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역

수인선 (수원~인천 구간)
수원 방면
연 수

2.7 km
송 도
2.4 km
1.3 km
인천 방면
인하대
학 익
수도권 전철
수인선
오이도 방면
연 수

2.7 km
송 도
(K259)

2.4 km
1.3 km
인천 방면
인하대
학 익
↓ 여객열차 운행계통 보기 ↓

松島驛 / Songdo Station

송도역

다국어 표기
영어Songdo
한자松島
중국어松岛
일본어ソンド
역번
수도권 전철 수인선K259
300px
수도권 전철 수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송도역사 크게보기
주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비류대로 175
(舊 옥련동 산51-3)
수도권 전철
운영기관코레일
수인선 개업일2012년 6월 30일
일반 철도
운영기관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
수인선 개업일1937년 8월 5일
관리역 등급관리역(3급)

1 개요

150px
송도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수도권 전철 수인선의 역. 수도권 전철화 사업에 의해 폐선되었된 수인선(협궤철도)의 송도역을 계승하였다. 그러나 송도라는 이름을 가진 섬은 인천에 존재하지 않았고, 일제의 잔재가 남아있다는 문제 등으로 시대적 흐름에 맞게 명칭이 개정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최종적으로는 이 역명을 유지하였다. 2016년 2월 27일 코레일 직제규정 개편으로 관리역으로 승격하였다.

1.1 승강장

연수
4321
인하대(학익)
1·2수도권 전철 수인선인하대·숭의·신포·인천 방면
3·4수도권 전철 수인선연수·인천논현·월곶·오이도 방면

1.2 이야깃거리

  • 인하대역 방면으로는 이 역 다음부터 지하구간으로 들어간다. 연수역 방면으로 갈 때도 지하구간(청학사거리 부근)으로 들어갔다 나온다.
  • 최근 신설된 역임에도 불구하고 스크린도어가 없다. (2010년 새로 만들어진 경춘선 역들이나 중앙선도 스크린도어가 없긴 마찬가지다.) 다만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2018년까지 모든 광역전철역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는 사업을 추진하면서 옛말이 될지도.
파일:Attachment/PYH2012062711980006500 P2 1.jpg
▲ 사진 참조
  • 최근 용산선이나 과천선에 코레일이 적용하고 있는 LCD 안내판이 아닌 기존 LED 안내판을 쓰고 있다. 아직 수인선의 모든 역이 지상역이라 시인성 확보 차원에서 LED를 쓰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달월역 대합실에는 쓸데없게도 LCD안내판이 있다.
  • 재개통 당시 역명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원래 수도권 전철화 사업에 의해 폐지된 송도역의 이름을 계승하자는 취지에 송도역으로 확정하려던 것인데 다음과 같은 문제와 충돌하게 되었다.
① 송도라는 이름의 유래는 1936년 경 일제가 강제부여한 지명으로 침략도구로 쓰였던 '송도함'이라는 군함에서 유래된 것.
→ 일제의 잔재 지명을 그대로 끌고 가야 하느냐는 문제가 있다. 이 군함의 어원이 미야기 현 소재의 마츠시마(松島).

② 1998년 송도유원지 인근에 동춘동 일대 갯벌을 매립하여 '송도해상신도시'라는 이름으로 개발을 시작해 지금에 이르러서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일대의 '송도'라는 이름이 하나의 인천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함.
→ 송도국제도시로 가야 할 사람들이 송도역으로 가는 일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③ '옥련동' 송도와 '송도동' 송도는 같은 연수구 소재지임.
→지리적으로 같이 붙어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혼동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75년이 지나 송도유원지가 폐장한 뒤에도 잔존하면서 지금에 와서는 송도라는 지명을 바꾸기 어려운 위치에 이르게 되어 송도역으로 확정된 듯하다. 또, 송도역 앞의 삼거리 이름이 아직도 송도역삼거리로 불리기도 했다. 그 밖에도 같은 도시 안에 같은 이름의 동이 있는 사례는 얼마든지 있으므로 문제될 것은 없다. 서울의 신사동만 해도 은평구, 강남구, 관악구 3개이고, 인천만 해도 오류동이 서구계양구에 있다. 둘 다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오류동 보다 지명도가 훨씬 낮아서, 저 쪽 주민이 아닌 이상 인천시민이라고 해도 오류동 하면 구로구의 오류동을 먼저 떠올리는 게 문제지. 또한 금곡동도 서구와 동구에 양쪽 다 있다. 전부 법정동이긴 하지만.
  • 1994년에 폐선된 송도역(아래 2. 항목 참조) 자리에 역을 건설할 수 없는 사정으로 이 곳으로 위치가 이설되었는데, 영 좋지 않은 곳이라 논란이 일었다. 서북쪽의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어 비류대로 쪽으로 접근하기 수월하지 않다. 현재 송도역 광장과 주차장으로 들어가는 진입로도 있으나 이쪽으로 들어오는 버스가 없고 비류대로변에만 버스정류장이 있어 대중교통과의 접근 편의가 매우 좋지 않으며 이로 인해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있다.
  • 이 역과 연수역 사이의 선로는 원래 지상 구간으로 건설할 예정이었으나, 청학사거리 인근을 지하화하기로 결정하면서 변경되었다.
  • 몇몇 버스(특히 인천 버스 8)가 수인선 1차 구간(오이도~송도)이 개통하기도 전에 행선지에 송도역을 표시를 해두었는데, 인하대학교 신입생들이 아무 역에서 전철을 잡아 타기 위해 이 정류장에서 내렸다가 역이 없는 걸 보고 허탈해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 인하대학교 안산행 스쿨버스가 폐지되는 데 한 몫을 했다.
  • 수인선이 개통된 현재에도 인하대학교에서 이 역으로 오는 버스(8번 버스 한정)가 송도역으로 가려면 '송도역' 정류장보다는 '옥련 고개'에서 내려서 걸어 내려오는 것이 가깝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송도역 정류장에 서는 버스가 달랑 하나뿐이다!.
  • 이 역 광장에 정류장까지 설치해 놓았지만 현재 정차하는 버스가 없고 택시만 줄서있다. 그래서 송도역에 처음 오는 사람들은 그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경우도 있다. 눈치보다가 큰 길 방향으로 가는 사람들 따라 버스정류장으로 간다. 다만, 주차공간은 있어서 차끌고 와서 전철로 이동하기엔 편하다.
  • 송도역이 자리잡은 옥련동에는 근대식 유원지로 개장한 송도유원지가 있었는데 이는 송도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본래 유원지로 적합하지 않은 옥련동 일원을 유원지로 개발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송도유원지는 2011년 9월 일대를 재개발하기로 확정하면서 임시 폐장되었고, 2018년 재개장을 목표로 재개발 계획이 잡혀있다.
  • 이 역에는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있다.[1]

2 송도역의 미래

  • '한대앞-수원'구간이 개통되면 분당선(수인·분당선)과 직결 운행 예정이며, 이는 2017년 말로 예정되어 있다.
  • 인천발 KTX의 시종착역이 될 예정이다.[2] 송도역에서 출발한후 안산선 초지역에 중간 정차하고, 수인선과의 연결선을 설치하여 어천에서 경부고속선을 타고 내려가는 방향으로 2021년까지 사업을 추진 중이다.[3]
  • 먼 훗날 이 역과 주안역 사이를 잇는 경전철(노면전차)의 환승역으로 예정되어 있다.

2.1 역 주변 정보

2016년 7월 현재 이 역 주변에는 맥도날드 옥련DT점이 위치해 있다. 역 위치가 이설되어 예전만큼은 못하지만, 연수구내의 재래시장인 송도시장 또한 근처에 있다. 그리고 이 주변 지역은 송도역세권도시개발지구로 재개발될 예정이며 기존 주거지역 위주의 재개발에서 복합환승센터, 상업지역 위주의 재개발로 변경되었다. 인천발 KTX 개통에 맞춰 2021년까지 복합환승센터로 개발될 예정이다.

2.2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수인선
2012년2013년2014년2015년
2,172명2,862명3,399명3,581명

3 여객열차 운행계통

고속여객열차[4]
경부고속선 KTX
시종착송 도
km
부산 방면
초 지
호남고속선 KTX
시종착송 도
km
목포 방면
초 지

4 협궤철도 수인선 송도역

수인선 (협궤철도)
수 원 방면
문 학
송 도
남인천 방면
용 현
1994년 9월 1일 부로 폐선된 수인선 전체 노선도는 수인선/폐역 목록에서 참조하십시오.

개업일 : 1937년 8월 5일
폐업일 : 1994년 9월 1일

500px
▲ 협궤철도 당시 송도역[5]

1102784_1012173_0145.jpg
▲ 송도역에 정차한 협궤열차(출처:중부일보)

1937년 8월 5일 수인선의 개통과 더불어 영업을 시작했다. 1973년에 송도-남인천 구간이 운행 중지됨에 따라 수인선의 종착역 역할을 하게 되었고, 1994년 9월 1일에 수인선의 운행 중지와 더불어 폐역되었다. 수인선 폐지 이후에도 남아있던 소래역, 고잔역, 어천역의 역사가 철거되어 현재 수인선에서 유일하게 구역사가 보존되는 곳이다. 재개통된 신역사는 원래 있던 자리가 아닌 곳으로 이설되어 개통했으며, 옛 송도역의 승강장 자리는 지하에서 막 올라온 선로가 관통하고 있다. 협궤철도 수인선에서 유일하게 역사(驛舍)가 남아있으며, 지금은 삼천리자전거의 지점으로 쓰이고 있다.

글씨체로 미루어 보아, 옥마역과 같은 글씨체를 쓰는 듯.
  1. #
  2.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의 핵심 공약이었다.
  3. 관련기사
  4. 어천 연결선 완공시 운행 예정
  5.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