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현대 한글 겹자모
자음 · ·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

1 개요

현대 한국어의 겹자음 중 하나. , 와 함께 초성에서만 쓰이며 받침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발음은 무성 치경 긴장 파열음으로, IPA로는 [t˭]이다.

북한에서 조선어 신철자법을 시행할 때는 '띠으ퟍ(으+ㄸ)'이라고 쓰기도 했으나 이 철자법은 널리 쓰이지도 않았고 무엇보다 주동했던 김두봉의 숙청으로 얼마 못가 폐기되었다. 현재는 '된디읃'이라고 한다.

중세 국어 시절에는 ㄸ 보다 ㅼ를 사용한 듯 하다.

... ᄯᆞᄅᆞ미니라

... 름이니라

...이런 식으로.[1]

'-뜨리다' 꼴의 경우, '-트리다'와 복수 표준어 쌍을 이루고 있다. 빠뜨리다/빠트리다, 떨어뜨리다/떨어트리다 둘 다 맞는 표현.

2 외래어에서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예삿소리/된소리/거센소리의 구분이 없는 언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에는 쌍자음을 쓰지 않기 때문에, ㄲ, ㅃ, , ㅉ와 함께 외래어 표기에서는 자주 쓰이지 않는다. 외래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 ㄸ가 쓰이는 언어들은 태국어베트남어, 미얀마어뿐이다. 한글로 표기할 때 쌍자음을 쓰는 다른 두 언어 중국어일본어에서는 각각 ㅆ, ㅉ / ㅆ만 쓰고 ㄲ, ㄸ, ㅃ는 쓰지 않기 때문.

태국어 ต(무성치경파열음): ต้มยำ กุ้ง 똠양꿍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모음 앞 t(무성치경파열음): Tây Sơn 떠이선 왕조(西山朝)

2.1 잘못 표기된 경우

표준 표기는 아니지만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에서 t 발음을 적는 데 ㅌ 말고 ㄸ로 잘못 쓰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어린 왕자를 쓴 작가는 흔히 '생떽쥐베리'로 발음하지만 맞는 표기는 '생텍쥐페리'이다. 흔히 '또띠야'나 '또르띠야'라고 부르는 것도 '토르티야'가 맞는 표기이다. 그러나, Cartier처럼 그런 거 무시하고 '까르띠에'를 공식 표기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2]

일본어에서도 유사한 경우가 있는데, 흔히 '낫또' 라고 부르는 콩 발효 음식의 맞는 표기는 낫토이다.
  1. 훈민정음 서문에 있는 부분을 발췌했다.
  2. 이 경우는 와 마찬가지로 고유명사 처리되어 허용되는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