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역사

1998년 개편 이전 노선번호-1998년 개편 때 노선번호-2006년 개편 때 노선번호 순이다. 다만 번호가 달라진 노선의 경우 해당 노선이 개편 때 구간이 100% 그대로 유지된 건 아니다. 참조

1 노선별 역사

1.1 입석버스

1998년 개편 이전1998년 개편 이후2006년 개편 이후2015년 개편 이후
1번909번
2번폐선
2-1번936번[1]937번
순환3(-1)번
달서4(-1)번
937번
순환3(-1)번
3번514번폐선[2]
5번504번폐선[3]
6(-1)번405(-1)번[4]405번[5]405번
7(-1)번730(-1)번730번[6]730번
10번
40-1번
40-2번
40-3번
439번급행2번[7]급행2번
12번106번306번
13(-1)번301번[8]
628번[9]
653번
15번[10]818번
16번427번234번[11]
17(-1)번929번폐선
18번
19번
424(-1)번452번남구1(-1)번
20(-1)번[12]401번
21번718번폐선[13]
21-1번11-5번동구3번
22번618번
26번717번폐선 [14]폐선
30번650번
980번 분리
650번, 980번
31번628번[15]653번
32번836번
33번814(-1)번814번[16]814번
33-1번750번
34번폐선
35번616(-1)번[17]
808번 분리
616(-1)번 폐선
808번
36번939번
37번655번655번
달서5번
50번폐선 [18]폐선
51(-1)번349번
55(-1)번
56(-1)번
434(-1)번순환3번[19]
가창1번[20]
순환3번
413번
66(-1)번폐선
70번903번폐선[21]
71번890번폐선[22]
72번폐선
75번906번폐선[23]
76번[24]11-2번[25]
131번[26]
101(-1)번[27]
팔공1번
101(-1)번
팔공1번
76-1번11-3번
131번
401번
83번242번521번
수성1(-1)번[28]
524번
수성1(-1)번
85번628번[29]
814번[30]분리
653번
86번910번폐선[31]
87번524번폐선[32]
88번603번북구2번[33]북구2번
89번623번
90번66-1번
66-2번
66-3
66-4번
달성4번
달성5번
달성6번
달성7번
92번11-6번
718번[34]
폐선[35]
101번646(-1)번[36]폐선
102번506번달서2번폐선[37]
107번724번
108번425번
109번301번폐선[38]
111번646(-1)번[39]폐선
120번
121번
646(-1)번폐선[40]폐선
126번636번폐선[41]폐선
127번535번503번
133번40-2번
40-3번 분리
204번[42]
가창2번
205번356번
205(-1)번52-2번성서3번
303(-1)번순환2(-1)번
600번 → 601번600번600번
급행6번
777번 → 마을버스 7번칠곡1(-1)번

1.2 좌석버스

1998년 개편 이전1998년 개편 이후2006년 개편 이후2015년 개편 이후
301번649번
303번415번폐선[43]
305번509번
307번704번폐선[44]
312번518번
315번156번
316번407번급행3번
320번104번폐선[45]
321번936번937번
순환3번
달서4(-1)번
937번
순환3번
322번폐선
323번719번
326번
327번
306번706번
330번
331번
608번폐선[46]
332번601번600번600번
급행6번
333번508번급행5번
334번폐선410(-1)번[47]410(-1)번
336번309번
339번726번
345번454(-1)번폐선[48]
352번836번[49]
355번549번509번[50]509번
363번527번
371번840번
375번609번
376번105번급행1번
377번104번401번[51]401번
385번폐선
386번910번폐선[52]
387번402번폐선[53]
388번305번폐선[54]
389번 → 397번[55]708번

1.3 어느 순간 또는 금방 폐선된 노선

아래 노선들은 모두 현재 폐선된 노선이다. 개중에는 노선은 딴판이고 번호만 계승한 경우도 있다.

  • 40-1번, 40-2번, 40-3번
  • 52-1번
  • 72-1번[56]
  • 78번[57]
  • 91번
  • 134번
  • 149번
  • 303(-1)번
  • 333번[58]
  • 343번
  • 363번[59]
  • 404(-1)번
  • 414(-1)번[60]
  • 434(-1)번[61]
  • 606번[62]
  • 613번
  • 624번[63]
  • 665번[64]
  • 723번[65]
  • 725번
  • 900번
  • 905번
  • 949번
  • 990번[66]

1.4 마을버스

구간 조정을 통해 지선버스로 승격되거나 간선버스 노선 내로 흡수되었다. 0번, 1번, 3번, 4번이 없는 이유는 원래 결번이었기 때문이다.

  • 2번 → 서구1(-1)번[67]
  • 5번 → 성서1(-1)번[68]
  • 6(-1)번 → 달서(-1)번, 달서3번 → 달서1번[69], 달서3번
  • 7번 → 칠곡1(-1)번
  • 8번 → 849(-1)번[70]
  • 9번 → 937번[71]

1.5 1998년, 2006년 개편 이후 신설된 노선

급행버스급행4
간선버스300400(-1)403410(-1)449564
604651805849(-1)
지선버스달성1[72]달성2[73]달성8(-1)동구2동구4(-1)북구4
수성2 [74]칠곡3 [75]팔공2 [76]팔공3 [77]

1.6 2015년 개편 이후 신설된 노선

급행버스급행6급행7급행8
간선버스204234[78]240304 [79]523
지선버스남구1(-1)번달서5 [80]서구1(-1)수성3(-1) [81]수성4칠곡4

2 도시철도 개통과 시내버스 대개편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지하철 노선이 하나 개통되는 시기를 전후하여 버스계통을 대대적으로 바꾸는 대격변을 하고 있다. 1998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 이후에 진행된 권역별 노선번호, 2006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이후에 진행된 준공영제, 2015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이후에 진행된 대격변이 그것이다.

2.1 1998년 권역별 노선번호 도입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완전개통 이후 도입된 제도.
이 이전에는 현재의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처럼 일반버스는 1~3자리 번호를, 좌석버스는 300번대 번호를 사용하였으나 이 이후 권역별 노선번호를 사용하게 됐다. 노선번호 변경과 더불어 폐선, 통폐합, 신설이 이뤄졌으다.
대구 시내에 있는 모든 버스가 바뀐 그야말로 대격변이었기에 혼란을 최소화하고자 대구시내 모든 가정에 모든 노선을 총망라한 소책자가 1~3부 배부됐으나 기존 버스정책과 너무나도 달라진 것에 반감을 가지고 원래대로 환원하라는 민원이 빗발쳤다. 민원폭탄은 이제껏 그래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대구가 아니라 경산에 15번 버스가 있었는데 이 당시 개편 번호는 경산 버스 818. 워낙 특이한 녀석이라 대구 버스는 아닌데도 이 단락에서 특별히 언급한다. 해당 문서 참고.

파일:Attachment/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역사/Example.jpg
▲ 개편 당시의 버스 모습. 앞유리에 예전 노선번호를 적어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오지노선의 경우 권역별 노선번호를 2자리로 표기하였고 -1, -2, ... 이 붙는 형태로 운행하였다. 대구 버스 동구3의 경우 11-5번 등. 마을버스는 권역별 노선번호 1자리로 표기하였다.

2.2 2006년 준공영제 도입 및 버스체계 개편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이후 도입된 제도들.

2006년 2월 19일에 버스·지하철 통합환승제와 준공영제가 도입된 것을 시작으로 좌석·일반·마을버스 체계가 급행·순환·간선·지선 체계로 바꼈고 98년 못지 않게 폐선, 통폐합, 신설이 이뤄졌다. 하지만 98년 개편때와는 달리 대구시에서 적극적인 홍보를 하지 않아 노선 안내 소책자는 일부 가정에만 배부됐으며 대다수의 개편 안내는 버스 정류장과 각 버스 차량에 부착된 유인물로만 이뤄졌다. 거기다 일부 안내에 오류가 있어 대구 시민들의 원성을 산 바 있다. 이 개편으로 시계외요금이 없어졌으며, 인접 지자체소속 버스에 대경교통카드의 호환이 시작됐다. 2호선 선형과 중복되는 노선들이 주 개편 대상이었으나 경산버스의 비협조로 반쪽짜리 개편이 되었다.

준공영제의 도입으로 노선별 배차권과 노선 변경권을 대구시가 가지게 돼 2006년 대격변때엔 중복노선, 적자노선 등을 대거 폐선 또는 감편해 무려 158대를 감편했고, 그 이후로도 매년 조금씩 노선 변경 및 감차가 이뤄지고 있다. 이 꾸준한 차량 감차와 무분별한 보조금 퍼주기는 버스동호인들 사이에서 두고두고 까이는 요소.

개편하고 몇 년 있다가, 놀토 때문에 격주마다 일부 노선 한정으로 일요/휴일처럼 감편하는 놀토 격주 감차가 생겼다. 2015년 8월 개편 이후에도 놀토 격주 감차는 일부 노선에 적용 중인데, 얼마 후에는 아예 그냥 격주가 아닌 매주 놀토 감차로 변경한 듯하다. 단, 감차 대수는 일요/휴일 감차와 같을 수 있고[82] 다를 수 있으며, 다이어도 달라지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83]

2.3 2015년 준공영제 체제 개편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참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일부 구간 운행
  2. 일부 구간 524번, 성서2번이 운행
  3. 일부 구간 509, 724번이 운행
  4. 405-1번은 후에 435번으로 변경
  5. 435번을 405번과 통합
  6. 730-1번을 730번과 통합
  7. 일부 구간은 가창2번이 운행
  8. 단 이 노선은 98년 5월 개편 때에는 109번과 13(-1)번을 통합한 형태였으나, 같은 해 6월에 노선이 대폭 변경되어 109번과 비슷해졌고 13(-1)번의 흔적은 찾기 어려워졌다.
  9. 일부 구간 운행
  10. 경산 버스 면허
  11. 만평네거리~두리봉터널구간 운행
  12. 1990년 20-1번과 76번이 통폐합
  13. 일부 구간 북구1번이 운행
  14. 일부 구간 708번이 운행
  15. 일부 구간 운행
  16. 814-1번과 통합
  17. 1998년 개편 때 신설되어 1달 만에 폐선된 606번의 일부 구간 운행
  18. 북구 구간은 403번이 노원네거리에서 칠성홈플러스 구간을 대체하지만 403번이 2006년 개편 때 노선이 변경되어 50번의 흔적을 찾기가 어려워졌다.
  19. 434(-1)번의 일부 구간을 직선화
  20. 434(-1)번의 일부 구간을 단축
  21. 일부 구간 427번, 동구1(-1)번 운행
  22. 840번과 통합
  23. 609번과 통합
  24. 90년 20-1번과 통합
  25. 98년 5월 5일~5월 31일까지 운행
  26. 98년 6월 1일~2006년 2월 18일까지 운행
  27. 일부 구간 운행
  28. 구.242번의 수성구 순환구간을 운행
  29. 일부 구간 운행
  30. 33번과 85번을 통합
  31. 일부 구간 300, 410(-1), 651번이 운행
  32. 일부 구간 (신)204, 234, 523, 524(前 521)번이 운행
  33. 단축해서 운행
  34. 일부 구간 운행
  35. 수성2번이 대부분 구간 운행
  36. 일부 구간 운행
  37. 일부 구간 달서4(-1)번이 운행
  38. 일부 구간 420(-1),북구3번이 운행
  39. 일부 구간 운행
  40. 일부 구간 651번이 운행
  41. 일부 구간 805번이 운행
  42. 가르뱅이~이현삼거리 구간은 (신)204234,서구1(-1)이 운영 / 변경되기전의 구간(=서대구공단 ~ 이현삼거리)은 240이 운영
  43. 514번과 통합
  44. 일부 구간 304번이 운행
  45. 401번과 통합
  46. 일부 구간 650번, 980번 운행
  47. 일부 구간 운행
  48. 일부 구간 323(-1)번, 순환3(-1)번이 운행
  49. 대부분 구간 운행
  50. 2006년 개편 때 549번이 폐선됐지만, 1998년 이후 509번은 옛 355번(549번)이 다녔던 이곡역 - 성서고교 - 신당동주민센터 - 계명문화대학 - 방천리 코스를 이어받았다. 2009년 1월 개편으로 509번이 달구벌대로에서 명덕로로 코스가 변경되어 549번의 구간이 방천리 ~ 우리은행시지지점까지 부활하게 된다.
  51. 104번 통합
  52. 일부 구간 300, 410(-1) 651번이 운행
  53. 일부 구간 204, 523번이 운행
  54. 일부 구간 306, 523번이 운행
  55. 대부분 구간 운행
  56. 일부 구간 북구4번이 운행
  57. 팔공3번이 운행
  58. 1998년개편으로 508번이 되고 , 2015년 8월초에 급행5로 형간전환됨
  59. 현.527번
  60. 대부분 구간 900번이 운행
  61. 일부구간이 변경되어 현재의 순환3(-1)으로 운영.
  62. 현재 고령 606번과 다르다.
  63. 1998년 개편 때 만들었다가 1달 만에 폐선되었다.
  64. 일부 구간 564번, 604번, 달서3번 운행
  65. 일부 구간 북구1번,칠곡2번 운행
  66. 경산버스의 구 99번인 현재 경산 990번과 매우 비슷한 노선으로 자세한 것은 경산버스, 경산 버스 990 문서 참고.
  67. 일부 구간 운행
  68. 일부 구간 운행
  69. 달서1-1번과 통합
  70. 일부 구간 운행
  71. 일부 구간 운행
  72. 836번 고령시외 가지노선 운행
  73. 836번 논공읍, 옥포면, 화원읍 가지노선 운행
  74. 849번 매여동 지선 운행
  75. 427번 동명면, 구미시외 가지노선 운행
  76. 401번 단축 보조 노선
  77. 팔공1번 부정기노선 분리
  78. 범물동~북부정류장 구간 427번 대체 노선 / 상리동~태평로 구간 202(-1)번 대체노선
  79. 303(-1)번 종합유통단지-반월당 구간, 704번 대일리-반월당 구간 대체노선
  80. 655번 노선 변경으로 인해 계대동문-유천네거리 구간 대체노선, 정부지방합동청사 후문 경유 후 대곡지구까지 운행
  81. 동호지구-범물동 구간 604번 대체
  82. 달서4(-1)번. 이쪽은 감차하라고 하면 명절 시즌에도 딱 1대만 감차해서 다닌다.
  83. 특히 523번 서재방면. 밤 10시 8분 검단동 출발 막차가 끝이며, 이후에는 중간종료 막차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