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KBO 리그
- 같이 보기: KBO 리그 골든글러브 역대 수상자,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 역대 KBO 리그 MVP
1 개요
KBO 리그 신인왕은 한국프로야구 해당 시즌에 참가한 신인 선수들 중에서 최고의 활약을 한 신인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2 수상 조건
최우수 신인이란 해당연도의 선수권대회에서 신인선수로 출장하여 기능 ·정신 양면이 가장 우수하여 타의 모범이 되는 선수를 말한다. 또한 신인선수란 한국야구위원회 회원구단의 선수로서 다음과 같은 누계 출장 수를 초과하지 않은 자에 한한다. 5년 이내(이하 당해 년도 제외),[1] 투수는 30회 이내, 타자는 60타석 이내.
단, '외국 프로야구 기구에 소속되었던 선수는 신인선수에서 제외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3 역대 수상자
- KBO 리그 원년인 1982년에는 신인왕을 시상하지 않았다.
- 빨간 글씨는 그 선수가 당해 해당 부문에서 1위를 기록했음을 뜻한다.
연도 | 이름 | 소속팀 | 성적 | 비고 |
1983 | 박종훈 | OB 베어스 | 117안타 3홈런 7도루 24타점 53득점(4위) 타율 0.312(4위), 장타율 0.419, 출루율 0.380 3루타 6개 | 신인왕&골든글러브 |
1984 | 윤석환 | 51경기 4선발 146이닝 12승 8패 25세이브 35세이브포인트 111탈삼진, 평균자책점 2.84 | - | |
1985 | 이순철 | 해태 타이거즈 | 112안타 12홈런 31도루(3위) 50타점 67득점 타율 0.304, 장타율 0.477, 출루율 .367 3루타 5개(3위) | 신인왕&골든글러브[2] |
1986 | 김건우 | MBC 청룡 | 37경기 29선발 229⅓이닝(5위) 9완투 2완봉승 18승(4위) 6패 102탈삼진, 평균자책점 1.81(5위) | - |
1987 | 이정훈 | 빙그레 이글스 | 124안타 4홈런 20도루 34타점 56득점 타율 0.335(3위), 장타율 0.441, 출루율 0.405 3루타 7개(2위) 10사구 | - |
1988 | 이용철 | MBC 청룡 | 29경기 19선발 144⅔이닝 6완투 7승 11패 46탈삼진, 평균자책점 2.74(5위) | - |
1989 | 박정현 | 태평양 돌핀스 | 38경기(5위) 25선발 242⅔이닝(2위) 17완투(2위) 4완봉승(2위) 19승(2위) 10패 2세이브 116탈삼진(5위), 평균자책점 2.15(2위), 승률 0.655(5위) | 2년차 |
1990 | 김동수 | LG 트윈스 | 102안타 13홈런 13도루 62타점 46득점 타율 0.290, 장타율 0.460, 출루율 0.379 10사구(3위) | 신인왕&골든글러브 |
1991 | 조규제 | 쌍방울 레이더스 | 49경기(2위) 4선발 142⅓이닝 9승 7패 27세이브 34세이브포인트 133탈삼진(5위), 평균자책점 1.64(2위) | - |
1992 | 염종석 | 롯데 자이언츠 | 35경기 22선발 204⅔이닝(4위) 13완투(3위) 2완봉승(4위) 17승(3위) 9패 6세이브 127탈삼진, 평균자책점 2.33, 승률 0.654 | 신인왕&골든글러브 |
1993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130안타(5위) 23홈런(2위) 4도루 90타점(2위) 82득점(2위) 타율 0.341, 장타율 0.598, 출루율 0.436 2루타 27개(3위) 3루타 5개(5위) 61볼넷(4위) | 유일무이 타격 3관왕&신인왕 |
1994 | 유지현 | LG 트윈스 | 147안타(3위) 15홈런 51도루(2위) 51타점 109득점(2위) 타율 0.305, 장타율 0.440, 출루율 0.391(4위) 64볼넷(2위) | - |
1995 | 이동수 | 삼성 라이온즈 | 121안타 22홈런(2위) 2도루 81타점(4위) 70득점 타율 0.288, 장타율 .500, 출루율 0.368 20사구(2위) | 4년차 |
1996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142안타(5위) 30홈런 36도루(4위) 108타점 75득점(4위) 타율 0.295, 장타율 0.559(3위), 출루율 0.369 2루타 29개(5위) | 2관왕&신인왕&골든글러브 최초 30-30 클럽 가입자 |
1997 | 이병규 | LG 트윈스 | 151안타(3위) 7홈런 23도루 69타점 82득점 타율 0.305, 장타율 0.442, 출루율 0.370 2루타 31개(4위) 3루타 8개(2위) | 신인왕&골든글러브 |
1998 | 김수경 | 현대 유니콘스 | 32경기 20선발 160이닝 12승 4패 2세이브 168탈삼진(3위), 평균자책점 2.76, 승률 0.750 | - |
1999 | 홍성흔 | 두산 베어스 | 91안타 16홈런 3도루 63타점 47득점 타율 0.258, 장타율 0.439, 출루율 0.304 | - |
2000 | 이승호 | SK 와이번스 | 42경기 16선발 139⅔이닝 10승 12패 9세이브 132탈삼진, 평균자책점 4.51, 승률 0.455 | - |
2001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82안타 20홈런 2도루 54타점 51득점 타율 0.335, 장타율 0.649, 출루율 0.436 | 최초 규정타석 미달 신인왕 |
2002 | 조용준 | 현대 유니콘스[3] | 64경기 0선발 109이닝 9승 5패 4홀드 28세이브(2위) 37세이브포인트 116탈삼진, 평균자책점 1.90 | 최초 규정이닝 미달 신인왕 최초의 선발 등판이 전무한 투수 신인왕 |
2003 | 이동학 | 27경기 11선발 77⅓이닝 8승 3패 41탈삼진, 평균자책점 5.35 | 4년차 규정이닝 미달 | |
2004 | 오재영 | 30경기 25선발 149이닝 1완투(5위) 10승 9패 113탈삼진, 평균자책점 3.99, 승률 0.526 | - | |
2005 | 오승환 | 삼성 라이온즈 | 61경기 0선발 99이닝 10승 1패 11홀드 16세이브 115탈삼진(5위), 평균자책점 1.18, 승률 0.909 | 유일무이 신인왕&한국시리즈 MVP 동시 수상 규정이닝 미달 유일무이 단일 시즌 두 자릿수 승&홀드&세이브 동시 기록 |
2006 | 류현진 | 한화 이글스 | 30경기 28선발 201⅔이닝(2위) 6완투 1완봉승(3위) 18승 6패 1세이브 204탈삼진, 평균자책점 2.23, 승률 0.750(2위) | 유일무이 트리플 크라운&MVP&신인왕&골든글러브 동시 석권 |
2007 | 임태훈 | 두산 베어스 | 64경기 0선발 101⅓이닝 7승 3패 20홀드(2위) 1세이브 93탈삼진, 평균자책점 2.40 | 규정이닝 미달 [4] |
2008 | 최형우 | 삼성 라이온즈 | 106안타 19홈런(5위) 3도루 71타점 68득점 타율 0.276, 장타율 0.487, 출루율 0.364 | 7년차[5] 역대 최고령 신인왕 |
2009 | 이용찬 | 두산 베어스 | 51경기 0선발 40⅔이닝 2패 26세이브 34탈삼진, 평균자책점 4.20 | 3년차 규정이닝 미달 |
2010 | 양의지 | 100안타 20홈런 4도루 68타점 48득점 타율 0.267, 장타율 0.471, 출루율 0.348 | 5년차 | |
2011 | 배영섭 | 삼성 라이온즈 | 100안타 2홈런 33도루(3위) 24타점 51득점 타율 0.294, 장타율 0.356, 출루율 0.346 | 3년차 규정타석 미달 |
2012 | 서건창 | 넥센 히어로즈 | 115안타 1홈런 39도루(2위) 40타점 70득점 타율 0.266, 장타율 0.367, 출루율 0.342 3루타 10개 | 5년차 신인왕&골든글러브 |
2013 | 이재학 | NC 다이노스 | 27경기 24선발 156이닝 2완투(2위) 1완봉승 10승 5패 1세이브 144탈삼진(5위), 평균자책점 2.88(2위), 승률 0.667 | 4년차 |
2014 | 박민우 | 124안타 1홈런 50도루(2위) 40타점 87득점 타율 0.298, 장타율 0.399, 출루율 0.392 3루타 9개(2위) | 3년차 | |
2015 | 구자욱 | 삼성 라이온즈 | 143안타 11홈런 17도루 57타점 97득점 타율 0.349(3위), 장타율 0.534, 출루율 0.417 | 4년차 |
4 팀 별 신인왕 배출 현황
- 두산 베어스(OB 포함), 삼성 라이온즈, 현대 유니콘스(해체, 삼미, 청보, 태평양 포함): 6
- LG 트윈스(MBC 포함): 5
- 한화 이글스(빙그레 포함): 3
- NC 다이노스: 2
- 넥센 히어로즈, 롯데 자이언츠, 쌍방울 레이더스(해체), KIA 타이거즈(해태 포함-KIA로 바뀐 후는 없음), SK 와이번스: 1
- kt wiz: 0
- ↑ 프로 입단 6년차까지의 선수를 뜻한다.
- ↑ 프로 첫 해에는 3루수로 출장하였다.
- ↑ KBO에서 유일하게 한 팀에서 3년 연속으로 신인왕을 배출했다.
- ↑ 2015년 현재까지 마지막 프로 1년차(순수) 신인왕 겸 마지막 고졸 1년차 신인왕이다. 임태훈 이후로 한국프로야구에서는 2015년 현재까지 고졸 1년차 신인이 신인왕을 수상하기는커녕 대졸 1년차조차도 신인왕을 수상하지 못했다. 그뿐만 아니라 고졸이건 대졸이건 1년차 신인이 첫 시즌을 1군 풀 타임으로 뛰는 모습도 보기가 힘들어졌다.
- ↑ 이 당시 신인선수의 기준이 군 복무 기간을 제외한 6년차 선수까지였기 때문에 7년차인 최형우가 신인왕을 수상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