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외래어/러시아어

한국어외래어
프랑스어계독일어계일본어계
스페인어계러시아계이탈리아어계
중국어계기타

1 남한에서 자주 쓰이는 러시아어 유래 외래어 / 외국어

1.1 과학&지리

1.2 경제&사회

1.3 문화

1.4 역사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러시아어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2 북한에서 자주 쓰이는 러시아어 유래 외래어

대한민국이 우호국인 미국과 역사적 영향이 있던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아 영어, 일본어 유래 외래어가 많이 쓰이는 것처럼 북한에서도 러시아어 유래의 어휘가 많이 쓰이고 있다.

  • 외국 지명을 쓰는 법은 러시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문화어표준어
그루빠(группа)그룹(group)
꼴바싸(колбаса)소시지(saussage)[4]
땅크(танк)전차(탱크, tank)
뜨락또르(трактор)트랙터(tractor)
로씨야(Россия)러시아(Russia)
모또찌클(мотоцикл)모터사이클(motorcycle)[5]
미누스(минус)마이너스(minus)
삐오네르(пионер),[6][7]소년단
타프춤탭댄스(tap-dance)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화어/어휘대조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이동 한편 현대 러시아어로 точка는 그냥 '점', '지점', '포인트'를 뜻한다
  2. 이동 САМооборона Без Оружия
  3. 이동 라틴어의 카이사르가 어원이다.
  4. 이동 다만 2014년 들어 북한 언론 등에서 '쏘세지'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꼴바싸도 병행 사용되는데, 이 경우 러시아식으로 만드는 소시지를 지칭한다.
  5. 이동 어떤 문화어와 표준어 비교표를 보면 표준어 부분에 오토바이라고 쓴 때도 있지만, 표준어는 모터사이클이 맞다. 하지만 남북한 모두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오토바이'를 많이 쓴다.
  6. 이동 키릴 문자로마자로 바꾸면 pioneer. 영어의 그 파이오니어와 같다.
  7. 이동 다만 북한의 소년단은 조선소년단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