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 시내버스

대구권 대중교통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철도대구 도시철도대구권 광역철도
버스대구 시내버스경산 시내버스구미 시내버스영천 시내버스김천 시내버스
칠곡 농어촌버스성주 농어촌버스청도 농어촌버스창녕 농어촌버스고령 농어촌버스
공항대구국제공항

1 개요

경산시에서 인가하고 운영하는 시내버스의 총칭으로 경산버스, 대화교통에서 운영한다. 경산시 전역을 포함하여 일부는 영천시청도군 일부 지역으로 넘어간다. 29개 노선이 운행 중이며 인가 대수는 195대다. 소수의 노선[1]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노선이 하나의 번호에 여러 분리 노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체계를 지닌다.[2] 사실 어쩔 수 없는 일이기도 한 것이, 도농복합시의 특색이 제대로 나타나는 경산시라는 도시의 특성상 농어촌버스의 역할도 겸할 수밖에 없다. 경산시장에서 자인면 방면으로 쭉 이어지는 원효로를 타고 대구미래대학이나 대구한의대학교 방면으로 가다 보면 경산세무서 이후 전부 주변이 논과 밭이다. 그리고 자인정류장 이후로는 주변이 온통 산과 들, 그야말로 전형적인 시골의 모습을 보여 준다. 이 때문에 자인면이나 용성면까지 들어가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쳐도 갈고개(갈지리), 곡란리, 반곡리[3], 남산, 육동리[4], 매남리, 외촌리, 내촌리, 우검리 등의 듣도보도 못한 오지 행선지를 LED로 띄우거나 행선판을 달고 들어오는 버스들을 보면(...) 한술 더 떠서 이렇게 어디 있는지조차 모를 교통오지까지 들어가는 차들을 다시 동대구고속터미널(399번)서문시장(990번)까지 끌어낸다(...).

일부 버스(† 표시)는 원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로 대구 시내버스 회사와 공동 배차를 하기 때문에 경산시 버스 회사의 차량이 대구 시내 깊숙히 들어가는 기현상(…)도 발생한다. 실제로 대구광역시의 모든 행정구역에 경산버스대화교통이 각각 들어간다. 남경산 지역을 맡는 경산버스는 주로 수성구 지역, 북경산 지역을 맡는 대화교통은 주로 동구 지역을 맡는데 경산시 시내버스 중에 대구광역시 내로 들어오는 노선이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공배하는 노선을 포함하면 10개 노선이 있다. 100번(수성구 지역), 100-1(수성구 지역), 399번(수성구 지역, 동구 지역), 대구 509번(수성구 지역, 중구 지역, 남구 지역, 서구 지역, 달서구 지역, 달성군 지역), 대구 708번(동구 지역, 중구 지역, 북구 지역), 대구 814번(동구 지역, 수성구 지역), 818번(동구 지역), 대구 840번(수성구 지역, 중구 지역), 대구 939번(수성구 지역, 중구 지역, 북구 지역), 990번(수성구 지역, 중구 지역), 991번(수성구 지역, 중구 지역)가 바로 그 노선들이다. 단, 공차거리가 멀고 서쪽 끝에 있는 달서구 지역과 달성군 지역의 경우 달서구성서 지역, 달성군다사 지역(서재리, 방천리)만 맡고 있다. 언제일 지 모르지만 만약 991번이 계획대로 대구 649번과 통합할 경우 달서구 월배 지역까지도 진출하게 된다.

인접한 대구광역시와 달리 경산시는 천연가스버스가 의무화된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디젤차량도 혼용하여 운용하고 있다. 경산버스가 2003년 말에 BS106 천연가스 좌석버스 차량을 처음으로 도입하여 509번에 투입했고, 대화교통은 와촌면 용천리에 있는 하양CNG충전소가 영업을 시작한 2008년 12월에 천연가스 차량을 도입하여 814번을 시작으로 본격 투입했다. 경산시 관내에는 신천동[5]과 와촌면 용천리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어서 각각 남경산과 북경산 지역의 가스 충전을 맡고 있다.

저상버스경산버스에서 2006년 10월에 처음 도입하여 840번에 투입했으며, 대화교통은 2011년 진량2번을 시작으로 도입했다. 대구공배 노선에는 814번과 840번에 저상을 투입 중. 두 업체 모두 저상버스에 장착하는 자동변속기ZF 공인 정비소가 있는 어느 동네마냥 순도 100% ZF만 이용 중이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공동 배차하는 노선에는 무조건 가스차량만 들어간다. 대구 유출입 노선이어도, 대구와 공동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아닌 고유 노선에는 디젤차를 투입해도 상관없다. 경산버스가 이를 어기고 2012년 509번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H300 디젤차량을 투입했다가 대구광역시청이 태클을 걸어 다시 가스차량으로 바꾼 사건이 있다. 그래도 해당 노선에 디젤차량이 보인다면, 그거는 예비차량이다.[6]

알다시피 경산시는 순수증차가 가능한 곳이다. 경산시에 여러 택지지구들이 개발되면서 양대 회사 모두 조금씩 순수증차를 했다. 신대리의 노선버스 증설을 위해 109번을 신설하면서 시외부 면허를 일부 말소하고 시내면허로 전환한 후, 2015년 들어 경산버스가 야금야금 순수증차를 하고 있다. 시외부였던 두에고 EX를 시내면허로 전환하여 남산2번 금천(동곡리)행에 투입할 정도다.

2 종류

2009년 개편 때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를 따라 버스를 3종으로 분류해 놓았다. 개편 전 일반버스와 좌석버스 노선으로 구성된 간선, 경산 시내 주요 지역을 순환 운행하는 순환과 오지노선 성격인 지선이 있다. 단, 도시 특성상 급행버스는 없다.[7]

2.1 간선버스

600px
경산버스 소속 100-1번[8]

3자리 번호로 구성된 노선으로 다른 도시에서 운영하는 일반적인 버스이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달리 권역별 숫자를 따로 정해놓은게 없으며 어떤 노선은 개편 전 노선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있고 어떤 노선은 번호만 약간 변경한 노선도 있다. 다만 818번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 맞게 부여한 노선번호다.

100번, 100-1번(황금동), 399번(대구고속버스터미널), 990번, 991번(서문시장)은 대구 시계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더불어 509번, 708번, 814번, 840번, 939번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간선버스지만 경산시 시내버스와 공배하는 노선이다.

2.2 순환버스

600px
대화교통 소속 경산2(-1)번[9]

경산 시내의 주요 지역을 순환하는 노선으로, 2009년 1월에 신설하였다. 경산1(-1)번은 한의대~사동~백천동~옥산동~정평역~대평동U턴~경산시장~사동~한의대를 순환 운행하고 경산2(-1)번은 한의대~사동~백천동~옥곡동~경산시장~임당역~계양동~사동~한의대를 순환 운행한다. 원래 계획으로는 경산1(-1)번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반야월역, 경산2(-1)번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사월역과 연계 환승을 하려는 게 목적이었으나, 대구 버스조합으로부터 거부당하면서 수요를 늘리기 곤란했다. 다행히 2012년 9월에 2호선의 경산 연장 이후 경산1(-1)번정평역, 경산2(-1)번임당역과 연계 환승이 가능하게 됐으나, 2014년 배차간격이 앞서는 109번이 개통되면서 원체 배차간격이 길어 수요가 적었던 수요가 더욱 떨어졌다.

두 순환버스 모두 저녁 7시 이후로는 운행이 종료된다.

2.3 지선버스

600px
경산버스 소속 남천1번

2009년 개편 전 99번[10], 200번, 200-1번, 222번[11], 311번[12], 399번이 운행하던 오지노선들을 지선버스로 분리시킨 노선이다. 단, 남천1번은 95번 버스를 그대로 지선지노선으로 만들었다. 하지만 완전히 분리된 것은 아니라서 109번이 압량면, 399번, 990번이 남산면, 용성면, 803번이 진량읍, 818번이 와촌면, 진량읍, 하양읍 오지노선을 '지원 운행'이라는 이름으로 일부 전담하고 있다. 사실상 남천면을 제외하면 간선버스가 예전처럼 오지노선으로 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각 지역명과 번호의 조합(지역명+번호)으로 이루어진 노선으로 주로 부여된 지역 내를 운행하고 오지 지역 및 대중교통 사각 지대에서 지역 중심까지 운행한다. 종류로는 남산(1~2), 남천1, 압량1, 용성1, 진량(1~2), 하양-와촌1번이 있다. 하양-와촌1번의 경우 2009년 개편 당시에는 하양1번과 와촌1번으로 따로 소개되었다. 하지만 일부 연장 노선을 제외하면 두 노선의 구간이 거의 유사하고 대화교통의 차량 보유댓수 문제로 인해 하양-와촌1번이라는 이름으로 행선판이 통합되어 운행 중이라 사실상 한 노선이다. 경산시장, 자인정류장, 하양정류장을 지역 중심으로 설정하고 남산면, 남천면, 압량면, 와촌면, 용성면, 진량읍, 하양읍 오지 지역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중형버스가 투입되는 노선들이 많다. 지선버스는 하양-와촌1번은 간선버스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시외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이다. 오지노선이긴 하지만 영천시 시계 구간을 운행하는데 신녕면, 청통면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다만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경우나 경산시 시내버스가 대구 시계 구간을 운행하는 경우와 달리 이 구간은 구간요금이 있다.

3 도색

1979년 이전에는 상아색 바탕에 빨간색 붉은색 무늬가 들어가는 도시형버스 대구·경북 공통 도색이였다.

1985년 9월에는 상아색 바탕에 푸른색 남색 줄무늬가 들어가는 도시형버스 경북 공통 구도색으로 바뀌었다.[13]

1991년 305번(현 509번)을 시작으로 좌석버스가 도입되었다. 당시 도입된 좌석버스 도색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1991~1995년식 BS106 좌석버스에 적용된 도색이다.[14]

1995년 냉방형 입석버스를 도입하면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도색의 초기 도입분(뒷부분이 주황색이 아닌 파란색)과 흡사[15]한 도색을 적용하였다.

2000년대에는 경산시 시내버스 업체인 경산버스대화교통이 서로 상이한 도색을 사용했다.
경산버스는 입석차량에 한해 경산버스 고유도색을 적용했으며 좌석차량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서 2000년대 이전에 적용되었던 소위 "중도색"을 약간 변형시킨 도색을 적용했다.
대화교통은 입석차량에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2000년대 입석도색을 적용했으며 좌석차량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서 2000년대 이전에 적용되었던 경산버스와는 다른 "오리지날 중도색"을 적용했다.
하지만 지금은 떡칠로 하나된 우리

현재의 경산시 시내버스 도색은 2009년 1월 17일 경산시 시내버스 개편과 동시에 적용된 것으로, 맨 위의 사진에서 보다시피 그냥 떡칠이다. 원래 도색 개편안에서는 이 도색이 아닌 투톤의 도색이 나왔으나, 개편 당시 경산시장이었던 최병국 시장이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도색을 보고 "아 저게 좋겠다!"라고 해서 지금의 도색이 적용되었다는 카더라가 있더라.

분명히 신도색으로 도색이 일원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산버스대화교통의 차량 도색을 보면, 살짝 다름을 볼 수 있다. 경산버스같은 경우에는 최근 출고되는 차량에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도색과 같이 하단에 진회색 도색을 적용하고 있으며 범퍼도 컬러가 동일하다. 대화교통 같은 경우 머리부터 발끝까지 전부 녹색으로 적용되어 있다. 페인트 같은 걸 끼얹나

연두색 도색을 적용했고 대구광역시를 유출입하는 노선들이 많기 때문에, 대구광역시 지선버스로 착각할 수도 있겠지만 엄연히 경산시 시내버스이다. 근데 대구시내버스, 대구지하철과 무료환승이 되니 거진 대구시내버스나 다름없다.

4 행선판

과거에는 아크릴 행선판이 사용되었으나, 2009년 이후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처럼 스티킹 형식의 행선판이 사용되고 있다. LED 행선판이 달려 있는 차량도 있지만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달리 의무 설치가 아니고 시에서 지원을 하지 않기 때문에 보급 속도가 느린 편이다. 게다가 LED에서 스티킹으로 회귀하려는 듯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최근 대차되는 차량들은 기존의 LED를 재활용하지 않고 아예 처음부터 스티커 행선판을 달고 나오고 있다.

그나마 이 스티킹 형식의 행선판조차도 양식 통일이 되어 있지 않고 제멋대로이다. 경산버스 소속 차량의 스티킹 행선판은 대구의 그것(회색 바탕에 노선번호-기점-경유-종점)과 같은 양식으로 되어 있었지만, 2014년 말 이후 출고된 차들에 붙이는 것들은 노선번호 가독성을 고려한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노선번호의 크기를 키운 형태의 독자양식(기점-노선번호-종점)을 붙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의 스티킹 행선판은 평가가 괜찮았는지 기존의 차량에도 지속적으로 적용되었고, 2015년 5월 현재 기존의 LED 행선판 미장착 차량 중 지선노선을 제외한 모든 차량의 스티킹 행선판을 이 양식으로 교체하고 있다.

지선버스 등에 붙은 스티킹 행선판은 별다른 개정 없이 구 대구광역시 지선버스에 쓰이던 양식을 지금도 쓰고 있는 중이다. 또 다른 운영사인 대화교통은 스티킹 행선판을 안 쓰고 아예 독자 양식의 아크릴판을 쭉 사용하고 있는데, 앞면은 파란색에 노선번호가 중앙에 위치해 있고 뒷면은 흰색이다. 앞면의 경우 노선별로 양식이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어 814번의 경우 대구 버스처럼 노선번호가 왼쪽에 있고 행선지가 한 줄로 되어 있다. 또한 예비차 혹은 구형 좌석버스 중 LED행선판이 장착되지 않은 차량은 앞면에도 뒷면에 쓰는 흰색 행선판을 쓸 때도 있다. 이후 차량들이 대차되면서 양식을 점차 통일시키는 움직임이 보인다.
경산버스의 경우 2015년 4월 중순부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파란색 후부 아크릴 노선번호판을 대구 시내로 진입하는 버스에 한해 적용하기 시작했다가, 이후 대구 진출입 노선뿐만 아니라 자사가 운행하는 전 노선으로 확대 적용했다. 하지만 대화교통은 그런 거 없이 여전히 제 갈길을 묵묵히 가고 있는 중이다.(...)

LED 행선판의 경우 대구와 같은 LED를 사용하는 타 대구권 도시들과 다르게 독자적인 LED 행선판을 사용한다.

5 요금 및 교통카드

경산시 시내버스 요금
종류성인청소년어린이
현금1200원900원500원
교통카드1100원770원400원

※ 교통카드는 선불교통카드로는 대경교통카드, 탑패스, 캐시비, 티머니, 한페이, 레일플러스, 후불교통카드로는 KB국민카드, 비씨카드, NH농협카드, 신한카드(LG카드 포함), 하나카드(외환카드 포함), 롯데카드(M형, MT형), 현대카드(M형, MT형), 삼성카드, 씨티카드를 사용하고 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 도시철도와 환승이 가능하며 대구광역시, 경산시 전 구간은 단일요금이다. 단, 하양-와촌1번의 영천시 진입 구간의 경유 시계외요금이 적용된다.

6 노선 목록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으로 대구 시내버스 회사와 공동 배차를 하는 노선은 번호 뒤에 †표시를 하고 본 목록에 기재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 대한 자세한 것은 대구 버스 목록을 참조하기 바란다.
  • 본 목록에는 노선 내에 존재하는 분리노선을 모두 표기하기 곤란하므로 공통되는 구간만 간략하게 기재했다. 이들 분리노선의 상세한 정보를 보고 싶으면 해당 노선의 문서를 보거나 경산시 시내버스 안내 사이트를 참고하면 된다.
  • 가지 노선이 많은 노선과 배차 간격이 긴 노선은 목록 내에 시각표를 기입했다.

6.1 간선버스

100번, 100-1번, 814번, 803번, 809번, 840번, 939번, 991번을 제외하면 모두 분리 노선이 있다. 399번과 990번은 오지 지역을 일부 연장 운행해서 399번과 990번은 남산1번, 남산2번, 용성1번, 818번은 하양-와촌1번, 진량1번, 진량2번을 지원운행이라는 형태로 백업해 준다.

노선기점종점경유지배차간격
100대구한의대학교황금캐슬골드파크[16]시립박물관ㆍ경산시장ㆍ경산역ㆍ사월역ㆍ담티고개ㆍ만촌역10
100-1대구한의대학교황금캐슬골드파크경산중앙병원ㆍ삼북주공ㆍ옥산네거리ㆍ사월역ㆍ담티고개ㆍ만촌역ㆍ범어역20
109대구한의대학교대경대학교사동ㆍ경산시청ㆍ임당역ㆍ영남대ㆍ신대부적지구ㆍ가일리17
399자인정류장대구고속버스터미널시립박물관ㆍ경산시장ㆍ경산역ㆍ사월역ㆍ담티고개ㆍ효목네거리13
509방천리[17](경신교통)사동(소라A)
조영동(영남대)
와룡공원ㆍ두류역ㆍ명덕역ㆍ대백프라자ㆍ담티고개ㆍ사월역사월역까지 10분
분리운행구간 20분
708산호한양A대구대학교태전교ㆍ대구역ㆍ칠성시장ㆍ동대구역ㆍ망우공원ㆍ신서혁신도시ㆍ하양역10
803경남신성A갓바위경산역ㆍ영남대ㆍ금구리ㆍ진량고ㆍ하양역ㆍ와촌면30
809백천주공A하양2차청구타운경산역ㆍ경산시장ㆍ영남대ㆍ압량면ㆍ진량고ㆍ하양역17
814대구대학교범물우방미진하이츠하양역ㆍ망우공원ㆍ큰고개ㆍ동대구역ㆍ범어역ㆍ지산동10
818하양정류장동부정류장청천역ㆍ용계역ㆍ동촌역ㆍ아양교ㆍ큰고개ㆍ동대구역10
840경일대학교서문시장하양역ㆍ대구대ㆍ진량고ㆍ금구리ㆍ영남대ㆍ경산시장ㆍ반월당10
911성암산신동아파밀리에하양정류장옥산동ㆍ경산시청ㆍ영남대ㆍ금구리ㆍ진량고ㆍ진량산단50
918대구한의대학교삼주봉황타운경산역ㆍ경산시장ㆍ영남대ㆍ금구리ㆍ윤성1차Aㆍ진량읍20
939사동(소라A)칠곡3지구백천동ㆍ옥곡동ㆍ옥산동ㆍ대구스타디움ㆍ담티고개ㆍ2.28공원ㆍ동서변동ㆍ운암지공원13
990자인정류장서문시장경산시법원ㆍ경산시청ㆍ경산시장ㆍ사월역ㆍ담티고개ㆍ반월당14
991대구한의대학교서문시장갑제동ㆍ신대부적지구ㆍ영남대ㆍ정평역ㆍ사월역ㆍ담티고개ㆍ반월당30

6.2 순환버스

노선기점종점경유지배차간격
경산1(-1)대구한의대학교대구한의대학교경산중앙병원ㆍ삼북주공ㆍ경산시장ㆍ옥산동ㆍ대평주공ㆍ경산시법원50
경산2(-1)대구한의대학교대구한의대학교경산중앙병원ㆍ옥곡초교ㆍ옥산동ㆍ경산시장ㆍ임당역ㆍ사동중40

6.3 지선버스

배차간격란에 ‘?’표시가 된 노선은 오지 노선이라 배차간격이 길고 분리노선이 많아서 시간표 운행을 하는 등으로 인해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음을 뜻한다. 참고로 와촌1번과 하양1번은 노선 특성상 거의 한 몸이나 다름없어서 한 버스에 아예 하양-와촌1번이라고 되어 있다. 2009년 개편 때 기존에 일부 연장 운행하던 오지 노선만 지선버스로 독립시켰는데 지원운행이라는 이름으로 간선버스가 운행하는 경우가 많다. 경산시의 2읍 6면 중에서 자인면은 유일하게 지선버스에 이름이 없는데 399번과 990번의 종점이기 때문이다.

노선기점종점경유지배차간격
남산1상대온천중산신성A상대리ㆍ하대리ㆍ남방리ㆍ경산지원ㆍ경산시장ㆍ정평역?
남산2경산역갈고개휴게소[18]경산시장ㆍ경산시법원ㆍ남방동ㆍ당리리ㆍ자인면ㆍ남산초교?
남천1원리[19]대평주공A삼성리ㆍ대구외대ㆍ백천주공ㆍ삼북동ㆍ경산시장ㆍ중산동13
압량1자인정류장경남신성A남촌리ㆍ갑제동ㆍ압량면ㆍ영남대ㆍ경산시청ㆍ경산역?
와촌1경일대학교은해사하양정류장ㆍ하양여중고ㆍ와촌예다인Aㆍ덕촌리ㆍ계전리ㆍ송천공단?
용성1자인정류장용성면사무소울옥리ㆍ옥천리ㆍ일광리ㆍ고은리ㆍ미산리ㆍ용성중?
진량1하양정류장자인정류장창신무학타운ㆍ부기리ㆍ봉화삼거리ㆍ영남신학대학ㆍ진량고?
진량2경일대학교진량창신황제타운하양정류장ㆍ북리ㆍ부기리ㆍ봉화삼거리ㆍ영남신학대ㆍ진량고?
하양1경일대학교동강리[20]하양정류장ㆍ하양성당ㆍ한사리ㆍ하양여중고ㆍ와촌예다인Aㆍ덕촌리ㆍ와촌면사무소?

6.4 업체 목록

노선 번호 옆에 있는 †는 경산버스, 대화교통이 공동 배차, ††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업체와 공동 배차하는 노선이다.

상호명사무소 소재지운행노선
경산버스압량면 원효로 606
(舊 당리리 60)
100, 100-1, 109, 399, 509††, 803†, 809†, 840††, 911, 918, 939††, 990, 991, 경산1(-1)†, 경산2(-1)†, 남산1, 남산2, 압량1, 용성1, 진량1†
대화교통자인면 공단로 109
(舊 계림리 15)
708††, 803†, 809†, 814††, 818, 경산1(-1)†, 경산2(-1)†, 진량1†, 진량2, 하양-와촌1

6.5 경산 버스노선의 역사

각각 1998년~1999년 개편, 2009년 개편 순이다.

9번-911번[21], 918번[22]

11번-803번[23]

15번-818번[24]

25번-폐선[25]

95번-남천1번

99번-99번[26], 99-1번, 99-2번 분리-990번, 991번 변경, 99-2번 폐선

100번-100번

100-1번[27]-100-1번-100-1번

200번-폐선

200-1번-폐선[28]

222번-폐선[29]

300번-폐선

311번-하양-와촌1번, 803번으로 분리

399번[30]-399번

  1. 경산1(-1)번, 100번, 809번, 991번, 남산1번
  2. 이 체계가 얼마나 복잡한지 감이 안 오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휴대폰으로 대구 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경산 버스 목록을 살펴보자. 스크롤바의 압박이라는 것이 무엇인가 제대로 느낄 수 있다(...).
  3. 남산면 반곡리. 사진촬영 명소라고 불리는 반곡지로 유명한 그 동네 맞다.
  4. 육동미나리의 그 육동 맞다.
  5. 압량면 당리리 경산버스 차고지 인근에 있는 동네다.
  6. 다만 경산버스는 천연가스차량을 예비차로 보유하고 있고, 천연가스 정규차량이 고장이나 정비를 위해서 운행을 못할 시에는 CNG 예비차량을 우선 투입한다. 그러나 대화교통은 CNG 예비차가 없기 때문에 그런 거 없다.
  7. 대신 2015년도 8월 개편으로 인해 하양읍과 진량읍 대구대학교 일대에 대구 급행5번이 운행중이다.
  8. 100번에서 분리된 노선이라 대구 구간은 만촌역~황금동~만촌역 순환 구간이 100번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행되는 것을 제외하면 유사하다. 하지만 경산 구간은 옥산네거리에서 분기하여 완전히 달라진다. 여담이지만 이 노선은 현재 문명고에서 사동으로 연장되었다가, 2015년 사동 회차지의 사용 금지 이후 대구한의대로 연장되었다.
  9. 경산1(-1)번과 더불어 배차간격이 상당히 긴 노선이고, 수요도 그렇게 많은 편이 아니라서 중형버스가 투입되는 노선이다. 거기에 배차간격이 훨씬 앞선 109번이 사동에 있어서 수요에서도 더욱 밀린다.
  10. 현재 990번
  11. 이 세 노선은 모두 폐선되었다.
  12. 현재 803번
  13. 현재는 의성에서만 신차출고시 사용중이며, 문경, 상주는 최근 경기도 시내버스의 일반버스 도색을 입석 신도색으로 적용하고 신차출고하였으며 아직 대부분의 입석버스가 경북 공통 구도색이다. 구미, 군위, 울진에도 남아 있으나 이들 지역은 신도색이 적용된지 오래되거나 재도색을 한지라 점차 사라지고 있다.
  14. 1988~1991년식 BS105에 적용된 대구광역시 좌석버스 도색과 비슷하나 약간 다르다. 대구광역시 좌석버스의 1988~1991년식 BS105 적용 도색은 1991년식 이후의 BS106에서는 영천, 경주에서 사용되었다.
  15.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중도색 초기 도입분과 옆모습 무늬가 다르다. 영천교통 중도색 역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도색의 초기 도입분과 흡사한 도색을 적용하였는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경산시 시내버스와는 또다른 옆모습 무늬를 적용하였다.
  16.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17. 대구광역시 달성군 방천리
  18. 청도군 금천면 갈지리(乫支里)에 있으며, 또한 경산시 남산면에도 갈지리(葛旨里)가 있는데 두 갈지리는 경계를 이룬다.
  19. 경산시 남천면 원리
  20. 경산시 와촌면 동강리
  21. 9번+11번 일부 구간 운행
  22. 9번 일부 구간 운행
  23. 입석버스 11번+좌석버스 311번 통합
  24. 2009년 개편 때 311번, 818번 진량읍 가지 노선 진량2번 분리
  25. 1996년 대구 좌석버스 397번과 통합해서 708번으로 변경
  26. 2009년 개편 때 99번, 399번 남산면 가지노선 남산2번 분리, 99번, 399번 용성면 가지노선 용성1번 분리
  27. 100번의 일부 구간을 변경해서 2005년 신설
  28. 일부 구간 남산1번 운행
  29. 일부 구간 남산1번 운행, 압량1번, 진량1번 운행
  30. 1999년 이전에는 입석버스 99번의 좌석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