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닐알라닌

유기화합물
탄화수소아민아마이드알코올
알데하이드케톤카복실산방향족
탄수화물알칼로이드푸린비타민
유기화합물 - 카복실산
포화지방산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2 24 26 28 30 31 32 33 34 35 36
불포화지방산cis-3:1ω1 cis-14:1ω5 cis-16:1ω7 cis-16:1ω10 trans-18:1ω7 cis-18:1ω9 trans-18:1ω9 cis-18:2ω6 trans-18:2ω6 cis-18:3ω3 cis-18:1ω6 cis-20:1ω7 cis-20:5ω3 cis-22:1ω9 cis-22:6ω3
아미노산주요 아미노산기타 아미노산
글루타민 글루탐산 글라이신 라이신 류신 메싸이오닌 발린 세린 시스테인 아르지닌 아스파라진 아스파트산 알라닌 아이소류신 트레오닌 트립토판 타이로신 페닐알라닌 프롤린 히스티딘셀레노메싸이오닌 셀레노시스테인 시트룰린 오르니틴 카르니틴 타우린 피롤라이신 아스파탐
기타구연산 글루카르산 글루콘산 글루크론산 글리세린산 레불린산 말레산 말론산 말산 벤조산 살리실산 아디프산 아세토아세트산 알다르산 알돈산 옥살산 우론산 이소시트르산 점액산 젖산 크실론산 타타르산 탄산 피루브산 이부프로펜

※ 포화지방산은 탄소 개수로 표기.


450px-Phenylalanin_-_Phenylalanine.svg.png
Phenylalanine (Phe, F)

방향족 탄화수소이자 아미노산의 하나. 코돈은 UUU, UUC이다. 말 그대로 알라닌에 페닐기(-C6H5)가 붙은 형태를 띠고 있다. 여기에 알코올기(-OH)가 추가되면 티로신이 된다.

페닐알라닌은 합성 비용이 꽤 높은편인데, 그래서인지 인체에서 자체 합성하지 못하므로 반드시 섭취해야하는 필수 아미노산이다. 그런데, 이게 뇌-혈관 장벽을 넘어갈 수 있단게 함정(...) 남아돌게 될 경우 마구잡이로 누적되어 중추신경에 손상을 준다. 따라서, 남아돌 경우 알코올기(-OH)를 하나 붙여서 티로신을 만드는 데 쓰인다. 알캅톤뇨증, PKU(페닐케톤뇨증), 티로신혈증, 알비노등의 질환의 경우 페닐알라닌을 티로신으로 변환하는 것에 문제가 생긴 경우다.[1]

PKU환자들은 특히 위험한데, 이 성분이 남아돌경우 처리를 할수가 없다. 이게 심지어 혈뇌장벽을 통과해서 에 쌓이게 된다. 때문에 이 병을 미리 인지하고 저단백 식품으로 식단관리를 하지 못하면 각종 장애가 따르게 되며, 다행히 현대에는 기술의 발달로 아이의 탄생과 동시에 확인이 가능하다.

아스파탐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므로 페닐케톤뇨증 환자는 아스파탐 섭취를 하면 안 되며,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 아스파탐이 첨가된 식품에는 아스파탐을 첨가했다는 표시를 하도록 하고 있다.

티로신과 모양과 용도가 비슷하기 때문에 보통 둘을 같이 묶어서 취급한다.
  1. PKU의 경우 아예 OH기를 붙이는 효소를 만들지를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