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날검

1 개요

손잡이를 기준으로 좌우로 날이 있는 무기들 중에서 검이나 창을 나타내는 단어. 물론 검이 아니라도 날이 복수이면 여기에 포함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칼과 창 형태의 무기 위주로 서술한다. 흔히 쌍날검으로 불리며, 양날검[1], 양검 등으로 불리고 있다. 사실 쌍날검이라고 부르기도 힘든데, 그 이유는 이런 형태의 무기들은 도검류 보다는 장병기에 가까운 물건이다.

2 분류

달리는 칼날의 모양에 따라 생김새도 천차만별이다. 나무위키에서는 밑의 다섯 종류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1. 손잡이 양쪽 끝에 검 형태의 칼날이 달린 모습. 더욱 에 가까워 보이기도 한다. ex) 스타워즈 등장인물인 다스 몰 무기


2. 손잡이 양쪽 끝에 도 형태의 칼날이 정방향으로 달린 모습. 드물게 작두처럼 생긴 것도 있다. ex)아지노스의 전투검


3. 손잡이 양쪽 끝에 도 형태의 칼날이 역방향으로 달린 모습. 마치 부메랑처럼 날리기도 한다. ex)겔구그의 나기나타


4. 손잡이 한쪽 끝에 두 개의 칼날이 직렬로 달린 모습. 마치 검신의 중앙이 빈 형태를 띄고 있다. ex) 우레폭풍 - 바람추적자의 성검

400px
5. 손잡이 양쪽 끝에 두 개의 칼날이 병렬로 달린 모습. 형태가 마치 클로처럼 생겼으며 주로 2~3개만 달리는 경우가 많다. ex) 칼사냥꾼 쵸우의 연인검


일반적인 모습이라면 좌우에 달린 칼날의 길이가 같지만, 주로 쓰는 날에 비해서 반대쪽 날이 짧은 경우도 있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폼멜 부분에 날을 세운 장검 + 단검의 조합이 되기도 한다.

몇몇은 손잡이를 기준으로 분리되는 기믹이 있어서 쌍검술을 구사하기도 한다. 베요네타 2가면의 현자가 이런 식으로 기술을 사용하며 극중에서 상대가 손잡이를 두동강 내는 바람에 억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아예 손잡이를 늘려서 '쌍날창'으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무기가 짧은 경우에는 쌍수로 들기도 하며, 한손에는 쌍날검을 다른손에는 보통 검을 들기도 한다. 무기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한손으로 사용하면 아예 쌍수를 드는 것도 적지는 않으며, 하나의 쌍날검만을 사용한다면 양손으로 쓰는게 정석이라고 한다. 스타워즈다스 몰을 보면 이해가 빠르다.

주요 활용법은 역시 손잡이를 빙빙돌리는 풍차 돌리기 전법이 있으며, 애초에 사용하기 힘든 물건이라는 설정이 대부분이라서 사용자쯤 되면 찌르건 베건 알아서들 잘한다.

특유의 간지가 흐르는 형상이라서 창작물에서 몇몇 캐릭터가 쓰고 있다. 물론 창작물이니까 가능하지 현실에서는 너무 무겁고, 사용자 본인이 역으로 공격 받게 될 우려가 있어 '쌍날검'의 형태의 병장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자루가 길어 안전한 장대무기의 경우에는 '쌍날'이 드물게 존재한다. 무예도보통지곤방의 양쪽에 짧은 날을 달고 썼다는 기록이 있다.

주로 헐리우드 닌자 캐릭터가 쌍날검 형식의 무기를 자주 사용한다. 일본도처럼 생겼지만 손잡이를 기준으로 칼날이 위아래로 배치할 수 있는 기믹이 있어서 기습적으로 사용한다. 양키 닌자의 특징인 일종의 화려한 비주얼 요소로 보인다.

3 가공의 사용자

  1. 다만 양날검은 칼등이 없고 그 자리에 날이 있는 검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훨씬 더 많으며, 뜻도 점점 그쪽으로 바뀌었다.
  2. 스톰 폼 한정
  3. 쌍둥이 검이라서 연결 기믹이 있다.
  4. 단단하기로 유명한 아다만티움을 쏟아부어서 만드는대도 엄청 깨먹는다.(...)
  5. 일반 공격 시 쌍수로 사용하지만 스매시 공격을 하면 합쳐서 하나로 쓴다.
  6. 대거 키를 발동하여 소환하는 마탄 대거와 합체한 형태. 완구 번외 기믹으로 게키류켄과 갓 게키류켄도 합체 가능하다.
  7. 남자의 몸으로 엄청나게 유연한 움직임을 보이면서 사용한다. 우아함의 극치.
  8. 4편, 7편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