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어/어휘대조

본 문서는 북한의 문화어와 남한의 표준어를 대조하기 위한 문서이다.

1 평남 방언 또는 고유어 및 신조어로의 대체

문화어표준어
가두배추양배추
강냉이옥수수, 강냉이[1]
강냉이튀기팝콘
게사니거위
곱등어돌고래
과줄한과
곽밥[2]도시락
구운빵지짐와플
귀밀귀리
길금엿기름
길짱구질경이
남새[3]야채, 채소[4]
농마녹말
눅다저렴하다
다진물고기와 빵(…) [5]휘시버거
다진소고기와 빵(…) [6]햄버거
단고기개고기
단묵양갱 또는 젤리
단물 / 탄산단물주스 / 탄산음료
닭알(계란)달걀
닭알씌움밥오므라이스
도루메기도루묵
둥글파, 옥파양파
막대기식 손전화스마트폰
무리등, 샨데리아샹들리에
바스레기바지락
[7]창자
보가지복어
부루상추
사자고추피망
살결물로션
세겹살삼겹살
세모종트라이앵글
쌍붙이섹스/교미
안해[8]아내
얼음과자[9]아이스크림
은을 내다광택을 내다
응용프로그람[10]애플리케이션
이밥[11]쌀밥
장대비행기대나무 헬리콥터
종다리종아리
지지개찌개[12]
꼰떼나컨테이너
째이다짜이다
참나무버섯표고버섯
튀기튀김
하늘소당나귀
행베리피라미

2 북한식 한자어 조합

문화어표준어
강반(江畔)강변
고속도 도로(高速度道路)고속도로
관풍금(管風琴)파이프오르간
급혈(給血)헌혈
내리적재(-積載))다운로드
대고(大鼓)베이스드럼
문화어(文化語)표준어
반고(半鼓)탬버린
백하젓(白蝦-)새우젓
사탕가루(沙糖-)설탕, 사탕가루[13]
소고(小鼓)스네어드럼
소매점(小賣店)[14]편의점
속도전음식[15] 속성음식(速成飮食)패스트푸드
속성국수(速成-)[16]라면
손풍금(-風琴)아코디언
손기척[17]노크
아랍추장국(-酋長國)아랍에미리트(아랍토후국, 아랍수장국)
영예군인(榮譽軍人)상이군인
유리양말(琉璃洋襪)[18][19]스타킹[20]
위생실(衛生室)화장실
인공지구위성(人工地球衛星)인공위성
짧은주로속도빙상(…, -走路速度氷上…)쇼트트랙
콩우유(-牛乳)[21]두유
홍당무(紅糖-)당근[22]

3 북한말과 남한말

3.1 두음 법칙 무시로 인한 차이

문화어표준어
다이나믹 로동노동
녀성여성
룡천군용천군
래일내일
력사역사
룡인시용인시
라주시나주시
량강도양강도
리천시이천시
녀자여자
련결연결
려행여행
렬차열차

3.2 단어는 같으나 의미가 다른 경우

단어문화어표준어
국수(기본형 어휘)전분가루로 만든 면. 소위, 함흥냉면, 회냉면이라 부르는 것.밀가루로 만든 소면. 잔치국수가 대표적.
궁전=Centre. 남한의 "ㅇㅇ센터" 같은 의미로 사용.론현동인민궁전[23]
금수산태양궁전은 왕궁이면서 왕궁이 아니다
=Palace.
다그치다격려하다몰아붙인다
일없다괜찮다.[24]너 볼일 없다
반동북한판 천하의 개쌍놈들 1. ex)반동분자.북한식 의미도 있긴 하지만 주로 물리학적 의미로 사용.
자본가북한판 천하의 개쌍놈들 2적잖은 자본(돈)을 축적한 사람.
원수김일성, 김정일, 김정은[25]1) 원한이 있는 상대(怨讐) 2) 군사계급의 하나(元帥)
장군김일성 일가 중 김일성, 김정일, 김정숙[26]=General 혹은 최상위를 빗댄 말.
평화적화통일등으로 공화국이 평정한 상태
잠깐 이건 평화가 아닌데? 원래 뜻이랑 안드로메다
전쟁이나 정권대치가 일어나지 않는 상태
봉사상대방에게 제공함. =서비스. ex) 메추리료리를 봉사합니다.[27]무보수로 타인을 도와줌. ex)봉사활동을 다녀왔다.
사귐교집합다른 사람과 연을 맺다. 친구 혹은 애인으로서.
인민=국민. 외국인은 포함되지 않음.국가나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
공화국=북한 (North Korea).=Republic. 특정 국가가 아닌 국가운영체계 중 하나.
당(黨)=북한. 본 의미는 북한 공산당이나 일당체제라서…(주로) 정계에 직접 활동하는 정치집단.

4 외래어 표현

4.1 러시아어

문화어표준어
그루빠(группа)그룹(group)
꼴바싸(колбаса)소시지(saussage)[28]
땅크(танк)전차(탱크, tank)
뜨락또르(трактор)트랙터(tractor)
로씨야(Россия)러시아(Russia)
모또찌클(мотоцикл)모터사이클(motorcycle)[29]
미누스(минус)마이너스(minus)
삐오네르(пионер),[30][31]소년단
타프춤탭댄스(tap-dance)

4.2 중국어 표현

문화어표준어
검사지점(檢査地點, 检查地点)[32]체크 포인트(check point)
만부하(满负荷, 滿負荷)가득 실음, 만재(滿載)
직관물(直观物, 直觀物)전시물(展示物)
직승기(直升机, 直昇機)헬리콥터(helicopter)
원주필(圆珠笔, 圓珠筆)볼펜(ball pen)
흡진기(吸尘器, 吸塵器)청소기(淸掃機)

4.3 이탈리아어 표현[33]

문화어표준어
깜빠네/깜빠넬리(campane/campanelli)[34]튜블러 벨(tubular bells)
피아티(piatti)[35]심벌즈(cymbals)

4.4 일본어 표현

문화어표준어
고뿌(カップ)(cup)
레루(レール)레일(rail)
바레에(バレエ)발레(ballet)
벤또(べんとう, 弁当)[36]도시락
안삼불[37]앙상블(ensemble)
와이샤쯔(ワイシャツ)흰 셔츠(- shirt, white shirt)

5 교과서에 나오는 막말 험악한 표현들

실제로 소학교(북한의 초등학교. 예전에는 '인민학교' 라고 불렀다) 교과서에 나오는 말이다. 주로 미국이나 일본에 대한 적개심과 호전성을 기르러 쓴다. 다시 말해서 북한에서는 일부러 아이들이 호전적으로 자라나도록 교육한다. 이는 미래에 통일했을 때 큰 문제일 수도. 표현정도는 순화되었어도 60~80년대 남한에서도 비슷한 의미의 교육을 했었다. 반공을 참고하자.

  1. 흔히 방언으로 여기거나 옥수수를 튀긴 과자만 표준어인 줄 아는 경우가 있는데,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 옥수수의 동의어라는 설명이 있으므로 방언이 아닌 표준어다.
  2. '벤또'의 순화어로 제시된 말인데, 구어체에서는 주로 밖에서 사먹는 도시락을 말한다고.
  3. 이 말은 남한에서도 쓰는데, 에서 기른 채소를 뜻한다.
  4. 흔히 야채를 일본어로 알고 있지만 둘 다 표준어이며 한국에도 쓰는 한자단어다.
  5. 김정은에 의해 폐기된 표현이다.
  6. 김정은에 의해 폐기된 표현이다. 현재 표현은 함버거.
  7. 큰창자는 큰밸, 작은창자는 작은밸. 우리말에도 '배알이 꼴린다'와 같이 옛 부터 쓰던 말이다.
  8. 남한에서도 옛날엔 이렇게 썼다. 집안에 있는 해 라는 뜻. 로맨틱
  9. 1990년대 이후 나온 로동신문 같은 북한 언론 매체나 영어회화 교재를 살펴보면 '에스키모'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또한 북한의 사전에서는 '얼음과자'와 '에스키모'를 동의어라고 표시한다. 국내에 나온 많은 남북한 언어 비교 자료에서는 '얼음보숭이'라는 표현이 나오지만, 정작 이 단어는 1990년대 이후 출간한 북한 사전에서는 빠져서 없다. 이는 해당 표현이 그다지 호응을 못 받아서라고 추측한다.
  10. 요즘은 한국처럼 줄여서 '앱'으로 바르게 쓰는 경우도 있다.
  11. '이팝'이라고 발음하며, 잡곡이 없는 순수한 백미 밥을 말한다. 참고로 백미는 '입쌀'이라고 한다. 최근 북한의 어린이나 군인들은 '꼬꼬 밥'이라는 표현을 쓴다고도 하는데 정식 문화어는 아니다.
  12. 둘 다 같이 쓰기도 한다.
  13. 많이 안 쓰여서 그렇지 사탕가루 역시 표준어 맞다.
  14. 최근 북한에 등장한 새로운 업종인데, 편의점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 : [1]
  15. 북한 주민들은 가공한 옥수수 가루로 즉석에서 만들어 먹는 을 '속도전 떡'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속도전'이라는 말은 빠르게 만들어서 먹을 수 있다는 뜻이니 북한 주민들이 일상생활에서 패스트푸드와 비슷한 뜻으로 '속도전음식'같은 단어를 만들어 쓸 가능성이 있다. 참고로 '속도전 떡'을 만드는 데 쓰는 가공 옥수수가루의 정식 명칭은 '강냉이변성가루'이다.
  16. 최근 북한 군부에서 '기름국수'라는 용어를 쓴 사례가 있으나, 이는 지금까지는 나온 적 없는 신조어다.
  17. '기척'은 고유어.
  18. 양말은 한자로 '洋襪'이라 쓴다. 즉 '양말'은 '서양버선'이란 뜻의 한자어이다.
  19. 그런데 최근에는 '스토킹'을 더 많이 쓴다고 한다. stocking을 영국식 발음으로 읽은 것을 옮긴 것.
  20. 팬티스타킹은 '바지양말'이라 부른다고 한다.
  21. 참고로 우유(牛乳)라는 한자어는 '소젖'을 뜻한다. 즉 이 단어를 그대로 해석하면 '+소젖' 이다.
  22. 한국에서도 섞어서 쓰는 단어이다. 현재는 잘 안 쓰이지만.
  23. 다만 궁전이란 용어 대신 그대로 번역하여 '중심'이라는 표현도 쓴다. 중국에서와('中心') 마찬가지. 그런데 최근 들어서는 영어 표현대로 '쎈터'라고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예를 들자면 '조선콤퓨터쎈터'.
  24. 조금 더 설명하자면, 이 표현은 중국인과 조선족 사이에서도 통용한다. 중국말로 '괜찮다'는 '没事(méish)'라고 표기하는데 이를 직역하면 '일 없다'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조선족들도 그러니, 이 말을 쓴다고 무조건 북한 사람이라고 볼 수는 없다.그럼 조선족이나 한국말 배운 중국인? 또한 러시아어에서도 'Ничего(니치보)'라는 표현을 쓰는데, 이 역시 '일 없다'라는 뜻이다.
  25. '원한이 있는 상대'를 말하는 원수(怨讐)는 원쑤라고 한다. 공식 표기가 쌍시옷(ㅆ)을 쓰는 원쑤. 김일성이 대원수에 오른 뒤에는 잘 안 쓰다가, 김정은이 원수를 하자 김정은을 지칭하는 말로 다시 쓰인다. 김정은은 나의 원수
  26. 김정숙은 김일성의 아내, 김정일의 모친. 북한에서는 이 셋을 통틀어 '백두산 3대 장군'이라 일컬으며 항일 영웅으로 선전한다. 김일성의 항일 운동 자체는 일정 부분 사실이지만, 과장과 왜곡이 심한 상태.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 참고. 김정은은 현재 '원수' 계급에 있으며 '장군'이 아닌 '원수님'으로 불린다. 일반적인 장군의 의미인 군 장성은 북한에서는 '장령'이라고 부른다.
  27. 참고로 일본어에서도 奉仕(ほうし, 봉사)는 대개 이런 의미로 사용한다. ご奉仕します는 거의 멘트급.
  28. 다만 2014년 들어 북한 언론 등에서 '쏘세지'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꼴바싸도 병행 사용되는데, 이 경우 러시아식으로 만드는 소시지를 지칭한다.
  29. 어떤 문화어와 표준어 비교표를 보면 표준어 부분에 오토바이라고 쓴 때도 있지만, 표준어는 모터사이클이 맞다. 하지만 남북한 모두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오토바이'를 많이 쓴다.
  30. 키릴 문자로마자로 바꾸면 pioneer. 영어의 그 파이오니어와 같다.
  31. 다만 북한의 소년단은 '조선소년단'이라고 부른다.
  32. 실제 북한의 플래시게임에서 "검사지점 통과"라고(…) 쓰임이 확인되었다.
  33. 주로 음악 용어 쪽에서 많다.
  34. 'campana/campanello'의 복수형
  35. 'piatto'의 복수형
  36. 북한 당국에서는 '곽밥'으로 순화하려는 모양이지만, 실생활에서는 곽밥과는 다른 용법으로 지금도 쓰는 모양이다. 집에서 싸가는 도시락을 벤또라고 말한다. 여만철 일가 탈북귀순 때 여만철의 딸 여금주가 벤또라는 말을 쓴다고 증언하였다.
  37. Ensemble의 일본어 표기인 'アンサンブル' 를 읽은 것. 다만 러시아어 안삼블(Ансамбль)을 보고 이렇게 썼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