낫과 망치

150px-Hammer_and_sickle.svg.png

영어 : Hammer and sickle
러시아어 : Серп и молот (쎼르프 이 몰라트)
중국어 간화자 : 锤子与镰刀(chuízi yǔ liándāo, 추이쯔 위 롄다오)

1 개요

사실은 나치과 망[1]

그림[2]에서도 보이듯, 농민를 상징하는 과, 노동자를 상징하는 망치가 겹친 기호로, 농부와 노동자의 단결을 나타낸 것이다. 붉은 별과 함께 공산주의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상징이다. 1917년을 전후로 러시아 혁명 때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1922년부터 소련군의 휘장, 깃발, 계급장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참고로 러시아 혁명 이전 러시아 제국로마 제국의 정통 후계자를 자처하였고, 제국의 상징이었던 쌍두독수리를 상징으로 사용했다. 소련이 붕괴한 뒤 지금의 러시아 역시 낫과 망치를 버리고 다시 쌍두독수리를 사용하고 있다. 단, 낫과 망치는 지금은 야당으로 전락한 러시아 연방 공산당에서는 계속 사용 중. 그리고 소련에서 독립한 몰도바에서 갈라져나온 미승인국 트란스니스트리아는 지금도 소련 시절의 낫과 망치 국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 기호는 공산주의 운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정확히 말하면 마르크스주의가 아니라 스탈린주의 내지는 레닌주의[3] 를 나타낸 것이다. 그래서 제 4인터내셔널에서는 '반 스탈린주의'를 내세워 낫과 망치의 위치가 반대로 된 기호를 만들었다. 이렇게 하면 숫자 4와 모양이 비슷해지는 효과는 덤.

2 바리에이션

프랑스 혁명 이후 민주주의의 상징으로 세계 각지에 퍼진 삼색기처럼, 마찬가지로 러시아 혁명 이후 공산주의의 상징으로 낫과 망치도 세계 곳곳에 퍼져 바리에이션도 매우 다양하다. 다만 공통적으로는 소련에서 먼저 선보인 붉은 계통 디자인을 필수요소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소련 국기

파일:Attachment/낫과 망치/vmf.png
소련 해군 군기

Aeroflot+logo.JPG
러시아의 항공사아에로플로트의 로고. 소련 해체 이후 잠시 쌍두독수리로 로고를 교체한 적도 있으나 간지가 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낫과 망치로 회귀했다.

150px-Flag_of_the_Chinese_Communist_Party.svg.png
중국 공산당기. 별이 없고 낫의 손잡이가 둥글게 된 것으로 소련 국기와 구분한다. 저 낫은 도대체 어떻게 잡고 풀을 베냐

250px-Flag_of_the_Communist_Party_of_Vietnam.svg.png
베트남 공산당기. 이것 역시 별이 없고 낫의 손잡이가 간결하게 된 것으로 소련 국기, 중국 공산당기와 구분한다.

200px-Flag_of_the_Workers%27_Party_of_Korea.svg.png
조선로동당기. 이 쪽은 지식인을 상징하는 을 끼워넣었고, 낫의 모양도 서양낫이 아닌 조선낫이다.

220px-Flag_of_Angola.svg.png
앙골라 국기. 앙골라의 국기는 모양과 의미가 낫과 망치와는 서로 반대인데, 낫(농민)의 역할을 맡은 물건은 톱니바퀴로 노동자를 상징하며, 망치(노동자)의 역할을 맡은 마체테는 농민을 상징한다. 추가로 공산주의 특유의 별 문양도 들어갔다. 이는 앙골라가 1975년 막 식민지배에서 독립했을 당시 사회주의 정권이 세워졌던 영향이 크다. 즉, 앙골라만의 현지화 문양이라고 볼 수 있다.

297px-CPUSA_logo.svg.png
미국 공산당기. 농민을 상징하는 낫, 노동자를 상징하는 망치와 톱니가 있다.


독일 민주 공화국 국기. 낫 대신에 호밀, 그리고 컴퍼스가 있다. 컴퍼스는 지식인을 상징한다.

Cuarta_internacional.png
앞서 언급한 제4인터내셔널의 마크

3 기타

유니코드로도 입력가능. 코드는 U+262D. ☭

냉전시절에 많이 쓰였으나 1989년 동유럽 혁명 이후 대부분 이 문장들은 자취를 감추었다.[4]

과거 소련의 위성국이였거나, 소련의 일부였던 동유럽 국가들은 공산주의 시절에 대한 악감정을 가지고 있다. 동유럽의 헝가리[5], 리투아니아, 몰도바[6], 폴란드 에스토니아, 체코에는 하켄크로이츠와 비슷하게 공공행사에서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오히려 소련과 동유럽의 직접적인 적이었던 서유럽에서는 미국과 다르게 공산당이 원내정당이 되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선 공산당이 제1야당이었던 시절이 있어서 이 문양에 대해 비교적 관대한 편이고, 러시아나 불가리아, 세르비아처럼 공산주의 시절에 대한 향수가 강한 나라에서도 관대한 편이다. 다만 어디까지나 비교적이지 러시아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에서 낫과 망치 깃발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많고 싸움까지도 날수있으니 주의할것.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냉전 때에는 금기시되었지만 1990년대에 소련, 중국과 수교하고, 소련 자체가 망하고 후신인 러시아와도 꾸준히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지금은 게양에 제한은 없다. 여전히 금지대상인 북한의 경우는 위와 같이 좀 다른 모양을 사용하기도 하고.

파일:Attachment/낫과 망치/오스트리아국장.png

오스트리아의 국장에도 낫과 망치가 사용되었다. 피폐해진 나라를 농업과 공업으로 살려냈다는 의미이다. 다만 공산권 국가에서 쓰는 형태로 낫과 망치를 교차시킨 모양은 아니었다. 1919년 처음 선보인 원본에는 중앙에 오스트리아 국기가 박힌 독수리 양쪽 발에 낫과 망치가 각각 잡혀있었으며, 1934년부터는 독수리 머리가 2개가 되고 낫과 망치가 빠졌다. 제 2차 세계대전 종전 후에는 다시 독수리 머리가 하나가 되고 낫과 망치도 제자리로 돌아갔으며 나치 독일로부터의 해방을 뜻하는, 다리 부분의 끊어진 쇠사슬이 추가되었다.

파일:Attachment/낫과 망치/prauda.png
걸즈 & 판처에서 러시아를 상징하는 프라우다 고교의 문장으로 사용된 버전. 학교인만큼 학용품으로 구성된 것이 센스있다.

300px

기안대학교의 로고로도 사용된다. 다만 이쪽은 망치가 아니라 삽이다. 공산주의랑은 상관 없고 그냥 노동의 의미로만 사용하는듯 하다.
  1. 그런데 실제로 러시아의 스탈린주의이자 나치즘을 추종하는 극우-극좌 혁명적 사회주의 파시즘(...) 정당인 민족 볼셰비키당은 정당 로고로 나치의 깃발에서 하켄크로이츠를 빼고 낫과 망치를 넣은 문양을 사용하고 있다.어떤 의미에서 극과 극은 통한다를 증명 스탈린이 알면 오히려 굴라그로 끌고 갈꺼같다
  2. 잠고로 저건 그림이 아니라 표이다. 궁금하면 드래그해보자
  3. 즉 소련과 그 위성국가들의 이념
  4. 실제로 헝가리나 루마니아, 구 동독에서는 낫과 망치 문장을 도려내거나 x자를 그었으며, 2006년까지 있었던 신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에도 낫과 망치는 아니지만 가운데의 붉은 별을 지웠다.
  5. 2013년에 금지에서 해제. 물론 여전히 이 문장을 좋게 보진 않는다
  6. 이곳도 헝가리처럼 2013년까지 금지를 하다가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