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글 기본 자모 | |
자음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
모음 |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현대 한글 겹자모 | |
자음 | ㄲ · ㄳ · ㄵ · ㄶ · ㄸ · ㄺ · ㄻ · ㄼ · ㄽ · ㄾ · ㄿ · ㅀ · ㅃ · ㅄ · ㅆ · ㅉ |
모음 | ㅐ · ㅒ · ㅔ · ㅖ · ㅘ · ㅙ · ㅚ · ㅝ · ㅞ · ㅟ · ㅢ |
현대 한국어 겹받침 중 하나.
쓰이는 단어로는 (동사) 밟다, (형용사) 떫다, 엷다, 넓다, 얇다, 짧다, (수사/관형사) 여덟이 있다.
ㄿ, ㄽ, ㄾ, ㅀ과 마찬가지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의 발음은 /ㄹ/이다. /ㅂ/이 아니다! 따라서 위의 예시의 발음들은 /떨따/, /열따/, /널따/, /짤따/, /여덜/이 된다. 자음 앞/어말에서 뒤 자음으로 소리가 나는 ㄺ, ㄻ이 특이한 예. 또한 위의 발음에서도 알 수 있듯이 ㄼ은 ㄾ과 마찬가지로 뒷자음을 된소리로 만든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이어지면 평범하게 /ㄹ/ 뒤에 /ㅂ/ 소리가 이어진다.
단, '밟다'는 예외다. '밟다'는 자음 앞에서 /ㅂ/ 소리가 나서 /밥따/라고 발음해야 맞는다. 그런데 사람들은 가끔 ㄼ을 다 발음하여 '~rp' 라고 발음하기도 한다. ㄺ,ㄻ처럼 말아다.
명사나 동사에서는 보기 드문 겹받침이지만 형용사에서는 꽤 많다. 그런데 형용사에 -다랗다, -직하다 접미사가 붙은 경우에는 ㄼ으로 적지 않고 ㄹ로 적으니 주의해야 한다. '널따랗다', '널찍하다', '얄따랗다', '얄찍하다', '짤따랗다'가 옳은 표기이다. ㄼ로 적을 땐 굳이 표기하지 않던 뒷자음의 된소리도 적어줘야 하는 건 덤. 그 외에도 '짤막하다' 등도 '짧다'에서 유래한 듯하지만 '짤막하다'가 맞다. 넙치도 넓어서 넙치인 듯하지만 넙치라고 적고... 그런 것들만 빼면 넓죽하다, 넓적다리 등은 ㄼ으로 적는 게 맞는다. '넓직하다'는 틀리고 '넓죽하다'는 맞다니... 북한에서는 -다랗다의 경우 ㄼ으로 적어주지만 -직하다는 ㄹ로 적는다. 이래저래 사람을 헷갈리게 만드는 겹받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