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선

光州線 / Gwangju Line

광주선
350px
크게보기
소유자100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위임)
운영기관 " />?width=100
노선번호2074
노선명경전선 광주선 (慶全線 光州線)
종류지선철도
영업거리11.9㎞
궤간1435㎜
역수2
기점광주송정역
종점광주역
전기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신호ATS
선로 수1
개업일2000년 8월 10일
운영노선ITX-새마을
무궁화호

1 개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있는 광주송정역에서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광주역까지 운행하는 총 연장 11.9km의 짤막한 노선을 말한다. 이 노선은 광주역까지의 구간조차도, 선로이설 및 광주역 이설 등으로, 1941년 이전의 광주선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일단 봐서는 경전선의 지선으로 분류되지만, 서부경전선 자체도 애초에 호남선 지선 취급 받고, 또한 호남선에서 분기하여 광주선에 입선하기까지의 거리도 짧으며, 광주선에 입선하는 열차들이 대부분 호남선 계통 열차이므로 결국 외곽을 지나는 호남선의 지선 역할이라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광주역 위치가 광주 구시가지 내부에 있고 북구, 동구 쪽에서 접근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그 이유에서라도 아직 존치되고 있는 철도이다. 덕분에 단선인 광주선에 KTX 열차가 들어가는 진기한 풍경이 연출되기도 했다. 초기에는 극락강역에서 20량짜리 KTX-1끼리 교행하는 장면도 감상할 수 있었다.

호남고속선광주송정역까지 건설되고 나서도 광주선을 존치해야 하느냐 하는 논란이 치열하다. 특히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 광주역에 KTX 운행이 폐지되면서 구도심 지역에서는 '차라리 광주선을 들어내고 광주역 부지를 재개발하여 광주 구도심 활성화의 기폭제로 삼자'거나 '추후 착공하여, 개통예정인 광주 2호선광주역으로 개조시켜버리자' 라는 의견도 거세지고 있다.

2 역사

1944년 이전의 광주선은 남조선철도회사의 사설철도로 시작하여, 조선철도회사 소속이 되었다가 조선총독부 철도국에 매입된, 송정리-광주역-담양군을 연결하는 36km의 철도였다. 이 철도의 정식 명칭은 전남선으로, 담양 이후 순창군을 지나 금지역 근처에서 현재의 전라선 선로를 따라 순천까지 갔다가 다시 현재의 경전선 선로를 따라가면서 진주를 거쳐 마산에 이르는 철도로 계획되어 있었다.

송정리-담양 구간은 일제시대에 영업을 했고, 담양-금지 구간은 공사를 진행하였다. 이때 남원, 거창 등지에서는 광주선을 남원역에서 대구광역시까지 연장하는 '구남철도'의 부설 운동이 일어났다. 공사가 진행되다가 태평양 전쟁으로 공사가 중지되었다. 영업중이던 광주-담양 구간도 1944년에 철거되어 자재가 군수물자 원료로 유용되어 사라졌다. 당시의 광주역은 지금의 광주역과는 위치가 다르다.

이 당시의 광주선은 폐선된 지 70년이 다 되어가는 현재에도 거의 전 구간에 걸쳐 흔적이 남아 있다. 상당수는 선형 그대로 도로로 전용되어 그 흔적을 느낄 수 있다. 계림오거리에서 동북쪽과 동남쪽으로 뻗어나가는 도로가 깔끔한 곡선형인데 이것이 바로 각각 대인동 구 광주역에서 광주선과 경전선이 분기했던 흔적이며, 위성지도로 보면 1순환로 바깥의 군왕로까지 축선이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

이뿐만 아니라 철교 교각에 터널, 심지어는 역 승강장 경계석까지 거의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곳이 많다. 심지어는 터널을 부수고 도로를 확장했는데, 도로 한쪽의 옹벽이 철도 터널의 벽으로 그대로 남아 있는 사례도 있다. 특히 실제 운행이 되었던 광주-담양 사이의 구간은 역 승강장이 한 역만 빼고 남아 있을 정도로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박정희 대통령 집권 직후 금지역까지 다시 철도를 건설하기로 확정되어 착공에 들어갔고, 전라선 남원역에서 다시 김천 - 삼천포 간에 착공된 김삼선의 함양까지 철도를 건설하여 광주와 진주, 광주와 김천을 연결할 계획이었으나 계획이 바뀌어 취소되었다.

아래 그림의 초록색선로가 광주역 신역사에서 분기하려던 노반 흔적이다. 당시로서는 지방 인구 비율도 많았고 타당성이 있었을 것이기 때문에 아쉬운 부분. 광주역까지 남은 현재도 남원역을 지나 대구광역시까지 연장하려는 계획이 장기 구상에 있기는 한데, 이 때 광주선을 활용할지 별도의 노선이 될지는 아직은 결정된 바가 없다.
파일:광주 도심철도 이설전.png

1956년에는 현재의 서부경전선에 해당하는 광주송정역 ~ 순천역 구간을 '경전서부선'에서 '광주선'으로 개명하였다. 참고로 같은 날 삼랑진역 ~ 진주역 구간도 '경전남부선'에서 '진주선'으로 개명되었는데, 1968년에 순천역 ~ 진주역 구간이 개통하여 두 명칭은 없어지고 삼랑진 ~ 광주송정 구간을 통틀어 '경전선'이라는 이름이 새로 부여되었다.

2000년 서광주역 개통 및 경전선 이설을 계기로 구 경전선의 광주역 구간이 광주선으로 바뀌었다. 2004년 KTX 개통 후까지만 해도 그럭저럭 살아남았다가 2015년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광주역에서 KTX가 없어졌으며 그와 함께 광주선 폐선 이야기가 정치권 특히 광산구, 북구에서 솔솔 나오고 있다.

광주시가 운영비를 어느 정도 지원하는 것으로 코레일측과 협의되어 일단 2016년 12월 수서발 KTX의 개통에 맞춰 광주선에 셔틀 열차를 1일 28회 왕복 운행하는 것으로 결정이 되었다. 그럼 이거나 이걸로 운행하려나? 그러니 일단 광주선 폐선까지는 안 갈듯 하고 지금의 안습한 상황은 조금 나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광역철도를 굴리지

3 역 목록

일러두기(여객, 화물취급)
KKTX 필수정차kKTX 선택정차
RSRT 필수정차rSRT 선택정차
IITX-청춘 필수정차iITX-청춘 선택정차
SITX-새마을/새마을호 필수정차sITX-새마을/새마을호 선택정차
M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m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C통근열차 정차B바다열차 정차
OO-train 정차VV-train 정차
NS-train 정차DDMZ-train 정차
AA-train 정차GG-train 정차
H화물취급여객/화물 미취급
일러두기(역 등급)
관리역보통역
배치간이역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신호소


※ 폐역은 현재 선로상에서 폐지된 것만 기재하며, 킬로수와 영업현황은 기재하지 않음.

한자역명여객화물등급분기선소재지
-2.7[2]광주송정光州松汀MSKH호남선
경전선
광주광역시 광산구
4.5극락강極樂江mH
11.9광 주光州MSH광주광역시 북구
  1. 심지어 중흥동 현 광주역 동쪽으로도 군왕로 쪽으로 분기되는 축선이 보인다. 중흥동에 역이 지어질 때는 이미 광주선이 폐선된 상태인데도 분기선을 마련한 것을 보아, 재개통까지 염두한 듯 하다.
  2. 광주선의 공식 분기점은 동송정분기점이다. 광주송정역은 동송정분기점 이전에 있어서 역거리를 음수로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