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산

1

1.1 태백산맥에 실존하는 산

대한민국 국립공원
지리산경주계룡산한려해상설악산
속리산한라산내장산가야산덕유산
오대산주왕산태안해안다도해북한산
치악산월악산소백산변산반도월출산
무등산태백산

mt-taebaeksan-09.jpg
태백산 천제단의 모습.

강원도 태백시경상북도 봉화군에 걸쳐 있는 산. 태백시 일대 17.440km2도립공원으로 지정돼있으나 2016년 4월 1일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에서 태백산 국립공원 지정안이 확정되면서 동년 8월 22일부터 영월, 정선, 삼척, 봉화 방면으로 확장, 총 면적 70.052km2의 대한민국의 22번째 국립공원이 된다. 주봉인 장군봉은 해발 1,566.7m. 태백산맥에서 소백산맥이 갈라져 나오는 지역에 위치한다. 아래 단군신화에 나오는 산은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이름이 같아서 그런지 정상 부근에 단군성전을 짓고(1987년), 천제단을 개수하여[1] 매년 단군에 제사를 지내는 의식을 치른다. 본래 이곳에는 태백천왕당(태백신사[2])이 있었으나 지금은 천제단만 남아 있으며,천제단 외에도 장군단, 부소단(다른 이름은 구을단)이 있지만 크기도 작고 천제단보다 비교적 덜 알려져 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신라시대의 오악 중 북악을 담당했으며, 신라 왕실의 제사의 대상이 되었다.

해발 1470m 지점에 위치한 망경사는 대한민국(북한 제외)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사찰이다. 봉화군 쪽에는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는 사고 중 하나가 있었다. 늦봄과 초여름에 걸쳐 철쭉이 아름답게 피어 철쭉제가 열리고 겨울철 설경이 아름다워 눈축제가 열린다.

등산로는 북쪽 태백시 쪽의 접근성이 훨씬 좋아서 태백시 쪽으로 오가는 등산객이 많다. 해발 1566.7m의 꽤 높은 산이지만, 오르기 쉬운 산으로 알려져 있다. 태백시 중심가가 해발 700m 이상의 고지대에 위치하며, 등산로 출발점은 해발 800m 이상 지점에 있어서, 정상이 1566.7m라 해도, 저지대에서 출발하는 것과 비교하면 해발 700m 정도만 오르면 되는 높이가 되는데다가, 산세도 그리 험하지 않기 때문에 오르기 쉬운 것이다. 서울에서 북한산이나 관악산 오르는 것보다 쉬운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태백시에서는 학생들의 소풍 장소로도 이용된다. 태백시에서는 학교 소풍을 해발 1566.7m의 산으로 가는 것. 태백산이 얼마나 오르기 쉬운 산인지 알 수 있다.

2016년 4월 15일 2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1.2 단군신화에 나오는 산

단군신화에 나오는 산. 환웅이 무리 3천을 이끌고 태백산(太白山) 꼭대기 신단수(神壇樹) 나무 밑에 내려와 신시를 열었다고 하여 나오는 산이다. 대중 사이에선 민족의 영산 백두산을 태백산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삼국유사에서는 이 태백산은 묘향산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보았다. 한편 평양 근처 대박산(大朴山)을 태백산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승정원일기에 나오는 태백산도 이 대박산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곳에 원래 단군릉이 있기는 했는데, 북한에서는 이 곳에 단군의 뼈가 있다고 하여 단군릉을 크게 다시 세웠다.

2 피구왕 통키의 등장인물

태백산(피구왕 통키) 문서 참조.
  1. 천제단 자체는 예전부터 있었다. 다만 1953년 조사당시 제단이 많이 흐트러져 있었으며, 이후 제단은 정비되었는데 현재 축대에 '천제단 대종교태백지사근제(天祭壇 大倧敎太白支司謹製)'라 씌여 있고, 제단 위에 한배검이라 씌어진 비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대종교가 수리에 관련된 것 같다.(한배검은 대종교에서 쓰는 말이다. 고문헌에는 안나온다.)
  2. 일본의 신사와 한자는 같지만, 일본 신토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다른 이름으로는 태백산사, 태백사, 천왕당이 있다. 근대 이후에는 일각에서는 마고탑이라고도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