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글 기본 자모 | |
자음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
모음 |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현대 한글 겹자모 | |
자음 | ㄲ · ㄳ · ㄵ · ㄶ · ㄸ · ㄺ · ㄻ · ㄼ · ㄽ · ㄾ · ㄿ · ㅀ · ㅃ · ㅄ · ㅆ · ㅉ |
모음 | ㅐ · ㅒ · ㅔ · ㅖ · ㅘ · ㅙ · ㅚ · ㅝ · ㅞ · ㅟ · ㅢ |
1 개요
현대 한국어 겹받침 중 하나.
27
쓰이는 단어로는 갉다, 굵다, 긁다, 얽다, 맑다, 밝다, 낡다, 늙다, 묽다, 붉다, 읽다, 까닭, 닭, 삵, 칡, 흙, 뷁, 핡핡, 뀱 등이 있다. 겹받침 중에서는 제일 선전하는 편으로 쓰이는 일이 상당히 많다.
발음은 뒤에 아무 것도 없거나 자음이 올 때 /ㄱ/으로 발음하고, 모음이 올 때 /ㄹㄱ/으로 발음된다. 앞서 말했듯이 꽤 자주 쓰이는 겹받침이라서 어렸을 때 제일 처음으로 겪게 되는 겹받침 발음이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나 '흙' 같은 건 한글 배우면서 거의 바로 배우는 단어니까. '흙'은 /흑/인데 '흙을'은 /흘글/인 게 꽤 생소하게 느껴졌을 수도 있을 듯.
단, 용언(동사, 형용사)의 경우 뒤에 ㄱ이 따라 붙으면 ㄹ 받침으로 발음한 후 ㄲ 소리로 잇는다. '맑게'는 /막께/가 아니라 /말께/가 되는 것. 체언에는 해당되지 않으므로 '닭과'가 /달꽈/가 되지는 않는다.
간혹 가다가 모음이 따라붙지 않더라도 /ㄹㄱ/ 발음을 합쳐서 rk와 같이 하는 사람들이 있다. '맑다'의 표준 발음은 /막따/이지만, 간혹 /mark따/와 같이 발음하는 걸 들을 수 있다. 마르크스를 간혹 '맑스'라고 적는 것도 이런 발음을 반영한 것이다. 만약 ㄺ가 어느 자리에서나 rk로 발음이 된다면 '맑스'라고 적는 것이 합당하겠지만 표준 발음이 아니므로 마르크스가 옳다. break을 '뷁'이라고 적는 게 유행했던 것도 ㄺ을 rk로 발음한 것에서 착안한 것. 이 역시 표준 발음은 /붹/이라서 이런 발음이면 break과 별로 발음이 비슷하지 않다. 해당 서술은 뷁 항목에도 쓰여 있으니 참조.
반대로 아예 ㄱ으로만 발음을 하는 것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닭을 먹자'를 /달글 먹짜/가 아니라 /다글 먹짜/라고 발음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주로 '흙'이나 '닭' 같은 체언에서 이런 일이 자주 벌어지고, '읽은' 등과 같은 용언을 /이근/이라고 발음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아무래도 체언은 단독으로 활용할 때가 많아 ㄱ 받침으로만 발음할 때가 많지만, 용언은 주로 모음과 붙어서 ㄹ+ㄱ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2 역사
현재 ㄺ 받침이 쓰이는 단어들의 옛 형태는 다음과 같다. (표준국어대사전)
옛 형태 | 문헌 | 용례 | |
갉다 | 갈ㄱ | 구급방언해(1466) | |
굵다 | 굴ㄱ | 석보상절(1446) | 杵는 바ᇰ핫괴니 굴근 막다히 ᄀᆞᄐᆞᆫ 거시라 |
긁다 | 글ㄱ | 석보상절 | |
얽다 | 얼ㄱ | 석보상절 | 叢林ᄋᆞᆫ 얼근 수프리라 |
맑다 | ᄆᆞᆯㄱ | 석보상절 | |
밝다 | ᄇᆞᆯㄱ | 용비어천가(1447) | 업던 번게를 하ᄂᆞᆯ히 ᄇᆞᆯ기시니 누니 도로 ᄇᆞᆰ거늘 길흘 ᄎᆞ자(석보상절, 겹받침 사례) |
낡다 | ᄂᆞᆯㄱ | 월인천강지곡 | ᄂᆞᆯᄀᆞᆫ 옷 니버 시름 ᄀᆞ자ᇰ ᄒᆞ니 |
늙다 | 늘ㄱ | 석보상절 | 늘그니 病ᄒᆞ니 주근 사ᄅᆞᆷ 보시고 |
묽다 | 믈ㄱ | 벽온신방(1653) | |
붉다 | 블ㄱ | 용비어천가 | 블근〮 새〯 그〮를〮 므러〮 |
읽다 | 닐ㄱ | 석보상절 | 一心ᄋᆞ로 드러 닐그며 외와 |
까닭 | |||
닭 | ᄃᆞᆯㄱ | 월인석보 | |
啄/達 | 계림유사 | ||
삵 | ᄉᆞᆯㄱ | 구급방언해 | |
칡 | 츩 | 두시- 초(1481) | (~18세기에도 '츩'으로 쓰임) 萬壽山드렁츩이얼거진들긔엇더ᄒᆞ료(하여가) |
흙 | ᄒᆞᆯㄱ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
轄希[흘기][1] | 계림유사(1103) | 土曰轄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