 될 것이다.

진정한 가치는 업그레이드한 뒤부터 나온다. 튼튼한 맷집은 덤이지만 그만큼 덩치가 커서 피탄율이 좀 높다. 운항고도는 1600m지만, 부스팅 성능이 전티어에 비해 몰라보게 좋아지므로 이 차이를 극복할 수 있다. 해군 함재기 특성상 그런대로 나쁘지 않은 기동성은 들러리. 롤링 성능도 증가하여 방향전환 능력이 향상된다.

이제부터 운용 방식이 바뀐다. 선회능력 대신 강력한 엔진성능을 받은 이상 중전투기처럼 일격이탈에 기반한 플레이가 요구된다. 물론 기동성이 저하되었다고는 해도 중전투기를 상대로는 부족함이 없으며 강력한 20mm 4문과 20초로 오래 가는 부스트성능으로 가볍게 추격할 수 있으며, 특히 상대가 라이트닝이라면 때로는 대담하게 헤드온을 걸어보자. 제아무리 37mm라도 빗나가면 라이트닝도 얄짤없다. 자신이 탑티어를 먹고 들어가서 걸리면 그냥 죽는 모스키토나 호넷과는 180도 다르게 자유롭게 일격이탈에 기반한 사냥을 즐기면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후방에서 화력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싸우는 편이 좋다.

500파운드 폭탄 2발이나 와일드캣으로부터 유일하게 물려받은 5인치 HVAR 로켓탄 8발도 장착 가능하다.[12] 커세어에서 연구하는게 귀찮다면 로켓은 와일드캣에서 경험치를 모아서 연구해도 된다. 어차피 폭장 달고 싸울 일은 드물기 때문이다

0.5.3 패치로 F4U-1과 F4U-4로 분리되었다. 1.6패치로 기동성이 대폭 너프되고 주무장의 화력이 강화되었지만, 1.9패치에서 무장 업그레이드 시 받았던 기동성 패널티가 삭제되어 조금이나마 상향 보정되었다.

풀업 엔진인 R-2800-8에서 F4U-4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 풀업 무장인 M2에서 중전투기인 F7F로 트리를 옮겨갈 수 있다.

3.2.2 Chance-Vought F4U-4 Corsair - 7티어

F4U-1의 개량형으로, 태평양 전쟁과 한국 전쟁에 투입되었으며, 총 2,557대가 제작되었습니다.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R-2800-82,000 마력1,100 kg공랭식7티어스톡00
R-2800-8W2,250 마력1,100 kg공랭식7티어15,50089,500
R-2800-18W2,450 마력1,200 kg공랭식8티어최종20,100110,000
날개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12.7mm AN/M2 (W) 6정45750480606티어스톡00
12.7mm MG-53-2 (W) 6정50800500607티어00
20mm M3 (W) 4문115420760908티어최종19,50047,150
외부 장착 무기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500파운드 폭탄 2발6,0001002255티어3,150950
5인치 HVAR Mk.4 로켓 8발1,20040648티어최종14,500300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
F4U-43504,0547티어
요구 경험치가격
64,700 xp1,320,000 크레딧

죽음의 휘파람에게 찾아온 최고 전성기
다 좋은데 말야 저놈의 제트기만 없으면 좋겠군

0.5.3 업데이트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다가, 0.5.3에서 F4U 커세어가 F4U-1과 F4U-4로 분리되면서 추가된 기체.
그로 인해 커세어 시리즈에서 유일하게 동체 업그레이드가 없다. 커세어가 다 그렇듯 엔진 업그레이드부터 해야 하지만, 스톡 무장은 여전히 50구경 6정이다. 전티어에서 사용하던 20mm M2 기관포도 못 떼어오니 스트레이트로 커세어 트리만 탔다면 스톡지옥을 맛볼 수 있다.

그래도 다행인 점은 미국 트리답게 트리별 무장 호환은 어느정도 되는 편이라, 1업 무장인 12.7mm MG-53-2(W)는 P-51A 또는 P-47N에서 연구했다면 바로 들고 올 수 있으며, 20mm M3(W) 기관포는 F7F 타이거캣에서 연구해서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일단 후자의 조건을 만족시켰다면 편하게 엔진 업그레이드만 하면 된다. 엔진 업그레이드를 마쳤다면 전티어처럼 강력한 엔진성능으로 보답할 것이다.

과거에는 20mm 기관포를 얹으면 기동성에서 페널티를 받았지만, 1.9 업데이트에서 무장의 무게가 차이가 없다면 기동성에 페널티를 주지 않게 바뀌면서 걱정없이 20mm M3를 얹을 수 있게 되었다.[13] 참고로, 풀업 무장인 M3는 8티어 F2G의 최종무장이기도 하다.
물론 이걸 업그레이드하지 않고 기관총으로 싸우는 하드코어 플레이를 즐기는 유저는 없겠지만

엔진을 풀업하면 중전투기 수준의 속도성능을 자랑하며, 20mm M3를 연구하면 동티어 중전투기급 화력으로 저티어 비행기를 순삭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내구도 역시 350이라는 무시못할 맷집을 자랑하기 때문에 운 좋으면 낮은 티어의 중전투기(특히 라이트닝)도 헤드온으로 박살내는 기행을 보이기도 한다. 다만 풀업한 Me 410나, 동티어 중전투기, 혹은 화력은 중전투기급인 미티어[14] 상대로 헤드온을 걸었다간 자기 자신의 영혼까지 갈려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으므로 대놓고 헤드온은 금물이다. 동티어 기준 중전투기측도 커세어와의 헤드온이 손해가 크기에 피하는 경향이 크지만, 중전투기는 중전투기이므로 기수에 집중된 명중률 높은 무장으로 커세어를 휙 찢어버리고 이탈하는게 가능하며, 그 동안 커세어가 호넷/F7F/109Z에게 줄 수 있는 대미지는 커세어가 체력이 가득 차있을 때 덤벼서 잘 띄워도 중전투기 체력의 절반 정도다. 적 중전투기가 마지막으로 남은 적 기체에, 체력이 빈사상태에 있는것이 아닌 이상은 무리해서 헤드온을 하기 보다는 기동성으로 중전투기의 꼬리를 잡는것이 좋다.

풀업한 F4U-4는 커세어 시리즈 중에서 티어 대비 성능이 가장 좋으며, 전체적으로 경량화된 중전투기라는 느낌을 준다. 2,500마력에 근접한 엔진성능에서 빠른 속도가 나오고, 한 티어 위의 무장을 갖다 써서 중전투기 뺨치는 화력을 자랑한다.[15] 기동성도 전투기급까지는 아니지만 선회력도 20초대 중반으로 썬더볼트나 포케불프처럼 부족한 수준은 아니며, 롤링 성능도 여전히 초당 130도로 준수하다.

기본적인 운용 방식은 전티어와 비슷하나, 8티어부터는 제트 전투기가 등장하는 시기이므로 프롭기의 한계를 슬슬 겪기 시작할 시기이기도 하다. 가장 위협적인 상대는 8티어 제트 전투기인 Yak-15로, 속도와 기동성에서 모두 상위호환이므로 저고도 전투시 뒤를 잡히지 않도록 유의하자.

1.6패치로 기동성이 대폭 너프되고 주무장의 화력이 강화되었다. 과거에는 20mm를 달 경우 기동성이 낮아지는 디버프가 있었으나 1.9 패치로 디버프가 없어졌다.

풀업 엔진인 R-2800-18W 에서 8티어 F2G를 연구할 수 있다.

3.2.3 Goodyear[16] F2G Super-Corsair - 8티어

F4U의 속도 개량형으로, 전후에 개최된 에어 레이스에서 우승해 유명세를 탔습니다.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R-4360-42,650 마력1,400 kg공랭식8 티어스톡00
R-4360-203,000 마력1,500 kg공랭식9 티어26,700169,000
R-4360-413,500 마력1,600 kg공랭식9 티어최종27,500184,000
날개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20mm M2 (W) 4문90400700906티어스톡00
20mm M3 (W) 4문115420760908티어최종19,50047,150
외부 장착 무기 1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5인치 HVAR Mk.25 로켓 8개1,40040649티어최종17,800600
외부 장착 무기 2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500파운드 폭탄 2개6,0001002255티어3,150950
1,600파운드 폭탄 2개22,0001257256티어최종5,1201,750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F4U-1WM4003,9307티어스톡00
F2G-14504,0308티어최종23,700150,000
요구 경험치가격
91,530 xp2,380,000 크레딧

다 좋은데 화력이 뭔가 좀 아쉽다
중전투기를 능가하는 강력한 엔진성능

0.5.3 패치전에는 7티어였으나, 중전투기 트리가 등장하면서 함재기 8티어였던 XF5U 팬케이크가 8티어 중전투기로 넘어가고, 그 빈자리를 채우게 되었다. 덤으로 이전티어였던 F4U는 비슷한 사례인 A6M1과 같이, F4U-1/F4U-4 2종으로 쪼개어져 빈자리를 채웠다.

일단 스톡 무장은 더이상 12.7mm 기관총 계열 무장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6티어 F4U-1이 쓰던 20mm M2 기관포이며, 풀업 무장은 F4U-4와 F7F의 최종 무장이던 20mm M3 기관포로, F4U-4에서 미리 연구해두었다면 스톡부터 바로 장착이 가능하다.

F4U-4의 최종 무장을 그대로 가져다 쓴 탓에 8티어긴 하지만 다목적기 트리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화력은 체감상 뭔가 아쉬운 면이 있다.[17] 이전과 달리 폭탄과 로켓을 동시에 장착할 수 있다는 점이 있지만, 그만큼 속도와 기동성 저하를 감수해야 한다. 속도로 상대하는 커세어답게 엔진부터 업글하는 것을 추천. 동체를 업그레이드하면 P-51D처럼 버블 캐노피가 장착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엔진을 풀업하면 752라는 중전투기를 능가하는 속도성능을 자랑한다. 물론 부스트는 제트전투기가 가속성능에서 우위를 점하지만, 대신 이녀석은 부스트시간이 22초로 대폭 늘어났으며, 기본적인 속도성능에도 충실하기 때문에 이녀석에게 뒤를 잘못 잡혔다면 제트 전투기도 얄짤없이 갈려나간다.[18]

특이점이 있다면 전체적인 기동성으로는 슈퍼커세어가 팬케이크보다 우위지만, 선회능력이 팬케이크가 약간 더 우세하기 때문에 점수만 믿고 덤벼들다간 빙글빙글하다 뒤잡히거나 제3자의 출현으로 역관광 당할 수 있다. 커세어로 팬케이크를 선회로 이겨야 한다면 500kph 이상의 고속 상태를 유지하자. 팬케이크는 485kph 이하의 저속영역에서만 기동성이 좋다.

1.6 패치로 기동성이 대폭 너프되고 주무장의 화력이 강화되었었으며, 이후 1.9 패치에서 풀업 무장의 기동성 패널티가 없어졌다.


풀업 엔진인 R-4360-41에서 멀티롤인 F-94D를 연구할 수 있으며, 풀업 무장인 M3에서 전투기인 F6U를 연구할 수 있다. 물론 어느쪽으로 가든 끝은 F7U이다.

3.2.4 Lockheed F-94D Starfire - 9티어

F-94B를 기반으로 시제기가 만들어져 다양한 무장을 시험하기 위한 테스트 플랫폼으로 운용되었지만, 양산되지 않았습니다.
추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J33-A-332,722 kgf900 kg제트9티어스톡00
J48-P-23,175 kgf910 kg제트10 티어47,000218,000
J48-P-53,969 kgf920 kg제트10 티어최종51,000254,000
동체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20mm M3 (C) 4문120420760908티어스톡00
20mm Mk.12 (C) 4문1705808209010티어52,40080,000
20mm M61 Vulcan (C) 1문7803,00082036010티어최종58,000345,000
외부 장착 무기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2.75인치 Mk.4 FFAR 24발75030810티어최종24,500250
기체내구도무게티어
F-94D4257,2129티어
요구 경험치가격
175,100 xp3,500,000 크레딧

M61 발칸 하나로 확립된 존재의의
멀티롤을 빙자한 중전투기
9탑방의 중전투기 킬러

2014년 연말인 1.6.3 패치를 통하여 업데이트된 다목적 전투기로 기존에 커세어 트리의 9티어 자리에 앉아있던 F6U 파이렛을 옆으로 밀어내고 추가된 기종이다. 이녀석이 트리에 추가되면서, F6U 파이렛은 유일하게 다목적기가 아니다보니 테크트리 그림상에서 F2G 슈퍼 커세어 바로 밑에 적자처럼 앉아있다가 옆구리로 밀려나 서자같은 느낌이 되어버렸다.

일단 기본적인 성능은 F2H 밴시와 비슷하다. F2H나 F6U에서 10티어급 기관포인 20mm Mk.12를 연구했다면 바로 장착할 수 있으며, 같은 속사형 기관포인, 독일의 MG-213C, 팬케이크의 전용 무장 M39보다 가벼워서 속도/기동성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 정도까지만 무장을 했다면 F6U, F2H와 별 차이 없는 무난한 기체로 끝났을 것이다.[19] 하지만 F-94D를 다른 기체들과 차별화를 두는 특징이자 가장 큰 장점은, 여기서 무장 업그레이드가 한 단계 더 있다는 건데, 바로 풀업 무장이 20mm M61 발칸[20]이다. 기수에 딱 1문만 들어가며, 무장 갯수가 4문에서 1문으로 줄어들지만, 그 1문이 Mk.12 4문의 화력을 압도한다.[21] 1.9 무장 재조정 전에는 연사력도 6,800발이었고, 기관포들의 연사력이 전부 요단강을 건너가버린 1.9 재조정 이후로도 '부자가 망해도 3년은 간다'는 말을 증명하듯, 분당 3,000발로 게임내 무장중 단일 무장으로 연사속도가 제일 빠른 흉악한 무장이다.[22]

M61을 얹은 F-94D는 화력만 생각하면 동급 중전투기랑 헤드온 교전을 해도 밀리지 않는다.[23] 하지만 아쉽게도 실제로 헤드온으로 교전하기에는 중전투기보다 낮은 내구도와 발칸이 30mm 4문에 비해선 약한 편이고, 과열이 심하다는 문제가 있으니 신덴이나 중전투기 상대로 헤드온은 자제하자. 운항고도는 1,900m이다. FJ-1이나 F2H에 비하면 낮은 편으로, 3,000m 정도만 올라가도 엔진 성능이 저하되기 시작하므로 트리 내에 바로 옆에 붙어있는 F6U처럼 고고도에서 운항하기에는 성능이 뭔가 좀 아쉽다.

풀업 시 선회가 37초로 9티어 전투기 중 가장 둔하다보니, 선회기에게 뒤를 잡히는 일이 다반사다. 이 경우에는 부스트를 써서 수평비행으로 이탈 후 헤드온을 해야 한다.[24] 이탈 시 1,400m 이상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유턴하면 턴이 끝났을 때 절묘하게 최대 사거리에서 사격을 시작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서술할 커틀러스도 마찬가지.

단발 전투기라지만 엔진 자체의 성능이 미국 트리의 모든 전투기 중 추력이 가장 강력해서 중전투기급 속도성능을 자랑하며, 부스트시간은 멀티롤 특성이라 그런지 20초로 여유로운 편이다.
그 미국을 상대로 싸운 섬나라의 곶곶 엔진과는 다르다!

중전투기에 준하는 준수한 성능 덕에 9티어 편대를 조직할 때 F-94D를 많이 고르는 편이다. 주로 경전투기와 편대를 짜는 경우가 많은데, 경전투기의 선회력으로 F-94D의 후방을 지켜주고, F-94D는 속도와 화력을 강점으로 내세워서 중전투기 요격으로 역할 배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F-94D 2대로 편대를 짜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선회력이 우세한 적을 상대하는 난이도가 경전투기에 비해 조금 올라가지만, 팀에 신덴 시리즈와 F-84가 들어올 가능성을 거의 배제할 수 있다는 전략적 이점이 있다.[25]
다만 어지간한 중 • 상위권 유저가 아니고선 F-94D를 둘 다 보유할 가능성은 미지수다.

외부무장인 로켓도 탑재할 경우, 발당 데미지는 750 정도로 적으나 한 번에 24발을 탑재할 수 있으며, 장착해도 속도/기동성 패널티가 적다는 게 이점이다. 다만, 24발이라고 넉넉해 보이겠지만 원래 목적이 공대공인 녀석이라 한번 발사할 때마다 4발씩 나가므로 사실상 6발짜리이며, 로켓 자체의 폭발 반경도 좁은데다 분산도가 샷건 수준이라 지표면의 타겟을 공격하는데도 무리가 있다.[26] "전문 로켓 사수" 스킬을 활용하면 헤드온 한정으로 조금 더 수월하게 로켓으로 격추시킬 수 있다.

1업 무장인 20mm Mk.12에서 다음 티어인 F7U 커틀러스를 연구할 수 있다.


참고로 발칸의 크레딧 탄값은 1.9.5 기준 Mk.12 4문과 동일한 20,160 크레딧이다. 만약에 일반적인 20mm 1문으로만 취급했다면 그때는 진짜로 양학하는 돈벌이 기체가 되었을테니...

3.2.5 Chance-Vought F7U Cutlass - 10티어

2차 세계대전 이후에 제작된 미 해군 함상 전투기로, 수평 꼬리날개가 없고, 쌍발이며, 방향타를 2개 단 특이한 형태입니다.
추력무게엔진형식티어
쌍발 J46-WE-8B2,722 kgf952.5 kg제트10티어
엔진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
20mm Mk.12 (C) 4문1705808209010티어
외부 장착 무기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가격
없음000스톡0
500파운드 AN-M64 4발6,0001002255티어최종750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
F7U-370010,55010티어
요구 경험치가격
F-94DF6U6,100,000 크레딧
265,000 xp254,505 xp

절반의 중전투기
쌍발 전투기의 미학

노즈 랜딩기어가 성인의 키를 훌쩍 뛰어넘을 정도로 길고[27] 수평 꼬리날개가 없는 이 기괴한 형상의 전투기는 15점짜리 전투기들 중에 몇 안되는 쌍발 전투기이다.[28]

기본 내구도가 700으로 중전투기에 근접한 수준이지만, 자체 중량이 12톤인 만큼 피탄 면적이 크기 때문에 안전거리 확보는 중전투기 몰 때와 동일하게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다. 그래도 그 내구성 덕분에 15점짜리 타 기종에 비해 후방 기총과 방공포로부터 오랫동안 살아남을 만큼 생존성은 좋다.

무장은 Mk.12 4문에 중전투기인 XF-90과 비슷한 유형의 동체무장이다. 물론 자체 화력은 강하겠지만 1.9.2 패치로 Mk.12의 화력과 명중률이 너프를 먹으면서 발칸을 달았던 F-94D에 비하면 화력이 많이 낮아졌다. 그래도 장거리 저격이라는 강점은 남아있으므로 제한적인 방공망 제압은 여전히 가능한 수준이다.

속도성능은 미그15, Fw 252와 동급이며, 부스트시간은 F-94D와 동일하게 20초이다. 쌍발인 덕분에 엔진 하나가 터져도 부스트를 유지할 수 있으며,[29] 그만큼 부스트시간과 냉각시간도 단발 엔진 손상 때보단 패널티가 적다.

과거에는 롤링이 초당 120도로 전투기 평균 수준이었지만 1.9패치를 거치면서 초당 100도로 곤두박질치는 비운을 겪었고, 평균 선회시간이 37.7초라 기동성이 떨어지는데다 속도성능이 타 전투기들과 비교했을 때 동등하거나 열세인 경우가 있다.[30] 쌍발 특성상 경우에 따라 중전투기를 상승 추격할 수 있을 정도로 엔진 성능이 매우 뛰어나고, 부스트시간은 20초로 타 전투기에 비해 긴 편이므로 속도를 최대한 유지하며 20mm로 장거리 저격을 시전하자. 단, 앞서 언급한대로 선회가 좋은 편은 아니니 1:1 상황이 아니라면 단독 행동은 금물이며, 순항속도 영역이 600~900kph이므로 속도 관리를 잘 하면 동티어 전투기보다 기동성이 더 좋은 상황도 종종 연출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가뜩이나 안 좋은 기동성이 더 떨어진다.

특이점이 있다면 STOL을 위한 설계 덕분인지 팬케이크만큼은 아니지만 실속 속도가 170kph로 제트 전투기 치고는 매우 낮은 편이다.
1.9.4 패치로 J7W3이 120kph로 조정되면서 이녀석에게 터빈기관 분야 최저 실속 타이틀을 빼앗겼다.

외부 무장으로 500파운드 폭탄을 4발까지 달 수 있어 중장갑 타겟 2곳을 격파할 수준은 되지만, 그만큼 달고 있는 동안 기동성과 선회력이 떨어지므로 달지 않는 경우가 절대 다수지만 아주 가끔 (궁금해서) 달고 다니는 경우도 보이긴 하다.

정리하자면 6티어 F4U-1부터 시작된 '내구도, 화력, 속도, 기동성 뭐 하나 빠짐없이' 경전투기와 중전투기의 경계선상을 달리고 있는, 말 그대로 절반의 중전투기의 개념을 끝까지 이어받은 정통 함재 전투기라고 할 수 있다. 다목적기 중에서 F-94D 못지 않게 가장 좋은 평을 받고 있는데, 중국의 8티어 프리미엄 전투기인 JL-1A-37처럼 10티어방에서 F7U 보유량 차이로 팀의 승패가 갈리는 경향의 존재도 이러한 평을 뒷받침하는 근거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중국서버 10티어 기준 솔로 비행이든 주작편대 조합이든 픽률은 다목적기 중에서 단연 으뜸이면서 타 병과와 비교해봐도 픽률이 압도적으로 높은 편이다.[31] 보통은 F7U와 고고도 전투기로 조합하는 경우가 많으며, F7U 2대 조합은 F-94D 2대와 비슷한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4 2차 다목적기 트리 (Republic 계통)

1.9.2 업데이트로 추가된 다목적기 트리로, 일명 썬더볼트 트리라고도 부른다.

기존에 존재하던 커세어 시리즈보다 속도성능이 좋지만 기동성도 그만큼 더 떨어진다. 특이한 점은 5티어부터 선회가 대폭 떨어지며, 6티어 썬더볼트부터 10티어 썬더스트릭까지 선회가 30초 안팎으로 꾸준하다. 그 덕에 8티어까지는 커세어 시리즈와 중전투기 사이의 포지션이었지만, 9티어부터 다른 전투기 트리들의 선회도 30초 안팎으로 급감하여 보통의 중고도 전투기가 되는 기묘한 상황을 겪는다.
썬더볼트 트리는 말이죠, 저티어도 선회가 구리고요, 중간 티어도 선회가 구린데, 고티어는 선회가 더 구ㄹ....어라?

무장은 머스탱 트리와 동일하게 끝까지 12.7mm로 동일하다. 그로 인해 머스탱 트리의 장점인 흉악한 DPS와, 단점인 낮은 발당 데미지와 짧은 사거리는 동일하다. 하지만 중간티어 기체들인 썬더볼트들이 머스탱 트리의 머스탱들에 비해 기동성이 많이 구리다보니 꿀딜 기회를 잡기도 어렵고, 기회를 잡아도 그 기회를 살려 폭딜을 넣기도 어렵다.

6티어 P-47B와 7티어 P-47N은 다목적 트리니까 머스탱 트리와의 차이점을 주기 위해서인지 12.7mm 기관총을 2정 더 탑재한 8정을 싣고 다니며, 8티어 XP-72 슈퍼 썬더볼트는 12.7mm 6정으로 무장 갯수가 줄어드나 12.7mm M3를 끌어다 쓰는 초강수를 두어 머스탱 트리와의 화력상의 차이점을 두었지만, 9, 10티어 F-84계열은 FJ-1/F-86과 동일하게 12.7mm M3 6정을 장착하기 때문에 화력에 대한 우세는 사라진다.

공격기에 필적할 정도로 WOWP 내 모든 다목적기 트리 중에서 폭장이 풍부하며, 특히 9티어 썬더제트부터는 5인치 로켓을 12발 장착하는 것도 모자라, 팬케이크만 달 수 있었던 타이니 팀 2발까지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32] 이는 기관총의 약한 순간화력과 근접 사거리로 자체적인 방공망 제압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폭장량을 획기적으로 늘렸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답없는 신덴놈팽이들을 제외하면 다목적기들도 폭장을 하고 지상타겟을 두들겨 패기보다는 엔진성능과 다목적기로서 받은 화력을 활용해 중고도~고고도에서 공중전을 벌이는게 일반적이기 때문에 그로 인해 폭탄은 거의 의미가 없고, 로켓도 달고 다니다가 적기와 조우하면 그냥 그 자리에서 직사로 적 기체를 맞추는데 써먹는 경우가 잦다보니 큰 장점은 아니다. 적기를 맞추기 위해 로켓을 달 때는 가볍고 많이 달리는 것이 최고인데, 썬더볼트 트리에서 취급하는 로켓은 대공용으로 나온 Me 262계열의 R4M 24발(발당 4kg. 이하 동일), F-94D의 2.75인치 FFAR 24발(8kg)에 비해서는 많이 무거운 대 지상타겟용 4.5인치 M8 로켓 6발(17kg)/5인치 HVAR 로켓 10-12발(64kg), Tiny Tim 로켓 2발(583kg)이라서 갯수도 상대적으로 적고, 장비했을 때의 기동성 페널티도 커서 자주 달고 다니지는 않는다.

4.1 Boeing P-26 Peashooter - 2티어

미 육군 항공대의 요청으로 보잉 P-12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총 151대가 생산되어 2차 중일전쟁과, 태평양 전쟁의 극초기에 투입되었습니다.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R-1340-21525 마력420 kg공랭식2 티어스톡00
R-1340-33600 마력422 kg공랭식2 티어최종1002,100
엔진 장착 주포 1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
7.62mm M1919-A4 (S) 1정17600380301티어
엔진 장착 주포 2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7.62mm M1919A4 (S) 1정17600380301티어스톡00
12.7mm BMG1921 (S) 1정28500440603티어최종3607,800
외부 장착 무기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100파운드 폭탄 2발1,10050452티어최종220125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P-26909701티어스톡00
P-26A1001,0122티어최종1553,200
요구 경험치가격
120 xp3,500 크레딧

보잉 사에서 만든 단엽기로, 후속기로 개발되던 프로토타입인 YP-29가 3티어 프리미엄 기체로 지급된 적이 있다.

이전에 있던 커세어 트리의 F2F와는 화력이 동일하며, 폭탄도 2발에, 거의 유사하나, 단엽기 답게 좀더 안 도는 대신 빠른 편이다.

하지만 2티어 전투는 복엽기들의 선회전이 주류이므로 단엽기인 P-26은 살짝 힘든 편.

4.2 Seversky P-35 - 3티어

1935년에 초도 비행을 실시했으며, 시험기와 수출형을 포함해 약 200대 가량 생산되었고 태평양 전쟁 초기에 운용되었습니다.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R-1830-9850 마력567 kg공랭식3 티어스톡00
R-1830-64900 마력568 kg공랭식3 티어6007,500
R-1830-451,050 마력569 kg공랭식3 티어최종75014,000
엔진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
7.62mm M1919A4 (S) 2정17600380301티어
날개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7.62mm M1919A4 (W) 2정23600380303티어동체 연구 필요7501,600
12.7mm M2 (W) 2정38700460604티어최종,동체 연구 필요85015,600
외부 장착 무기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100파운드 폭탄 2발1,10050452티어최종220125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P-351352,2282티어스톡00
P-35A1502,3023티어최종55011,200
요구 경험치가격
1,400 xp34,000 크레딧

이후에 이름을 리퍼블릭으로 바꾸는 세버스키 社에서 만든 단엽기로, 스톡은 1티어 P-12와 동일한 절망적인 화력을 자랑하지만 이건 옆 트리의 F3F도 동일하니 넘길 수 있는 단점이다.

12.7mm M2를 연구만 하면 올릴수 있는 F3F와는 다르게 동체를 올리고, 날개용 7.62mm M1919A4를 따로 연구하고 나서야 연구할수 있는 대신 7.62mm 2정이 더 달린다.

복엽기 답게 아직은 선회전에 특화된 F3F와는 다르게, P-35는 Hawk 75M처럼 붐앤줌을 주 공격방식으로 삼게 된다.

날개무장 M2는 커세어 트리 4티어 F2A 버팔로에서, 날개용 M1919A4는 머스탱 트리 4티어 P-36 호크에서 사용하고, 다음티어 P-43 랜서는 이 두 부품을 전부 사용하므로 연구하고 넘어가는 것이 좋다.


최종 동체인 P-35A에서 다음 티어인 P-43 랜서를 연구할 수 있다.

4.3 Republic P-43 Lancer - 4티어

1940년 3월에 처음 비행을 한 이 항공기는 중국에서 전투에 참여했으며, 여러 사양을 합쳐 총 272대가 생산되었습니다.[33]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R-1830-251,100 마력540 kg공랭식5 티어스톡00
R-1830-351,200 마력560 kg공랭식4 티어80030,000
R-1830-941,350 마력580 kg공랭식6 티어최종3,05032,700
엔진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
12.7mm M2 (S) 2정38700460604티어
날개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0스톡00
7.62mm M1919A4 (W) 2정23600380303티어7501,600
12.7mm M2 (W) 2정38700460604티어최종36015,600
외부 장착 무기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100파운드 폭탄 2발1,10050452티어220125
250파운드 폭탄 2발2,200601132티어최종2,400375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XP-412002,5862티어스톡00
P-432203,0463티어최종1,10022,000
요구 경험치가격
3,500 xp140,000 크레딧

P-35에서 개발된 전투기답게 P-35와는 큰 차이가 없는게 특징인데, 그 외에 다른 특징은..

P-43은 특이점으로 중간 단계의 엔진이 '부품 티어가 내려가는' 신기한 상황을 보여주는 기체들 중 하나이며, 풀업 엔진은 F4F 와일드캣과 호환된다. 부스트시간은 16초.

옆 트리의 F2A 버팔로와 비교해보면 둘의 화력은 양쪽 다 12.7mm 4정으로 동일하지만, F2A는 선회력 보정을 받았고, P-43은 고고도 붐앤줌 보정을 받았으며, 내구도도 20 많다. F2A는 패치로 개편된 AN이 붙은 100파운드 폭탄을 사용하지만, P-43은 그냥 묵직하고 호환성 좋은 250파운드 폭탄을 달고 다닌다.

딱히 P-35랑 달라진 것도 없고, 4티어까지는 기체들이 선회기가 힘을 쓰는 곳이니 별 느낌 없이 하던 대로만 하면 그리고 P-35를 엄청 잘못 몰고 다니지 않았다면 무난하게 다음 티어로 갈 수 있다.

이전 티어에서 연구해서 들고올 수 있는 부품인 12.7mm M2(W)에서 다음 티어인 XP-44 로켓을 연구할 수 있다.

다음 티어가 워플레인 최악의 지뢰인 녀석이라는게 흠이다

4.4 Republic XP-44 Rocket - 5티어

P-43 랜서에 더 강력한 프랫&휘트니 R-2180 엔진을 달기 위해 개량된 결과물로, 리퍼블릭 항공 주식회사에서 더 훌륭한 P-47 생산에 집중하기로 결정하면서 개발이 중단되었습니다.[34]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R-2180-A11,200 마력709 kg공랭식5티어스톡00
R-2180-A31,350 마력730 kg공랭식5티어3,60042,000
R-2180-B11,450 마력747 kg공랭식5티어최종5,50050,000
엔진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
12.7mm M2 (S) 2정38700460604티어
날개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12.7mm M2 (W) 2정38700460604티어스톡00
12.7mm M2 (W) 2정38700460604티어최종, 동체 연구 필요75015,600
외부 장착 무기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250파운드 폭탄 2발2,200601134티어2,400375
500파운드 폭탄 2발4,350752265티어최종3,150575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P-44A2503,0315티어스톡00
P-44B2703,1315티어최종4,20045,000
요구 경험치가격
15,000 xp340,000 크레딧

넌 못지나간다
미국트리 분무기 3호기 사실 P-38 라이트닝 빼고 미국트리 정규 테크 트리 기체 5티어는 죄다 분무기다
유명한 기체를 위해 썬더볼트 트리를 타고 올라온 플레이어에게 리퍼블릭이 전해주는 방산비리급 기체
6티어부터 10티어까지 선회가 거의 비슷한 벽돌들을 위한 적응기간

P-43에서 엔진 업그레이드를 목표로 삼고 스타트를 끊은 기체답게 스톡 스펙은 그냥 덩치만 키운 P-43같은 느낌이다.
전 티어도 그랬는데

화력 증강을 위해서는 미국의 다른 5티어 경전투기들이 그렇듯 동체를 업그레이드 해야 12.7mm 2정을 더 얹을수 있다. 선회는 이전티어가 그랬듯 좀 많이 취약한 편이며, 상승은 카탈로그 상으론 이전 티어가 그랬듯 좀 출중한 편. 카탈로그 상으로만 폭탄은 5티어 치고는 굉장한 과무장인 500파운드 폭탄을 장착할 수 있는 특이한 폭장을 자랑한다.

R-2180 엔진의 엔진 출력 자체는 풀업시 옆 트리 F4F의 XR-1820-70 엔진과 같은 1,450마력인데 XR-1820 얹은 사양이 생산안된 제너럴 모터스네 F2M-1에서 나온거더니, 1기도 생산 안된 애들끼리는 통하는건가 무슨 마법을 부렸는지 풀업 시 카탈로그상 상승률이 15.9m/s가 나오는 와일드캣과는 다르게, 이녀석은 19.1m/s가 나온다. 이 스펙은 머스탱 트리 6티어 P-51A 머스탱이 그저 그런 기체에서 비범한 기체로 변하게 해줬던 V-1650-3 멀린뽕을 맞고도 넘기지 못하는 스펙에, F4U-1 커세어랑 친구할듯 말듯한 정신나간 스펙이다.[35] 그리고 다른 성능도 보자면 속도성능에서 해수면 고도와 최적 고도에서의 최대속력, 순항속도 등도 미국 5티어 전투기 셋중 제일 높다!

...여기까지 보면 P-40 키티호크와, F4F 와일드캣을 찜쪄먹는 괴물 기체가 아닐까! 싶은 수준인데, 이 기체는 공방에서 굉장히 저평가받으며 트리 자체를 피해가야 한다는 평가를 받는 일본 트리를 제외한 기체 중 최악의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문제는 굉장히 무거운 동체로 인해 출력 대 중량비가 안 나오면서 일어난 참사인데, 위에 적혀있듯 R-2180-B1 엔진 자체의 출력은 1,450마력으로 F4F 와일드캣과 동일하다. 그런데 XP-44 로켓은 무리해서 R-2180 엔진을 얹는 바람에 폭장을 안하고도 무게가 4.2톤에 육박한다. 같은 출력을 내는 엔진을 쓰는 F4F 와일드캣은 3.7톤정도가 나가니,[36] 이 기체의 카탈로그 스펙이 어떤 장난을 치고 있는지 감이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엔진 부스트 시간은 18초로 와일드캣과 동일하고, 부스트 사용 중일 때는 저 상승률이 적용되는 듯 싶을 정도로 잘 올라가지만, 엔진이 공랭식 치고는 굉장히 안 식는 편에,[37] 무거운 동체 때문에 상승하면 할수록 상승률이 급속도로 저하되어 최종 도달지점은 F4F보다 덜 올라가는데다, 선회가 구린편은 아니라서 수가 틀리면 플랩 당기고 선회전으로 저항이라도 해볼수 있는 와일드캣과는 다르게, 선회조차 처참하기에 공방에서 탑티어가 되면 일본트리보다도 도움이 안된다.[38]

기체가 매우 무거워서 다른 경량 고고도 전투기들이 올라가듯 60도 이상의 고각으로 급상승하면 큰일난다. 30도 이하의 저각으로 서서히 올라가야지 그나마 높은 곳에 어느 정도 올라갈 수 있다. 물론 그렇게 올라가도 워낙 무거워서 잘 안뜬다.

선회능력도 없고, 고도성능도 없고,도대체 어쩌라고,틀렸어 이제 꿈이고 희망이고 없어

요약하면 월오탱의 처칠 건캐리어나 월오쉽의 0.5.0.1 버프 이전의 콜로라도, 0.5.2 패치의 포탑선회 버프 이전의 요르크 수준과 맞먹는, 워플레인에서도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지뢰라고 할 수 있다.
안좋은 건 다 갖다붙였네
포기하면 편해

그나마 장점은 다음 티어인 P-47B 썬더볼트부터 선회시간이 29~30초로 부정적인 의미로 대단한 수준이라서, XP-44를 적응 기간으로 감안할 수 있다는 점과, 이 기체가 5티어라서 위에 적힌 다른 녀석들과 다르게 이 악물고 공방을 돌리면 금방 넘어갈 수 있고, 자경으로 P-47B 썬더볼트로 넘어간다면 약 3만 2천 정도의 저렴한 경험치로 스킵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골드로 환산하면 1,288골드.[39]
그래도 장점은 있네, 이즈모랑 다르게 싸고 빨리 넘길수 있잖아, 경사났네 경사났어

4.5 Republic P-47B Thunderbolt - 6티어

P-43 랜서의 생산과 P-44 로켓의 개발 중단 이후 미 육군 항공대의 요청으로 개발되었습니다. 1941년 5월에 초도비행을 했고, 총 171대가 생산되어 훈련기와 시험비행용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XR-2800-211,850 마력1,100 kg공랭식6티어스톡00
R-2800-212,000 마력1,300 kg공랭식6티어6,40054,000
R-2800-592,300 마력1,450 kg공랭식6티어최종8,60062,000
날개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12.7mm AN/M2 (W) 6정45750480606티어스톡00
12.7mm AN/M2 (W) 8정45750480606티어최종, 동체 연구 필요016,400
외부 장착 무기 1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250파운드 폭탄 2발2,200601134티어2,400375
500파운드 폭탄 2발4,350752255티어최종3,150575
외부 장착 무기 2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4.5인치 M8 로켓 6발75030175티어최종1,650215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XP-47B3405,3106티어스톡00
P-47D-223606,0686티어최종10,00065,000
요구 경험치가격
28,000 xp905,000 크레딧

누가 진짜 벽돌이냐? 나야! 나! 나는 10점 만점에 12점인 진짜 벽돌!
본격 외장 과적 시대의 시작점
루프트바페를 뒷목 잡게 한 전설의 시작
그 외장을 다 달 수 있는데도 하라는 지상공격은 안하고 기관총만 달고 돌아다니는 벽돌

썬더볼트 트리의 6티어 다목적 전투기.

커세어 트리의 F4U-1 커세어가 그냥 20mm만 연구하면 바로 달 수 있는 점에 비해, P-47B 썬더볼트는 12.7mm를 사용하는 머스탱 트리가 동체를 올려야 무장이 더 달린다는 유구한 정신을 이어받아 동체를 연구해야 기관총이 8정이 된다. 물론 커세어 스톡과 P-51D 이후의 머스탱트리가 증명하듯 50구경 6정 자체의 화력은 나쁘지 않지만, 문제라면 동체 연구하는데 드는 경험치가 기체의 부품 중 제일 많이 들어가는 10,000 경험치이다. 혹시나 해서 이걸 첫 정규트리로 탈 일은 거의 없겠지만 화력을 올리고 시작하고 싶다면 자유경험치 1만 정도는 모아두자.

일단 스톡은 진짜 안 돈다. 같은 6티어 기체 중 중전투기인 P-38J 라이트닝이 선회시간이 28.6초이며, 공격기인 Ju 88P도 27.3초를 기록하는데, P-47B 스톡이 28.4초 나온다. 다행히 88P와는 덩치 차이가 좀 있다보니 공격기에게까지 후방을 털리진 않지만,[40] 그 외의 적이 꼬리에 달라붙었다면 뭐가 달라붙었든 죽었다고 봐야 할 정도. 급상승으로 탈출하고 싶지만, 그것도 쉽지 않다. 동체가 무거워서 사람을 절망에 몰아넣던 XP-44 시절에 비해 엔진 출력은 400이 늘어났으나, 무게는 2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풀업하면 거의 8톤에 가깝다.

풀업을 해도 큰 차이는 안 나는데, 업 동체를 올리고 나서 장착되는 12.7mm AN/M2 8정의 화력 자체는 준수한 편이나, 엔진 출력이 올라도 기체의 무게 자체가 워낙 많이 나가다보니 풀업을 해도 전투 내에서 상승률에서는 막 큰 수준으로 체감이 되는 수준까지는 아닌 편이다.

여기서부터 폭탄뿐만 아니라 로켓도 같이 달 수 있다. 로켓은 5티어 라이트닝의 M8 로켓으로, 라이트닝에서 연구했다면 별도로 연구할 필요는 없다.


풀업 엔진인 R-2800-59에서 다음 티어인 P-47N 썬더볼트를 연구할 수 있다.

4.6 Republic P-47N Thunderbolt - 7티어

1944년에 리퍼블릭에서 P-47을 미 육군 항공대에서 채택한 P-51 머스탱과 경쟁하기 위해 개량된 기체로, 총 1,816대가 생산되었습니다.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R-2800-592,300 마력1,450 kg공랭식6티어스톡00
R-2800-59W2,500 마력1,460 kg공랭식7티어18,00092,000
R-2800-772,800 마력1,500 kg공랭식7티어최종24,000120,000
날개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12.7mm AN/M2 (W) 8정45750480606티어스톡00
12.7mm MG-53-2 (W) 8정52800500607티어최종15,80024,500
외부 장착 무기 1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250파운드 폭탄 2발2,200601134티어2,400375
500파운드 폭탄 2발4,350752255티어최종3,150575
외부 장착 무기 2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4.5인치 M8 로켓 6발75030175티어1,650215
5인치 HVAR Mk.4 로켓 10발1,00030648티어최종14,500250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P-47D-304106,0087티어스톡00
P-47N-54407,4007티어최종12,00095,000
요구 경험치가격
60,000 xp1,330,000 크레딧

XP-75의 마이너 카피같은 심각한 안습성능

무장이 M2 기관총에서 MG-53-2로 바뀌면서 새로 연구해야 하지만, 머스탱 시리즈의 주무장이기 때문에 P-51A에서 연구만 해도 바로 장착할 수 있다. 다행히 동체를 연구하지 않았다고 무장을 못 바꿔주는 참사같은건 없다.
P-51D 머스탱은 여전히 그러고 놀던데

B형에 비해서 부스트시간이 1초 늘었다. 엔진이 엔진인 만큼 속도성능은 좋으나, 400kph 미만으로 떨어지면 벽돌이 되어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어떻게 보면 호넷처럼 특유의 중량을 이용해서 관성비행으로 속도를 최대한 유지해야 한다.

외장으로 5인치 HVAR 로켓을 10발까지 달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이는 6티어 라이트닝 또는 커세어 시리즈에서 운용하는 로켓이므로 이쪽에서 연구했다면 바로 가져올 수 있다. 물론 P-38J처럼 티어가 오르자마자 4.5인치 M8 로켓을 못쓰게 된 것은 아니므로 연구하지 않았다면 M8 로켓을 쓰며 연구해도 좋다.

중전투기 입장에서는 이녀석을 보고 7탑방 중전투기 킬러인 XP-75를 떠올릴 수 있으나, XP-75만큼 흉악하지는 않다. 물론 종합 기동성은 중전투기보단 높지만, 특유의 벽돌성능은 어디 안 갔기 때문에 중전투기와의 선회성능 차이가 거의 없거나 오히려 중전투기가 앞선다.[41] 큰 차이가 나는 건 아니므로, 호넷과 F7F, XP-75는 빙빙 돌면서 아군의 지원을 노리거나 중전투기답게 위로 도망쳐도 되고, 선회력이 가장 안 좋은 츠빌링은 애초에 상승력의 황제라는 별명에 걸맞게 위로 도망치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다만 P-47N이 엔진 출력 하나만큼은 잘못 집어먹은게 아니라서 재수 없으면[42] MG-53-2에게 영혼까지 털려나갈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특히 호넷과 F7F가 이런 상황에 처할 위험이 크다.

물론 7티어들에게는 흉악하다 못해 사악한 수준인 8티어 중전투기의 경우, 팬케이크가 이녀석의 뒤를 '그냥' 잡고, 슈발베와 P.1056은 역시 도망치면 그만이니 말 다했다. 슈발베와 P.1056은 제트 전투기라서 부스트가 전혀 없는게 아닌 이상, P-47N이 추격하기엔 머나먼 이야기다...

풀업 엔진인 R-2860-77에서 다음 티어인 XP-72로 넘어갈 수 있다.

4.7 Republic XP-72 - 8티어

P-47 썬더볼트에 새로운 프랫&휘트니 R-4360 엔진을 장착하는 개념으로 개발되었습니다. 1944년~1945년에 프로토타입 2대가 만들어졌으나, 양산되지 않았습니다.
출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R-4360-133,000 마력1,600 kg공랭식8티어스톡00
R-4360-413,500 마력1,600 kg공랭식9티어27,500184,000
R-4360-533,800 마력1,760 kg공랭식8티어최종30,000210,000
날개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12.7mm MG-53HB (W) 6정65800520608티어스톡00
12.7mm M3 (W) 6정801,200560608티어최종21,00042,000
외부 장착 무기 1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250파운드 폭탄 2발2,200601134티어0375
500파운드 폭탄 2발4,350752255티어최종3,150575
외부 장착 무기 2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5인치 HVAR Mk.25 로켓 10발1,50030649티어최종17,800400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XP-724505,8138티어스톡00
P-72B4805,8208티어최종14,000130,000
요구 경험치가격
92,000 xp2,420,000 크레딧

팬케이크에게 선회로 지는 전투기 2호
8티어의 XP-75

운항고도는 2,200m로 고도성능이 트리 내에서 정점을 기록하며, 이후에는 2,000m로 고정된다.

6티어부터 꾸준히 선회가 30초 언저리인 썬더볼트 트리 기체답게 이녀석도 벽돌이다. 동체를 연구하면 내구도가 480으로 늘어나서 한 단계 아래의 중전투기 뺨치는 내구도를 자랑하고, 선회성능이 많이 좋아져 풀업 기준 6티어 P-47B부터, 10티어 F-84F까지의 썬더볼트 트리 기체중 선회가 가장 좋은 29초를 기록하지만, 하필 동티어에 선회가 25초인 괴물 중전투기인 XF5U 플라잉 팬케이크가 있어서 그 성능이 빛을 발하지는 않는다.[43]

부품 중에서 생명이나 마찬가지인 속도성능을 올려줄 엔진이 연구 비용이 가장 커서 문제인데, 다행히도 1업 엔진은 F2G의 풀업 엔진이기도 해서 이쪽에서 연구했다면 바로 장착할 수 있다. 특이하게도 동체를 연구하면 프로펠러가 일반적인 4엽 프로펠러에서 XP-75와 동일하게 동축반전 3엽 프로펠러로 바뀐다. 물론 시제기가 있었기 때문에 실제로 존재하는 사양이다.
독일과는 영 반대로 놀고 앉았다.

기관총은 다시 6정으로 돌아온다. 스톡에서 이미 동티어 P-51H의 풀업 무장인 12.7mm MG-53HB를 사용해, XP-72를 연구했다면 P-51H에서도 연구가 되며,[44] 풀업 시 머스탱 트리에서는 현재 9티어 FJ-1에서부터 사용하는 12.7mm M3를 날개 무장으로 장착하는데, 이는 과거 CBT시절 P-51H 머스탱 자리에 들어있던 P-51JP 제트 머스탱이 사용하던 풀업 무장이다. 그때와 동일하게 다음티어에서 사용되는 12.7mm M3와는 호환이 전혀 되지 않으므로[45] 퓨리 풀업한 게 아닌 이상 F-84B 썬더제트에서는 다시 연구해야 한다.

풀업하면 속도성능이 755가 된다. 동티어 슈발베 풀업이 742니, "오, 속도 더 높게 나오네요? 슈발베 농락할 듯?" 이라고 생각할 수는 있지만... 잊지 말자. 이녀석은 왕복 엔진이고, 슈발베는 제트 엔진(+로켓)이다.[46] 일단 슈발베가 부스트를 가동하면 XP-72는 거의 못 따라간다. 안습

그렇다보니 여전히 운용하기 어렵다. 위로 올라가면 중전투기들이 대구경 무장을 스콜마냥 쏟아붓고, 아래로 내려오면 신덴과 Yak-15가 칼을 갈고 있으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다가 뒤 잡혀서 격납고로 직행하는 비참한 신세를 면치 못한다.

외장은 여전히 폭탄과 로켓을 동시에 달 수 있다. 폭탄은 250파운드 2발 또는 500파운드 2발을 달 수 있으며, 로켓은 5인치 HVAR을 10발까지 달 수 있는데, 기존의 HVAR과는 달리 이녀석은 Mk.25이기 때문에 새로 연구해줘야 한다. 물론 이 로켓 역시 F2G에서도 쓰는 로켓이므로 이쪽에서 연구해서 가져올 수 있으며, 커세어 트리에서는 F2G만 쓰는 일회용품에 불과하지만, 이쪽에서는 F-84 시리즈까지 모두 운용하기 때문에 활용할 기회가 많다.
하지만 현실은 속도와 기동성을 깎아먹는 무게추
결론은 그냥 일회용품

풀업 엔진인 R-4360-53에서 다음 티어인 F-84B 썬더제트로 넘어갈 수 있다.

4.8 Republic F-84B Thunderjet - 9티어

미 공군에 납품된 P-47 썬더볼트 시리즈의 대체품으로 개발되었습니다. 1946년에 최초 비행이 이루어졌으며, 한국전쟁 동안 전폭기로 활약하였습니다.
추력무게엔진형식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J35-A-151,813 kgf1,050 kg제트9티어스톡00
J35-A-172,223 kgf1,100 kg제트10티어45,000238,500
J35-A17D2,358 kgf1,100 kg제트9티어최종52,000245,000
날개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12.7mm MG-53HB (C) 6정65800520608티어스톡00
12.7mm M3 (C) 6정801,200560609티어최종21,70045,600
외부 장착 무기 1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250파운드 폭탄 2발2,200601134티어0375
500파운드 AN-M64 폭탄 2발5,200752259티어4,000750
Tiny Tim 로켓 2발3,5007058310티어최종22,5001,000
외부 장착 무기 2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5인치 HVAR Mk.25 로켓 12발1,50030649티어최종17,800400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F-84B5007,0509티어스톡00
F-84E5508,5709티어최종17,000200,000
요구 경험치가격
162,000 xp3,500,000 크레딧

리퍼블릭 인생의 전환점
자기 자신은 그대론데, 주변이 확 바뀌어 선회기가 되어버린 기체

풀업한 F-84B는 내구가 550으로 높은 점만 빼면 전체적으로 어태커와 FJ-1의 중간 정도의 성능을 낸다.

여기서부터 갑작스럽게 중고도 선회기로 방향을 틀어버린다. 독일 다목적기 트리의 포케불프 Ta 183이 그랬듯 갑자기 2,000m로 고도성능이 하락하며, 선회는 전 티어들이 프롭기치고는 정말 심히 벽돌이었던 탓에 제트 엔진을 달고도 변한게 거의 없다. 타국은 제트 전투기로 바뀌면서 속도가 올라가고 선회가 벽돌이 되어 선회시간이 30초 정도가 평균이 되어버리는 뜬금없는 상황...

그리고 무거운 건 어디 안 갔는지 선회력이 비슷한 동티어 전투기들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이것은 날개를 후퇴익으로 바꾼 10티어 F-84F도 별반 다를 것 없는 특징. 대신 내구도가 10티어 세이버와 동등한 수준이라 9티어 공격기의 후방 기총으로부터 생존성은 찔끔 높은 편.

무장은 이전부터 그랬듯 머스탱 트리와 공유하는 사이이기 때문에 FJ-1 퓨리를 풀업했다면 스톡부터 무장을 풀업상태로 시작할 수 있다.[47] 1업 엔진인 J35-A-17이 퓨리의 풀업 엔진이기도 하니 퓨리에서 엔진 풀업을 했다면 역시 1업 하고 시작할 수 있다.

특이점이 있다면 기관총 6정이 전부 기수무장 취급을 받으나, 실제로 기수에 달린 건 4정뿐으로, 나머지 2정은 날개 시작부분에 달린 날개(익근) 무장이라 분산도가 미묘하다. 독일 다목적기 트리도 타고 있다면 Fw 190 A-5와 Fw 190 D의 날개에 박혀있으나, 프로펠러 회전 반경 내에 들어가서 날개 무장(W)이 아닌 엔진 장착 무장(S) 취급을 받는것을 떠올릴 수 있다.

아웃보드 파일런에는 HVAR 로켓을 12발까지 장착할 수 있게 되며 이외에도 인보드 파일런에 250파운드 폭탄과 500파운드 AN-M64 폭탄을 2발 장착할 수 있는데, 폭탄 이외에도 이때부터 여기에 폭탄 대신 팬케이크에 달렸던 초대형 로켓 타이니 팀을 장착할 수 있다. 타이니 팀은 팬케이크에서 연구했다면 바로 가져올 수 있으며, AN-M64는 미국의 10티어 다목적기 또는 중전투기를 연구했다면 바로 장착할 수 있다.

타이니 팀은 5인치 HVAR 로켓이 같이 달린다는 점을 고려해 폭탄 투하 버튼으로 발사할 수 있다.[48] 모든 로켓의 기본 특징이긴 하지만, 타이니 팀을 달면 기존의 500파운드 이상급 폭탄에 비해 화력은 줄지만, 더 멀리서 더 일찍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기에 굳이 타겟의 머리 위를 지나가야 하는 위험성이 많이 줄어들게 된다.[49] 물론 사람이나 봇이나 다목적기 대부분이 폭장을 달지 않고 그냥 고고도 전투를 뛰는 시점에서 큰 이점은 아니고 그냥 특징이라고 보면 된다.

풀업 무장인 12.7mm M3에서 다음티어인 F-84F 썬더스트릭을 연구할 수 있다.

4.9 Republic F-84F Thunderstreak - 10티어

F-84E의 후퇴익 사양으로 더 강력한 엔진을 탑재하였습니다. 1950년 6월에 초도비행을 했으며, F-84F는 전투기 사양으로 총 2,711대가 생산되었습니다.
추력무게엔진형식티어
J35-A-153,275 kgf1,259 kg제트10티어
날개 장착 주포 공격력연사력(rounds/m)유효사거리(m)무게(kg)티어
12.7mm M3 (C) 6정801,200560609티어
외부 장착 무기 1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500파운드 AN-M64 폭탄 2발5,200752259티어0750
Tiny Tim 로켓 2발3,5007058310티어최종22,5001,000
외부 장착 무기 2 공격력스플레시 대미지 반경(m)무게(kg)티어비고요구 경험치가격
없음000스톡00
5인치 HVAR Mk.25 로켓 12발1,50030649티어최종17,800400
기체내구도무게(kg)티어
F-84F65012,34010티어
요구 경험치가격
270,000 xp6,100,000 크레딧

속도와 선회가 전부 콩라인
내구도만 빼면 사실상 9.5티어
외형에 속으면 안됩니다

전작의 후퇴익 버전이다. 일단 출고하면 FJ-1에서 F-86A로 넘어갈때처럼 의외로 간지나는 모습에 감탄할수 있으나... 성능도 간지나는만큼 좋을 거라는 기대는 일찌감치 포기하는 편이 좋겠다. 내구도와 속도가 늘어났지만 공중전 난이도는 오히려 올라갔다. 도대체 뭘 집어넣었는지 단발 전투기 주제에 공대지 무장을 제외하고 전비중량이 14톤이나 되서 오히려 둔한 녀석이 되었기 때문이다.
도대체 누가 중전투기고 누가 멀티롤인거지?

속도는 F-86과 동급이며, 기동성은 미그 15보다 찔끔 나은 수준으로, 멀티롤 특성으로 부스트시간이 20초로 길어 부족한 속도는 어느정도 커버할 수 있지만, 문제는 기동성으로 같은 속도의 세이버한테도 100퍼센트 뒤를 잡힌다는 고질적인 문제를 안고 살아야 한다. 다시 말하면, 속도와 선회, 둘 중 하나가 F-84F와 동급인 녀석들은 꼭 나머지 하나가 우월해서 얘네를 만나기라도 하면 이도저도 못하는 상황이 된다.[50] 어중간한 성능을 보였던 스핏파이어도 속도-기동성 종합성능이 평균 이상은 찍었지, 이녀석은 둘 다 밀리니 답이 안나온다.
타이니팀과 5인치로켓 풀무장하면? 말 다한거지 뭐
그냥 지상공격은 IL-40P에게 맡기고 푹 쉬세요

내구도는 노이큅 기준 650으로 커틀러스에 근접한 수준으로 생각외로 크지 않은 피탄면적과 더불어 생존성은 의외로 괜찮은 편. 어차피 뒤 잡히면 내구고 뭐고 얄짤없다는 건 XP-44 로켓부터 충분히 배웠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목적기/공격기 전용 이큅인 '위장 도색'을 적용하면 방공포와 후방기총으로부터 꽤나 오래 버티는 면모를 보여준다.

무장은 여전히 M3 6정이며, 전티어와 동일하게 2정은 익근무장이라 집탄이 미묘하지만, 1.9.4 패치에서 M3 버프로 화력이 소폭 증가하였다. 그러나 기관총 때문에 근접전을 벌여야한다는 사실은 6티어 P-47B부터 10티어 F-84F까지 변함없으므로 유일한 장기인 부스터를 활용하여 세이버보다도 부족한 선회를 커버치면서 빠르게 뒤를 잡아야 하기에 운용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1. 함재기 트리를 흔히들 히든 카드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해수면에 거의 근접한 고도에서는 고고도기 체들의 엔진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속도에 패널티를 크게 받지만, 함재기는 애초에 중고도로 배정받았기 때문에 초저고도에서는 패널티를 별로 받지 않는다. 이를 이용해서 함재기만 생존한 경우에 아군 본진에서 방공망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초저고도에서 논다면 고고도 기체도 함부로 어떻게 할 수 없게 되는데, 이 사이에 아군 본진에 눌러앉은 적 공격기까지 방해해주면 상대편은 제공권 장악에 차질을 빚게 된다. 이 경우 상대방은 그냥 공격기가 털리는걸 밖에서 구경하거나 대공포 맞을거 각오하고 뛰어들거나, 둘 중 하나를 강요당하게 된다. 고고도 기체가 고도차를 방패로 삼는다면, 함재기 트리는 방공망을 방패로 삼기에 히든 카드라고 불리는 것이다.
  2. 여담이지만, 함재기 트리는 Chance-Vought에 한해 해적과 관련이 깊다. 6~8티어의 Cosair는 사략선(=해적선)이라는 뜻이며, 9티어 전투기로 가버린 Pirate는 해적이란 뜻이고, Cutlass는 해적을 상대해야 했던 해군 선원들이 쓰던 검이다. XF5U 팬케이크와 F8U 크루세이더 의문의 1패
  3. 커세어 시리즈의 롤링은 초당 130도이다. 과거에는 이 트리 제트기들의 롤링이 초당 120~130도였지만, 1.9 패치로 F6U는 120도, F-94D는 110도, F7U는 100도까지 떨어지게 된다.
  4. 기존에는 팬케이크만 이 로켓을 달고 다닐 수 있었다.
  5. 캣시리즈도 주무장은 기관총이라서 고고도는 머스탱 트리가 있고, 중고도는 썬더볼트 트리가 있다. 와일드캣의 성능을 생각해봤을 때 저고도 선회기 + 멀티롤의 특성으로 나올 것 같지만, 저고도에서 기관총은...
  6. 독일에는 4티어 복엽기가 있다. 이벤트용 프리미엄 기체지만
  7. 그 대신 20mm 기관포의 과열이 좀 많이 심했다.
  8. 그렇다고 일본기 상대로 쓰는 자살행위는 금물이다.
  9. 다만 와일드캣에는 6발까지만 달리며(콜세어 계통은 8발) 요구 경험치가 14,500으로 와일드캣 자신만큼이나 경험치를 먹는다(...)
  10. 원래는 일반 전투기의 P-51들도 달수 있는 무장이나 1.6패치로 다목적 전투기만 달수 있게 설정되었다.
  11. 과거에는 무장을 바꾸면 기동성이 떨어졌지만, 1.9 패치 이후로 구경이 다르더라도 화기의 전체 중량이 같다면 기동성 패널티가 일어나지 않는다. 12.7mm M2 6정의 총중량은 60*6=360kg, 20mm M2 4문의 총중량은 90*4=360kg으로 동일하다.
  12. "F4U-1이 F4F에게 물려받은 것은 HVAR 로켓 뿐입니다. 이는 와일드캣이 물려주기 싫어하는 욕심쟁이라서가 아니라 F4U-1부터는 운용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이지요." - F4U-1 가이드 중에서 발췌
  13. 6티어 커세어와 동일하게 무장의 총중량이 12.7mm는 60*6=360kg 이고 20mm는 90*4=360kg로 같다.
  14. 미티어는 기수무장이고 커세어는 날개무장이다. 같은 20mm 4문이라도 헤드온에서는 기수 집중형이 명중률로 인해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15. 6티어 F4U-1은 6티어 M2를 쓰고, 8티어 F2G는 F4U-4와 동일한 8티어 M3를 최종무장으로 쓴다. 6티어에서 F4U-1과 8티어 F2G와 각 티어별 중전투기들을 비교해보면 티어대비 화력이 F4U-4가 더 뛰어나다. 이는 7티어 커세어 자체가 강력한 것도 좀 있지만, 무엇보다도 정규트리 7티어 중전투기가 6, 8티어에 비해 무식한 독중전 109Z 빼면 티어대비 화력이 미묘하기 때문이다. 특히 호넷
  16. Goodyear는 그 신발에 날개달린 타이어 회사 굿이어 맞다! 타이어 회사가 왜 전투기를 만들었냐고 의아스러울 수 있겠지만, 2차 세계대전 당시 커세어를 단시간 내로 대량으로 양산해야 했는데, 찬스-보우트 혼자서는 엄청난 생산요구량을 감당하지 못해 브류스터(!)와 굿이어(!!)에서 같이 생산해줘야 했다. 굿이어는 이 과정에서 찬스-보우트로부터 얻은 노하우로 F2G라는 독자개량판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F2G는 미 해군에게서 채용되지 않고 버려졌는데, 시대가 제트기쪽으로 흐르던 것도 있고, F2G는 기존 커세어의 R-2800 엔진이 아닌, R-4360 엔진을 사용했는데(만약 F2G를 정식 채용해 대량생산에 들어간다면 기존에 생산해둔 R-2800을 사용할수 없기에 새로 R-4360 엔진을 생산해야 했다), 이미 비슷한 임무를 수행 가능하면서 기존 커세어가 사용하던 R-2800 엔진을 사용하는 F8F 베어켓이 있었기에 채용되지 않았다.
    정작 베어캣도 한국전쟁에서 놀았던건 함정이지만
    F4U : 곰탱아, 일 좀 해라
  17. 그래도 화력은 괜찮은 편이다. 너무 낙심하지는 말자.
  18. 단, Yak-15는 예외. 이녀석은 중전투기가 아닌 일반 전투기인데다, 선회기 계열 트리의 기체라서 이녀석에게 뒤를 잡히면 역으로 영혼까지 털리는 수가 있다.
  19. 9티어가 10티어에서 쓰는 무장 당겨쓰는건 워게이밍 시리즈에서 흔하기 때문이다.
  20. F-86D 세이버 독이 나오면서 양산계획이 취소된 F-94D의 프로토타입이 T171 발칸의 테스트베드로 운용되었고, 그 발칸은 F-104에서 좀더 개량되며 친숙한 이름인 M61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지금도 개량을 거듭하며 수많은 미국제 전투기에서 사용되고 있다.
  21. 명중률 보정을 받는 지상 타겟 공격 시 중장갑을 제외한 지상 타겟의 내구도가 30mm 맞는 수준으로 닳는다.
  22. 미국 트리 내에서 20mm만 장착한 걸로 이녀석을 연사력으로 능가하는 기종은 10티어 중전투기 XF-90 뿐이며, 그마저도 분당 580발짜리 Mk.12를 6문 묶은 것이다. 1.9 이전으로 비교하면 분당 6,800발 1문과 분당 1,000발 6문으로 M61의 승리.
  23. F2H 밴시가 최종무장으로 Mk.12 4문을 쓰는데, 그 화력이 F-94D보다 약하기 때문이다.
  24. 그렇다고 무조건 수평비행이 답인 건 아닌데, 추격자와 도망자의 진행 방향이 서로 다르다면 그 위치와 벡터 차이로 인해 도망자의 속력이 더 빨라도 뒤를 잡히는 경우가 생긴다. 그러므로 추격자의 진행방향을 잘 확인하여 최대한 진행방향이 일치하는 쪽으로 이탈하는 플레이도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25. 10 : 10의 일반적인 병과 비율은 전투기 3, 다목적기 3, 중전투기 2, 공격기 2이다. 신덴과 F-84에 비해 F-94D의 활용성이 더 높다는 점을 생각하면 결코 나쁘지 않은 조합이다.
  26. 물론 16점짜리 군함은 근접해서 쏘면 2번 발사로 격침이 가능하다.
  27. 당시 항공모함의 고속화가 기각되던 상황에서 저속항공모함에서 단거리 이착함을 하기 위해 무리하게 받음각을 키우기 위한 결과였다. 문제는 그 노즈 기어 때문에 조종석의 전방시야를 가려 이착함에 방해가 되어 결국 착함 도중 항공모함에 충돌해서 조종사가 순직하는 사고까지 벌어져 사고가 난 항공모함인 USS 핸콕은 그날부로 커틀러스를 싹 치웠으며, 한동안 USS 핸콕은 함재기 없이 운용했다고 한다. 이후에 F9F가 빈자리를 대체하면서 Chance-Vought는 F8U 크루세이더를 만들기 전까지 굉장한 침체기에 시달려야 했다.
  28. MiG-9와 Ki-162-III도 쌍발이지만 인게임에서 단발로 취급하므로 진정한 의미에서 정규트리 쌍발은 커틀러스가 유일하다.
  29. 다만 이때는 남은 부스트시간이 절반으로 떨어진다. 방심은 금물.
  30. 커틀러스의 속도성능은 1.9.5 기준 923이다. Fw 252와 Mig-15가 이와 동등하며, 스위프트의 경우에는 938로 오히려 우위를 점한다. 당연한 사실이지만 비교대상들은 모두 선회력이 커틀러스보다 좋다.
  31. 사실 10티어 다목적기 중 F7U가 독보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가, 같은 병과인 J7W3은 절망적인 속도와 고도성능으로 3,000m 이상의 고고도 전투를 벌이기 어렵고, F-84f는 이미 상위호환인 F-86A가 존재하기 때문에 편대 조합에 들어갈 이유가 없다.
  32. 타이니 팀의 경우 폭탄 투하 버튼(기본 키 스페이스바)으로 발사할 수 있다.
  33. 1939년에 시버스키社가 이름을 '리퍼블릭'으로 바꾸고나서 P-35를 기반으로 개발한 기체로, 중화민국(대만)군에게 무기대여법을 통해 공여되어 플라잉 타이거즈 소속으로 전투에 투입되었고, 미 육군 항공대에서는 훈련기로 굴리거나, 사진촬영 정찰용으로 활용했다. 플라잉 타이거즈에서는 P-40의 약해빠진 수냉식 엔진이 없고, 롤 기동 성능이 좋은 이 기체를 좋아했다고 한다.
  34. 시작은 P-47 개발이 늦어지자 미 육군 항공대가 R-2180 엔진을 얹은 P-43J/AP-4J 형으로 80기를 발주한 사건이었다. 그러나 유럽 전선에서 날아온 전황 보고를 받은 미 육군 항공대는 P-44가 이미 낡아빠진 구식 기체라고 판단하고 발주를 취소하는 바람에 이 기체는 그렇게 실물이 나오기도 전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 아래의 이야기를 보면 미 육군 항공대가 썬더볼트 대신 P-44를 뽑았더라면..어으 상상하기도 싫다.
  35. P-51A와 F4U-1의 상승률은 풀업 기준으로 각각 17.9m/s, 20.8m/s이다.
  36. F4F 와일드캣도 출력에 비해 가벼운 편은 아니라 공방에서 속도가 좀 안나오는 편이다. 특유의 롤링 성능과 나쁘지 않은 선회, 그리고 오래가는 부스트 성능으로 승부를 보는 기체.
  37. 수랭식인 P-40보다는 그래도 빨리 식는다.
  38. 악명이 매우 높은 일본 트리조차 5티어에서는 그놈의 불유리몸 떼면 굉장히 준수한 편이다. 유리몸을 노리는 중전투기만 잘 아군이 캐치해주고 나머지는 화력의 집중을 피해서 한번에 한기씩 지워버리면서 게임을 승리로 이끌 수 있다. 애초에 이쪽은 고티어 렛푸,신덴들이 처참한거지 5티어까지는 오히려 좋은 트리니까
  39. P-44B 동체 4,200 xp, + P-47B 연구비용 28,000 xp
  40. 그렇지만 확실하게 안전한 플레이를 하려면 플랩 전개와 키보드 조작을 함께 동원해서 선회력을 최대한 끌어올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Ju 88P를 운용하는 유저가 플랩 켜고 선회전 걸어서 진짜로 뒤 잡고 격납고로 Ju mP 시켜줄 테니...
  41. 카탈로그상으로는 호넷과 F7F에게 소폭 열세지만, I-16이 그랬듯 덩치에서 오는 회전 반경과 기동성에 영향을 주는 순항속도의 차이가 있다보니 실제로는 P-47N쪽이 '쥐꼬리만큼' 우세하다.
  42. 엔진이 덜 식었든지, 상승 초기 속도가 많이 낮았든지...
  43. 예외적으로 600kph를 넘어가는 특수한 상황 하에 XP-72가 XF5U를 선회전으로 이길 수는 있다.
  44. 아쉽게도 풀업 무장이 연구된다고 머스탱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워게이밍에서 친절히도 동체를 올리지 않고는 기관총을 6정을 얹지 못하도록 해둔 머스탱 트리의 전통 때문에 동체를 연구해야 한다.
  45. 8티어의 12.7mm M3는 날개용 무장인 M3(W)고, 9티어부터의 12.7mm M3는 동체에 달리는 M3(C)이기 때문이다.
  46. 제트 엔진은 왕복 엔진에 비해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보정치가 추가로 붙는다고 할 수 있다. 평소에는 상승률이 왕복엔진보다 떨어지지만, 막강한 부스트로 순식간에 수직상승하면서 프롭기들을 따돌린다는 점만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같은 종류의 엔진에서 단발과 다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47. 이것은 역도 성립해, F-84B 썬더제트에서 먼저 무장을 연구하면 FJ-1 퓨리도 무장을 풀업으로 시작할 수 있다.
  48. 기본 키 스페이스바, 보조 키 B 버튼
  49. 물론 상승하면서 폭탄을 떨어뜨리는 "에어 토스"라는 방식으로도 투하 직후 이탈이 가능하지만, 위로 향하는 동안 탄착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급강하 방식에 비해 명중률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50. 10티어에서 F-84f와 비교하면 속도 동급으로 F-86과 La-15가 있으며, 선회 동급으로 스위프트와 Mig-15가 있다. 모두 속도-기동성 종합성능이 F-84f보다 절대 우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