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경산시 시내버스
경산시 간선버스 | |||||||||||
100 | 100-1 | 109 | 399 | 509† | 708† | 803 | 809 | ||||
814† | 818 | 840† | 911 | 918 | 939† | 990 | 991 | ||||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공동 배차를 하는 노선 |
1 노선 정보
경산시 시내버스 818번 | |||||
기점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대구대학교 정문)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금락리(하양시외버스터미널)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황제리(황제아파트)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선화리(윤성타운아파트)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양기리(초원장미타운아파트)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신상리(진량우체국)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북리(삼주봉황4차아파트) | 종점 |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4동(동부정류장)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소월리(소월)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음양리(시경계)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화성리(신녕버스정류장) | ||
종점행 | 첫차 | 05:25 | 기점행 | 첫차 | 06:20 |
막차 | 21:35 | 막차 | 23:08 | ||
평일배차 | 9분 | 주말배차 | 12분 | ||
운수사명 | 대화교통 | 인가대수 | 22대 | ||
노선 | 진량황제아파트 - 대구대 - 하양 - 안심역 - 용계역 - 방촌시장 - 동구청 - 동대구역 → 고속터미널 → 동구시장 → 동부정류장 → 상공회의소 → 동대구역 --- 이하역순 |
2 개요
대구대학교 학생들의 빛과 소금
대구 시내버스도 시도하지 않는 야간 구원투수[1]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 대구대학교 정문 및 진량읍 황제리(8)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4동 동대구역(1)을 거쳐 다시 대구대학교 및 황제리(8)로 순환 운행하는 대화교통 소속의 경산시 간선버스.[2] 1998년 대구 시내버스 1차 개편 당시 순수 경산 시내버스임에도 유일하게 대구시 형식의 번호 개편안을 따랐고 안내 책자에도 등장했으며, 또한 낚시성 번호라는 특징으로 인해 엄연히 가상 번호이긴 하지만 대구 버스 818 리다이렉트도 가능하다.
평일
주말/공휴일
방학기간
파일:Attachment/818.png
3 역사
대화교통의 주력 노선. 1998년 개편 전에는 15번이었고 1998년 개편 때 818번으로 변경한 노선이다. 특징은 경산시 시내버스 중에서 첫차가 가장 빠르고 막차가 가장 늦게까지 있다.[3] 경산버스 100번은 저리가라다 또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업체와 공동 배차하지 않는 순수 경산시 면허로는 최다 인가댓수를 자랑하는 노선이기도 하다. 따라서 경산시의 노선 중 상대적으로 빗자루질한다. 대구광역시 면허 노선이 아니지만 1998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번호체계 개편 때 시내버스 개편 안내 책자에 818번이 올라와 해프닝을 빚었다.
여담으로 2004년 5월 25일 대구 시내버스의 대 파업 때 818번의 다수 차량이 814번, 814-1번에 지원 투입된 적이 있다.[4]
원래부터 대구대학교와 황제리의 진량창신황제타운를 각각 10분, 18분으로 1/2 분리 운행했었다. 그런데 2013년 4월 27일 개편으로 이 분리 종착 운행 구간이 대구대학교 종점을 경유하여 진량창신황제타운 종착으로 통합되면서 1대 증차되었다. 즉, 분리 구간이 진량창신황제타운로 통합된 것이 아니라 진량창신황제타운은 기종점이 되고, 대구대학교는 840번처럼 U턴하는 경유지로 변경된 것이다.
하지만 진량창신황제타운을 배차간격 9분에 풀 타임으로 운행하던 게 공기수송, 회차지 공간 부족으로 인해 무리가 컸다. 게다가 가스차량 의무투입 노선이 아니라서 디젤차가 대다수인지라, 소음 및 매연으로 인한 민원 때문에 2014년 3월 3일 개편으로 다시 황제아파트와 대구대학교를 1/2씩 분리 운행하는 것으로 환원되었다. 공통 구간 배차간격은 9분이지만 이번에는 각각 11대씩 1/2 분리 운행하기 때문에 분리 구간 배차간격은 18분이다. 단, 다이어에도 나와 있듯이 아침 5시 25분 첫차는 황제리에서 출발하며, 대구대학교에서 아침에 중간 출발하는 차량은 없다. 평일 밤 8시 이후에는 모두 황제리 착발로 운행하며 주말휴일 및 방학 다이어에는 대부분이 황제리 착발로 운행한다.
4 특징
대구대학교 학생들에겐 정말로 없어서는 안 될, 빛과 소금같은 노선 중 하나이다. 밤 11시가 넘어서도 대구대학교 안쪽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노선[5]이고 막차는 대구대에서 밤 12시 5분에 종료다 보니, 늦은 시각까지 하양에서 놀다가 들어가거나 밤 11시 넘어서 하양역에 도착하는 열차[6]에서 내린 대구대학교 학생들에게는 그야 말로 빛과 소금인 노선이다. 대구 및 대구 주변에서 이렇게 준 심야운행을 하는 노선은 아예 없다.
대화교통의 주력 노선답게 신차 투입도 굉장히 활발한 편이다. 신형인 NEW BS106과 2015년 이후부터 뽑고 있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차량에서부터 다 썩어 가는(...) 구형 로얄시티까지 다양한 차량들이 투입된다. 다른 대구 면허 중복 노선과는 달리 신차도 대부분이 디젤 차량으로 구성되어 있다.[7] 가스차량도 이 노선에 투입되었으나 이후 다른 노선으로 트레이드되고 2016년 9월 현재에는 전 차량이 디젤차량이다. 그리고 이 노선은 디젤차량의 엄청난 출력과 대화교통 특유의 과속이 합쳐지면서 운행 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일반 승용차나 대구 시내버스 추월은 기본이며 심지어는 급행 노선인 급행5번을 추월하기까지도 한다. 오죽하면 바로 옆 대구선을 달리는 RDC를 추월한다는 것도 농담으로 들리지 않을 정도다. 무슨 마약하시길래 급행, 아니 기차보다 빠르게 운행할 생각을 했어요? 그리고 여담으로 영천교통 55번과 555번이랑 광란의 레이싱을 펼친다 카더라. 사실 이거는 숙천동/청천리(시경계) ~ 부호리 사이에서 구간 수요가 굉장히 적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생기는 것이다.
야간 다이어를 보면 비고란에 "북리 운행"이라고 있다. 이 시간대에는 봉회삼거리를 경유하지 않고 삼주봉황타운 뒷길로 나간다.
여담으로 이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에는 안심역 열차 도착 시간표가 부착되어 있다. 이는 그 시간대에 딱 맞춰서 나오는 안심역 환승객들을 쓸어담기 위한 것. 실제로 안심역 4번 출구로 나오면 딱 맞춰서 버스가 오거나, 혹은 먼저 와서 대기하는 경우도 있다.
안타깝게도 이 노선에 저상버스는 볼 수 없다. 차량 소모를 이유로, 대화교통에서 818번에 저상버스를 투입하지 않는다고 한다. 사실 황제리도 진량산단에서 남쪽으로 넘어가야 있고, 거기에 삼주봉황아파트도 중간에 들어갔다가 봉회삼거리 혹은 북리로 나온다. 하양-와촌1번의 지원운행을 뛰게 되면 오지로 날아가야 하니, 저상버스가 투입될 여지가 애초부터 없는 노선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대화교통이 진량2번 초원아파트행에 고정 투입하는 것을 시작으로 저상버스를 도입한 것이다.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동대구역, 큰고개역, 아양교역, 동촌역, 해안역, 방촌역, 용계역, 안심역
- 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하양역(무궁화호)
- ↑ 경산 시내버스 노선 안내에 있는 다이어를 참고할 것.
밤 11시 30분 리밋? 그런 거 없다 - ↑ 저 번호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번호로 매기는 거다.
- ↑ 첫차, 막차의 경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보다 5~10분 더 빠르고 더 늦게 끊긴다! 황제아파트에서 출발하는 첫차는 5시 25분 출발이며, 안심역에서 하양/대구대에 들어가는 막차 시간이 23시 45분이다. 대구대학교 종착 시간이 밤 12시 5분으로 대구 및 경산 버스 중에 가장 늦게까지 운행한다.
- ↑ 814-1번에 링크가 걸린 이유는 현재의 통합 814번이 당시 814-1번의 코스이기 때문이다.
- ↑ 대구대학교 안으로 들어가는 대구 면허 버스들은 막차가 대구은행 하양지점이나 하양초등학교 앞에서 운행을 종료하고 각자 차고지나 용천리CNG충전소로 가 버린다. 이 막차들의 전면 LED를 보면 하양 대구은행까지 운행 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 ↑
강릉정동진 ~ 동대구 구간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1673근성열차인데강릉역정동진 기준으로 17시 38분에 출발해서 하양역에 운행 지연없이 도착하면 23시 12분쯤 된다. 이 열차는 대구 시내버스가 운행을 일괄적으로 모두 끊어 버리는 23시 30분에 운행 종료.따라서 얄짤없이 택시현재 강릉역이 임시 폐쇄 후 공사 중이라 취소선은 임시로 친 것. - ↑ 경산시는 천연가스버스가 의무화된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디젤차량을 구입하든 천연가스 차량을 구입하든 업체의 자유다. 다만, 대구 업체와 공동 배차하는 노선은 대구시청의 요구에 따라 의무적으로 가스차량만 투입해야 한다. 경산버스가 이거를 무시했다가 대구시청에 딱 걸린 일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