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다문화가족에서 넘어옴)
성 이념과 문화
성(性)이념젠더 연구젠더학(젠더) · 여성학 · 남성학 · 퀴어학
여성주의
페미니즘 · 페미니스트 · he for she · 여성주의 치료
대체 성(性) 이념남성주의 · 안티페미니즘
관련 이슈성평등 · 성 역할 · 양가적 차별 · 유리천장 · 여성징병제 · 여성 전용 · 성차별(통계) · 남성혐오 · 여성혐오
남성우월주의 · 여성우월주의 · TERF · 성노동자 · 젠더 감수성 · 상의탈의#s-1.3(토플리스) · 루이스의 법칙
성(性)문화성산업포르노 · 성인물 · 성 상품화 · 매춘 · 성인용품 · 유흥업소
성 관련 제도와 규범
성 관련 제도결혼부부 · 이혼 · 조혼 · 동성결혼 · 난혼 · 일부일처제 · 일처다부제 · 일부다처제
가족동거 · 가족구성권 · 유사가족 · 가족사회학 · 한부모 가족 · 다문화가정 · 입양
제도생리휴가 · 할당제 · 여성가족부
성범죄성폭력강간 · 유사강간 · 강제추행 · 준강간 · 준강제추행
성적 일탈
비범죄간통 · 성희롱

多文化家庭. a multicultural family.

서로 다른 국적 또는 문화의 사람이 만나 이룬 가정.

1 개요

한국의 경우에는 상이한 문화를 지닌 자국민 집단이 없으므로 보통은 국제결혼으로 나타난다. 국제결혼의 다수가 한국인 남성외국인 여성의 결혼이고 다문화가정의 상당수도 한국인 아버지와 외국인 어머니로 나타난다. 물론 한국인 여성과 외국인 남성의 가정도 한국에서 거주할 경우에 다문화가정으로 구분되나 대체로 한국인 여성과 외국인 남성의 결혼은 외국인 남성이 선진국 남성인 경우가 많아 한국에서 거주하지 않거나 거주하더라도 외국인 학교에 가는 경우가 많다. 대다수가 한국의 공교육으로 진입하는 한국남-외국녀 다문화가정과는 다르고 대체로 언론에서도 다루는 다문화가정은 한국남-외국녀이다.

과거에는 혼혈으로 불렸으며 주한미군한국인 여성 사이에 태어난 이들이 많았으나 이 시절엔 국가적인 정책 차원에서 이들을 관리하지 않아 이들의 숫자가 얼마나 되는지도 제대로 된 통계가 없다. 그러던 것이 한국 사회가 발전하고 1990년대에 방송 등을 거쳐 최지원들에 대한 이미지가 좋아지고 성비 불균형이나 농촌의 결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1세기 들어서 본격적으로 국제결혼이 나타난다. 그 때문에 다문화가정 자녀의 대다수는 아래의 통계를 보면 알겠지만 미취학 아동이다.[1]

2 다문화란 말의 애매함

이들은 1:1로 나타나는 결혼 이민에 의해 생기는 경우가 대다수이고 한국에서 거주하며 부계혈통의식이 강한[2] 한국남-외국녀의 조합이 많은지라 상당수가 한국인으로 국적을 취득하고 한국 사회에서 산다. 차별 문제가 있긴 하지만 성장과정에선 일단 기존의 한국문화에 거의 동화되는 편이라 이들을 다문화가정이라 부르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문제가 있다. 다만 언어적 편의 때문에 다문화란 말을 쓴 이상 다문화란 말이 계속 통용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3 차별 문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겪는 차별 문제는 한국인 성인들에겐 그다지 와닿지 않겠지만 심각하다.초등학교 재학 중에도 단순히 다문화 가정이라는 이유로 짱깨새끼나 쪽바리새끼등의 욕설을 듣는등 정신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는 경우도 많다. 2012년에 공교육 탈락율이 초등학생의 경우 10%에 달한다. 이는 다문화가정이 아닌 일반 학생의 0.06%에 비하면 160배 수준이다. 중학생은 20%로 일반 학생의 0.09%의 200배가 넘으며 고등학생은 69% 수준. 관련 칼럼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대부분 미취학 아동이거나 초등교육을 받을 나이이기에 이들이 사회적으로 겪을 차별이나 낙오는 아직 잘 파악되지도 않는다. 취직이라든가 직장 생활, 결혼 등에서 겪게 될 문제가 곧 사회문제로 대두될 듯 하다. 게다가 현재 한국 사회는 부동산 문제, 양극화 등으로 한국계 한국인들도 살기 각박한 환경이다. 결혼대란, 80-90년대의 여아낙태 문제등으로 다문화가정이 급증할 예정이다.

한국인 가정 역차별문제도 있다. 다문화가정에게는 소득수준 상관없이 84만원이 지급되지만 한국인 가정의 경우는 저소득자에게 66만원을 지급하는등 형평성 문제도 있으며 다문화가정은 대학입학시 다문화 전형으로 수능성적과 관련없이[3] 수시 특별전형으로 대학에 입학할 수 있으며 취업시 가산점을 부여받는등 자국가정과의 역차별 형평성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이는 미국에서 어퍼머티브 액션을 향한 비판과 비슷하다

3.1 결혼 이민자 통계 개괄

  • 결혼 이민자
281,29545,348235,947
  • 국적 미취득자
147,59120,887126,704
  • 국적 취득자
133,70424,461109,243
  • 자녀
191,32897,72493,604

3.2 국적별 결혼이민자 통계

구분중국(한국계)[4]중국베트남필리핀일본캄보디아몽골태국기타
281,295100,52467,94453,32315,25612,3385,6843,1862,97521,065
국적미취득자147,59127,89335,01639,0049,33411,7324,5232,3882,60415,097
국적취득자133,70472,63132,92813,3195,9226061,1617983715,968

3.3 다문화 가정 자녀

  • 연령별 현황
만6세 이하[5]만7-12세[6]만13-15세[7]만16-18세[8]
191,328116,69645,15618,39511,081
100%61.0%23.6%9.6%5.8%

4 여담

한국에서 이들의 인구는 증가하고 있는 상태이고 2014년에 세월호 사고로 인해 다문화 가정 자녀 3명이 사망했다.[9] 귀화한 베트남계 한국인 여성도 1명 사망했다. 출처
국내 인터넷에서 다문화가정을 싫어하는 사람들의 99.99%는 외노자이슬람교를 예로 든다 카더라.

5 같이 보기

  1. 2013. 1. 1. 기준 출처: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6&dirId=60105&docId=155226042&qb=6reA7ZmU7J6QIOq1reyggeuzhCDthrXqs4Q=&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RCkBHc5Y7vlsssxKyG0ssssssuR-454834&sid=Ukbj5HJvLDgAAAxMpVM
  2. 법적으론 1998년부터 부모양계를 따르지만 아직도 의식적으론 부계 인식이 강하다.
  3. 최저가 있는 학교도 있다.
  4. 조선족
  5. 미취학 아동
  6. 초등학생
  7. 중학생
  8. 고등학생
  9. 안산시 인구(76만2915명) 중에 불법체류자 5천여명을 포함하여 약 7만 명의 외국인이 살고 있다. 도시치고는 다문화 가정 숫자도 상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