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인전승

(일자상전에서 넘어옴)

一人傳承

1

무언가를 단 한명에게 전해주는 일.

무협지에서 쓰이는 용어로, 보통 계승자에게는 선대부터 쓰던 아이템(보검)이나 스킬(무공) 혹은 스탯(내공)을 전수해준다. 스케일이 커지면 천년쯤 묵은 원한을 해결하라고 하거나, 혼자서 무림의 안녕을 책임지는 사명 같은 것이 이어지도 한다.

제자를 단 한명만 키워서 구전으로 전파하는게 일반적이지만, 못돼 먹은 놈은 제자를 여럿 키우고 마지막에 배틀로얄을 시키기도 한다(…).보고 있나, 류켄! 여러 제자를 키운 뒤에 1등에게만 비장의 무술을 가르쳐줘서 후계자로 삼는다거나 하는 것은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일인전승을 시키는 이유는 보통,

  1. 너무 강력해서 전수자를 많이 만들지 않는다. (예 : 비뢰도?)
  2. 문파의 존재 자체가 비밀이고, 비밀리에 전승되는 사명이 있다. (예 : 만선문의 후예의 만선문, 혈존무적의 단향검군, 도쿄 바빌론의 사쿠라즈카모리(사쿠라즈카 세이시로))
  3. 여럿이 절대지존 자리를 놓고 싸우다 공멸할까봐 애초에 한명만 키운다. (예: 시스)
  4. 문파 내에서 특별한 무공을 비밀리에 전승하는 집단이 있다. (예 : 천마군림의 소림사 오호란, 대형 설서린의 현문 암혼사)
  5. 계승자의 인성을 심사숙고하여 고르다보니 결국 인생에 한명밖에 못 고르더라. (예: 북두의 권북두신권. 북두신권이 일자전승인 이유는 그 권이 악한 자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는 류켄의 대사가 극중에 있다)
  6.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배우겠다는 사람이 없다. (예 : 판소리, 고무술 등의 무형문화재)
  7. 익히는 데 선천적인 제약조건이 심해서 제자로 삼을 수 있는 사람이 드물다.(예 : 권왕전생짐 언브레이커블[1])
  8. 그 외로 어찌되었든간에 한 명 밖에 익히지 못 하는 이유가 있다.(기존 전승자의 목숨이 필요하다거나, 하나밖에 없는 아이템이 없으면 그 기술을 전혀 사용할 수 없다거나, 나무신공을 익히려면 나무신기가 필요한데 그게 수련으로 얻을 수 있는게 아니라 대대로 격체전공으로 전수하는 거라든가…….)

등으로 설명된다.

하지만 단점은 결국 대를 이어오던 중 한번이라도 전승자를 만들기 전에 죽는 일이 생기면 그동안의 고생이 말짱 황이라는 것이다. 비슷하게나마 배운 방계 제자들이 전혀 없으니 복원이고 뭐고 요원한 일. 실제로 혈존무적의 단향검군은 실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전통기술의 전승자도 아니고 실전무술의 전승이면 결국 대를 이어가면서 발전을 시켜야 하는 것인데, 혼자서 하는 발전의 속도란 결국 뻔한 것이다. 그 와중에 약점이라도 누출되어 파해법이 만들어지면 겉잡을 수 없다.

과거 한국 창작 무협에선 그다지 쓰이지 않은 설정이다. 지금도 그렇지만 주인공의 성장 드라마이자 재벌 성공기 플롯이 독자들에게 인기를 끌었기 때문에, 어지간히 특이한 주인공을 만들고 싶지 않은 이상 일인전승을 쓰는 경우는 좀처럼 없었다.

극단적인 예로, 여덟 미녀를 옆에 끼고 수많은 천지회 군웅과 청나라 장병을 좌지우지하는 녹정기와, 무쌍류의 유일무이한 전승자로써 작품 끝날 때까지 온몸에 피칠을 하고 싸워대는 독보건곤을 비교해보면…….

갑툭튀한 주인공이 강한 이유를 '원래 그렇다' 한마디로 설명할 수 있고(…) 동시에 주인공이라는 독자성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많이 쓰인다. 그렇지만 나중에 소재거리를 찾다보니 계승자는 아닌데 같은 권법을 쓰는 사람이나 어영부영 분파가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비뢰도

여담으로, 이게 원래 북두의 권의 일자상전(一子相伝)이 유래인데 무협작가들이 표절시비 붙을까봐 글자를 바꿨다는 얘기가 이전 문서에 있었는데, 一人傳承은 중국 문서에서도 숱하게 발견되는 단어다. 무엇보다 그 당시 무협지 작가들이 저작권 같은 것을 신경 썼을까(…).

2 비슷한 용어들

2.1 일자상전(一子相傳)

북두의 권에서 권을 전수하는 제자는 양자로 삼으며 제자들은 의형제로 삼는다. 다른 제자가 있으면 일인전승이 아니잖아. 그래놓고선 전승자를 뽑을 때는 그 제자들로 배틀로얄을 벌이게 만드는데, 전승자가 되지 못 하면 장애인으로 만들거나, 인위적인 기억상실로 만들어 북두의 권을 못 쓰게 만들고, 그렇지 않으면 세상에 나오지 않고 은거하게 만드는그런데 북두의 권은 암살권 아니었나? 암살자가 세상에 막 돌아다니나? 하기사 하는 짓 보면 절대 암살권이 아니긴 하지만... 악랄한 방식을 써서 단 한 명의 전승자만 남기게 된다. 제자들은 어떤 경위에서든 이 일을 알게 되어 그 배틀로얄이 그야말로 혈투가 되고 만다.

2.2 적전제자(嫡傳弟子)

글자 그대로 적통을 이은 제자를 말한다. 그밖에 직전제자(直傳弟子), 기명제자(記名弟子) 등도 비슷하게 쓰이기도 한다. 제대로 된 경로를 거쳐서 제대로 사승관계를 맺고 정확히 전수받은 경우다.

반대되는 경우는 그냥 어쩌다 무공 몇개 가르쳐주거나, 목숨이 경각에 달해서 아무나 붙잡고 가르쳐주는 경우 등이 있겠다.

2.3 의발전인(衣鉢傳人)

원래는 불교 용어. 의발이란 가사와 바리때를 가리키는데, 선종에서 초대 달마부터 6조 혜능까지 의발을 전해 법통을 이은 증표로 삼았던 데서 유래했다.

따라서 '유일한 전승자'라는 점을 강조한다면 이 표현이 적당하다. 다만 불교 색깔이 강한 용어이기 때문에, 무협에선 불교나 도교 등 종교계통에서 전승하는 경우에 많이 쓴다. 보통 "OO대사님의 의발을 이어받은 XX대협" 하는 식. 그런데 양판소 작가들이 이런 용어 자체를 몰라서 잘 안쓴다(…).

여담으로 그 의발은 6조 혜능이 파기했다. 이것조차 집착이라며.[2] 흠좀무.

2.4 비인부전(非人不傳)

멋져 보이라고 비인부전을 일인전승 앞에 붙이기도 한다. 원래는 이 짐승에게 먹이를 주지 마시오 인격이 덜 되어먹은 인간에게 전하지 말라는 뜻이다. 요즘은 개나 소나 신비주의를 치장하기 위해 써먹는 표현이지만, 사실 엄격한 윤리적 잣대를 강조하는 말이다.

조선시대의 장인들의 기술 전승에서 가장 중요시 했던 항목이기도 하다. 비인부전하고 비기자부전(非技者不傳)한다고 하였다. 인성이 되어있지 않으면 전하지 않고 실력이 아니면 전하지 않는다는건데 실력보다도 인성을 중요시 하였다는 것이다.

이은성 작의 소설 동의보감에서 잘 표현돼 있다. 유의태의 아들 유도지와 허준이 의과 응시를 위해 서울로 가다가 전염병이 창궐한 지역을 통과하는데 유도지는 처방전 한 장 써주곤 한양으로 가버리고 허준은 전염병 구완하다가 응시에 늦어 버린다. 유의태는 의과 낙방을 이유로 허준을 쫓아냈다가 뒤늦게 진상을 알고 유도지와 연을 끊고 허준을 다시 후계자로 결정.

2.5 문외불출(門外不出)

문 밖으로 가지고 나가지 못한다는 뜻. 옛날 책이 귀했던 시절, 고서에 써놓는 경우가 많았다. 무협에서는 어중이 떠중이 가르치지 않고, 오직 자기 문중 사람들만 가르친다는 '폐쇄성'을 강조하는 의미로 쓴다.

오늘날 수많은 무술 유파 가운데 공공연히 문외불출을 표방하는 곳들이 있으나, 그 가운데 누구 하나 일인전승을 칭하지는 않는다. 상식적으로 생각해서, 스승이 미처 전수를 덜 해주거나 제자를 못 구하고 죽으면 대가 끊긴다. 당연히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게다가 한명뿐인 제자가 재벌이 아닌 이상 돈도 벌 수 없다.

2.6 유수일인(唯授一人)

일인전승처럼 문자 그대로 한 사람에게만 전해주는 의미이며, 창가학회 같은 곳에서 쓰이는 것이 보인다.

3 일인전승 되는 것

  1. 일인전승 규칙도 없는데 적합자가 한세대에 한명이나 있으면 다행인 수준이여서 일인전승이 되어버렸다. 엔딩에서 레펜하르트가 세계수를 이용한 검색마법이라는 치트를 사용해 2명의 제자를 낼 수 있게 되었는데, 덕분에 명칭을 어떻게 할까 하는 고민에 빠지게 되었다. 그 전까지는 당대에 전승자가 한 명 밖에 없어서 스승은 권황이 되고 제자는 권왕이 되었기 때문...
  2. 혜능 자신이 스승의 의발을 물려받은 후 질투에 눈먼 사형제들의 추적을 피해 도망 다닌 경험이 있다. 본래 오랑캐 출신인데다 승려가 아닌 절의 불목하니였으나 스승이 의발을 전수하기위해 제자들 뿐 아니라 누구나 게를 하나씩 지으라고 했는데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 받아 스승이 밤에 몰래 의발을 전하고 달아나라했다.
  3. 일단 둘다 후개(방주의 후계자)에게만 전해야 한다는 설정이 많기는 하지만, 그게 일반적인 설정이라고 하긴 힘들긴 하다. 타구봉법은 거의 대부분이 일인전승이라는 설정이지만 하위버전을 다른 제자들이 익히고 있기도 하고, 항룡십팔장은 장로급 이상은 익히고 있기도 하는 등 설정이 많이 다르다. 일단 김용 원전을 기준으로 한다면 타구봉법은 일인전승이 맞고, 항룡십팔장은 아니다. (심지어 항룡십팔장은 문외불출의 규율도 없다!)
  4. 하나의 소울 웨폰을 둘로 나눈 경우도 있다.
  5. 고카도인 가문의 수명을 연장하는 술법. 가주의 자격을 얻은 자에게만 전수된다.
  6. 이쪽은 강력한 그 자체 보단 세력의 안정과 존속을 위해 택한편. 그러나 이것도 다스 시디어스가 깨뜨려버렸다.
  7. 의도치 않은 일인전승이었다. 항목 참조.
  8. 아리시아 이후 2대째 일인전승 그리고 3대째 일자전승이 예상되기는 한데 아리시아가 프리마가 되기 이전에는 선배가 있었다는 묘사가 있기 때문에 일인전승은 아니다.
  9. 선대의 마법을 통째로 물려받아 계속 발전시켜 나가는 방식인지라 일인전승이 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작중 7400년간 이어져오던 전승이 끊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