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글 기본 자모 | |
자음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
모음 |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현대 한글 겹자모 | |
자음 | ㄲ · ㄳ · ㄵ · ㄶ · ㄸ · ㄺ · ㄻ · ㄼ · ㄽ · ㄾ · ㄿ · ㅀ · ㅃ · ㅄ · ㅆ · ㅉ |
모음 | ㅐ · ㅒ · ㅔ · ㅖ · ㅘ · ㅙ · ㅚ · ㅝ · ㅞ · ㅟ · ㅢ |
1 설명
전설 원순 중고모음이며, IPA로는 [ø]라고 표기한다. 발음할 때는 입술을 'ㅗ'모양으로 하고 'ㅣ'를 발음해 주면 된다(듣기). 국어 시간에 ㅚ가 원래 단모음이라는 건 가르쳐주는데 대체 어떻게 발음하는 단모음인지 안 가르쳐줘서 발음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제 ㅐ와 ㅔ의 구분마저도 붕괴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글자 그대로 ㅗㅣ를 빠르게 말하는 발음, 즉 [oj]였으나 중세국어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뒤 [j]의 전설성에 힘입어 전설모음화가 일어나 후설 모음 [o]와 동일한 혀 높이의 중모음이면서 전설 모음인 [ø]가 되었다. 이후 근대를 거쳐 we 발음이 대중적이게 되었다.
1.1 ㅚ 발음의 예외
표준 발음법에 따르면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도 발음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즉 표준 발음은 단모음이 원칙이되,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허용한다. 실제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 ㅚ가 들어가는 단어들의 발음을 보면 ㅚ/ㅞ가 병기돼 있다.
- 예: 되다 [되-/뒈-]
1.2 문화어
북한 문화어에서는 ㅚ를 단모음으로만 발음한다. 대신 이미 발음이 변한 단어의 ㅚ는 ㅞ로 모두 고쳤다. 그래서 북한에서는 '외치다'가 아니라 '웨치다'이다. 웨쳐! EE
1.3 외래어에서
IPA로는 한국어의 '외'와 동일한 [ø]와 함께, [œ] 역시 '외'로 적게 되어 있다. [ø]는 중고모음, [œ]는 중저모음으로 각각 [e](한글로는 ㅔ)와 [ɛ](한글로는 ㅐ)의 원순모음들이다. 전자는 독일어(ö)나 스웨덴어 등에서, 후자는 프랑스어(un)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독일어의 ö 역시 [œ]를 나타낼 때도 있다.
일본어나 중국어에는 비슷한 발음이 없어서 이들을 표기할 때는 쓰이지 않는다.
여담으로 일본 가나에서는 [ø]는 え행으로, [œ]는 あ행으로 옮기기 때문에 한글 표기와는 꽤 양상이 다르다. 그 때문에 일본을 통해 유럽어들이 많이 전달되던 때에는 [ø]가 일본어를 거쳐 ㅔ로 바뀌어버리는 일도 많았다. '쇠렌 키르케고르'가 '세렌 키르케고르'라고 검색해도 상당히 많이 나오는 것은 이 때문.
2 도인#s-4의 앨범명
도인의 펌프 잇 업 2011 FIESTA EX 수록곡 모음이다.- ↑ 노래들 제목과 어떤 피쳐링한 사람의 이름 때문에 각 음원사이트 해당 앨범 리뷰, 댓글란에 ㅋㅋ로 도배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