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선수도권 전철 중앙선
경의선용산선경원선중앙선
문산역 ~ 서울역가좌역 ~ 용산역용산역 ~ 청량리역청량리역 ~ 지평역
46.3km(36.14%)7.0km(5.46%)12.7km(9.91%)62.1km(48.48%)


龍山線 / Yongsan Line

용산선
소유자" />?width=100
운영기관 " />?width=100
노선번호2032
노선명경의선 용산선 (京義線 龍山線)
종류지선철도
영업거리7.0㎞
궤간1435㎜
역수6
기점용산역
종점가좌역
전기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신호ATS
개업일1905년 11월 5일
운영노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1 개관

코레일철도 노선. 용산역가좌역을 잇는 노선이다. KDI의 예비 타당성 조사에서는 신경의선이라고 나와 있다. [1]

2 역사

2.1 일제강점기

용산선이 부설될 당시 이 노선은 경의선의 본선이었다. 처음에는 경의선에서 서울역(당시 경성역)과 신촌역으로 가는 노선이 없었기 때문에, 경의선의 열차는 이 선로를 통해 수색역, 능곡역, 일산역, 금촌역, 문산역 등을 지나갔다.[2]

그러나, 경의선에서 서울역신촌역으로 가는 선로[3]가 생기면서 용산선의 존재감은 차츰 약해지기 시작했다. 편리한 서울역이 있는데 괜히 용산역까지 열차가 되돌아 갈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자연히 경의선의 시점은 용산역에서 서울역(당시 경성역)으로 변경되었고, 용산선은 흑역사가 될 했다.

하지만 당인리선경성순환노선(서울 지하철 2호선이 운행되기 전 이 노선이 순환선의 역할을 했다. 서울역에서 출발하여 서강역용산역을 거쳐 다시 서울역으로 되돌아오는 노선)이 운행되면서 용산선은 다행히 흑역사의 마수(?)에서 벗어나 영업을 지속하게 되었다.

해방 직전, 용산선에 있는 원정역, 미생정역, 공덕리역(현재는 공덕역으로 대체되었다.)이 폐역당했는데, 제2차 세계대전 말기의 일본답게 전쟁물자 공출을 위해 역을 뜯어갔다(경의선 서울역 방면에선 서소문역아현리역이 같은 운명에 처해졌다.) 흠좀무.

2.2 미군정기 ~ 대한민국

8.15 광복 이후, 당인리선이 폐선되고 경성순환노선마저 폐선되면서, 용산선은 결국 화물전용노선으로 격하되는 크리를 맞는다. 그래도 효창역미생정역자리에 부활하여 용산역에 들어오는 열차의 회차 담당을 하고, 서강역동막역은 화물전용역으로 보통역의 지위를 받으면서 끝까지 살아남는 했다. 하지만 1972년 동막역마저 폐역당했다. 나중에는 가좌역마저 경의선 서울역 관할로 들어가버려, 용산선은 거의 존재감이 없어졌다.

하지만 경의선에 복선 전철화 계획이 잡히면서 용산선도 부활하게 되었다. 경의선 서울역행 노선을 지선처리하고, 용산선을 경의선 복선 전철의 본선으로 정했다. 경의선 운행 계통의 기점이 1927년 서울역으로 바뀐 뒤 80여년 만에 다시 용산역으로 기점이 바뀐 것.

이후 용산선의 복선 전철화는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 같았지만... 용산구 주민들과 마포구 주민들이 지하화 요구를 하고 나섰다. 그래서 한동안 공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용산구가 지하화 문제로 줄다리기를 하다가 결국 가좌역-효창공원앞역 구간 지하화 확정. 이제 제대로 공사를 하나 싶었는데 공덕역-용산역 구간은 토지 보상 문제로 공사가 더뎠다.

위와 같은 여러 변수 덕분에 원래 2010년 6월에 개통될 예정이었던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공덕역 구간은 공사 지연으로 2012년 12월에야 영업이 시작되었고, 공덕역-용산역의 마지막 구간은 오래 끌던 토지 보상 문제가 해결되어 2014년 12월에 개통하였다. 단, 중간의 효창공원역은 역이 완공되는 2015년까지 무정차 통과한다. 공덕리역은 공덕역으로 부활했고, 홍대입구역을 신설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대비하여 이 선로로 KTX가 다닐 예정이다. 이에 따라 2016년까지 용산선의 고속화 공사가 2015년부터 시행된다. 한국철도시설공단2014년 연말 실시설계 및 고속화공사 발주를 낸 상태이다. 고속화 구간은 수색 ~ 홍대입구 ~ 용산.

3 운행 상의 문제

용산역을 제외한 나머지 역들(효창역~가좌역)은 지하화 크리를 맞는다. 처음에 지상선으로 부활시키려 했을 때 주민들의 님비와 지역의회 의원들의 반대가 매우 극심했기 때문이다. 용산선 지하화하려고 따로 철도공부를 했다는 의회장도 있었다.

서울로 가는 모든 여객 열차는 서울역, 용산역, 청량리역에서 종착한다. 이중 서울역과 용산역 종착 열차는 모두 수색차량사업소로 회송한다. 용산역의 경우 수색기지로 가는 경로는 용산선을 거쳐 가는 것과 서울역을 지나 경의선을 이용하는 것 두 가지가 존재하는데, 2000년대 초반까지는 용산선을 지나는 경로를 택하고 있었다.

그러나 용산선을 지하로 건설하게 되면서 부득이하게 용산역을 발착하는 열차를 경의선을 지나는 경로로 회송하게 되었다. 그런데 서울역-수색역 구간의 경의선은 선로 용량이 포화 상태다. 현재 복선인 철도를 확장하려고 해도 서소문 일대는 빌딩숲이라서, 아현동 일대는 산악 지형이라서, 그리고 나머지 구간은 주택이 밀집해서 확장이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구간에 서울역과 용산역 두개 역을 발착하는 회송 열차를 억지로 집어넣은 것.

여객 열차는 디젤 기관 열차와 전기 기관 열차(각각 디젤 기관차디젤동차, 전기 기관차전기동차), 이렇게 두 가지가 있는데 디젤 기관차는 전기 기관차와는 다르게 운행시 매연이 많이 발생해 지하 구간 운행이 취약하다. 또 기관차는 동차보다 지하 구간 운행에 약하다. 이 때문에 회송 열차가 굳이 서울역 쪽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물론 금정터널이나 솔안터널 같은 곳은 사실상 지하나 다름없는 터널이 15km 이상 이어지지만 디젤 기관차가 잘만 다니기 때문에, 용산선을 지하화해도 디젤 기관차가 운행해도 되기는 하다. 다만, 해당 구간은 지형상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함 등의 이유로 부득이 설치된 구간이니 이쪽과 단순 비교는 어렵다.

하지만 진짜 문제는 지하 용산선에 급구배(경사) 구간이 수두룩해서 일반 열차가 들어가기 힘들다는 것. 열차는 구배에 매우 약하며, 일반적인 궤도를 사용하는 열차의 물리적 구배 한계는 35퍼밀이다. 그런데 용산역-효창공원앞역 구간이 34.5퍼밀이다! 디지털미디어시티역-가좌역 구간도 만만치 않은 게, 지상에서 지하로 내려가는데 홍제천 하부를 통과해야 되어서 선로가 무지하게 깊어졌고 여기도 대략 34퍼밀 정도. 이 정도 구배에서 기관차 편성 열차는 운행이 거의 불가능하고, 동차 정도만 운행이 가능하다. 참고로 영등포구청역-당산역 구간이 35퍼밀, 나한정역-흥전역스위치백이 30퍼밀이고, 여기서 구배가 완화된 솔안터널이 24.5퍼밀. 다만 전시 등 긴급 상황에는 (전기기관차 등으로) 화물 운행이 어떻게든 가능할 것이다.

애초에 용산역 경부선 승강장 쪽에서 효창공원앞역으로 들어가는 노선인 효창선이 철거된 후 복구되지 않아서(...), 용산선을 통한 일반열차 회송이 불가능하다. 효창선은 별도 폐선공지 없이 폐지되었는데 고급 아파트가 세워진 곳에 문평산 건널목을 복원할 수 없으며 지하에서 용산선과 합류해야 하기 때문에 구배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며, 따라서 효창선의 부지는 경의선 공원에 포함되었다.

지하화 공사를 진행한 일대가 연약지반이라고 한다. 무리하게 지하 공사를 하다 보니 가뜩이나 약한 지반이 더 약해져서, 한때는 열차가 서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안정화가 되고난 이후인 2015년 7월 1일부터 본래의 속도를 회복하였다.

그리고 지하화가 완료된 후 지상에 조성된 경의선 숲길 공원은 매일 밤마다 술판이 벌어지고 있다.[1]

4 역 목록

일러두기(여객, 화물취급)
KKTX 필수정차kKTX 선택정차
RSRT 필수정차rSRT 선택정차
IITX-청춘 필수정차iITX-청춘 선택정차
SITX-새마을/새마을호 필수정차sITX-새마을/새마을호 선택정차
M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m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C통근열차 정차B바다열차 정차
OO-train 정차VV-train 정차
NS-train 정차DDMZ-train 정차
AA-train 정차GG-train 정차
H화물취급여객/화물 미취급
일러두기(역 등급)
관리역보통역
배치간이역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신호소


※ 폐역은 현재 선로상에서 폐지된 것만 기재.

역명여객화물등급분기선소재지
0.0용 산龍 山MSK[4]IGH경부선
효창선
경원선
서울특별시 용산구
1.5효창공원앞孝昌公園앞효창선
2.5공 덕孔 德서울특별시 마포구
4.4서강대西江大
5.3홍대입구弘大入口
7.0가 좌加 佐경의선서울특별시 서대문구

4.1 과거 역 일람

역명분기선소재지
0.0용 산龍 山Yongsan경부선
경원선
효창선
서울특별시 용산구
미생정彌生町Yayoichō
1.8효 창孝 昌Hyochang
공덕리孔德里Kōtokuri서울특별시 마포구
동 막東 幕Dongmag
4.4서 강西 江Seogang당인리선
신촌연결선
7.0가 좌加 佐Gajwa경의선서울특별시 서대문구
  1. 정확히는 수색~용산간 9.3km
  2. 경의선은 일제가 대륙으로 나아가기 위해 만든 철도이며, 당시 일본군의 주둔지는 용산이었다. 지형상으로도 크게 기복이 없는 용산선이 터널을 뚫은 현 경의선 본선보다 공사가 더 용이하기도 하고.
  3. 이 연결선로의 서울역 북쪽 구간은 당대의 급곡선 구간, 운전하기 어려운 드리프트 구간으로 이름을 날렸다. 그리고 이 선로가 개통되면서 경부선에서 홀로 떨어지게 된 서대문역도 같이 날라갔다.
  4. 호남·전라·장항선 열차만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