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역



현재 개통하지 않은 역 또는 노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 또는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개통했지만 이 역을 지나는 다른 노선이 공사 중인 역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하며, 나무위키는 잘못된 정보에 의한 피해를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공정이 중단되면 틀:공사중단으로 바꿔 주시고, 공정이 완료되면 틀을 제거해 주십시오.

경부선
서울 방면
노량진

1.5 km
대 방
0.8 km
부산 방면
신 길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 광운대, 청량리 방면
노량진

1.5 km
대 방
(128)

0.8 km
인천, 신창, 서동탄 방면
신 길
1호선 (동인천급행)
용산 방면
노량진

1.5 km
대 방
0.8 km
동인천 방면
신 길
1호선 (천안급행 - A)
용산 방면
노량진

1.5 km
대 방
0.8 km
천안 방면
신 길
서울 경전철 신림선
샛강 방면
샛 강

0.7 km
대 방
(102)

(미개통)

0.9 km
서울대 방면
서울지방병무청
대방역

다국어 표기
영어Daebang
한자大方
중국어大方
일본어デバン
역번
수도권 전철 1호선137
서울 경전철 신림선102
300px
수도권 전철 1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대방역사 크게보기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수도권 전철 1호선
대방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00
(舊 신길동 1368-3)
서울 경전철 신림선
대방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 117-7번지
수도권 전철
운영기관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파일이 없음
1호선 개업일1997년 4월 30일
동인천급행 개업일2005년 12월 21일
천안급행 개업일2005년 1월 20일
운영기관190px
신림선 개업일2021년 예정
일반 철도
운영기관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
경부선 개업일1974년 8월 15일
관리역 등급배치간이역(영등포역 관리)

大方驛 / Daebang Station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137번.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00(舊 신길동 1368-3번지)에 위치해 있다. 운전간이역이었으나, 2012년 12월 1일부터 영등포역 관리의 배치간이역으로 강등되었다.
서울 경전철 신림선 102번.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 117-7번지 일원 소재 예정

2 역명

500px
1996년까지 사용된 구 대방역. 오른쪽에 있는 황토색 건물이 옛 북부역사(여의도 방향)이며 왼쪽 끄트머리의 육교를 통해 내려가면 옛 남부역사(대방동 방향)가 있다.[1]

500px
북부역사

주소 상으로는 영등포구 신길동이지만 노량진로의 대방삼거리 쪽에 위치했던 구역사 건물이 양쪽 구에 걸쳐 있는 형태로서, 70% 이상이 동작구 대방동에 있기 때문에 역명은 대방으로 결정되었다. 다만 개통 당시에는 대방역 전체가 대방동에 있었다. 그러다가 대방로를 기준으로 행정구역이 조정되면서 오늘에 이른다.[2] 이에 따라 영등포동에 있는 다음 역이 보상 차원에서 신길역으로 결정되었다. 대방역과 신길역의 역명 유래다.

3 역 정보

경부선배치간이역으로 1호선 전동차 외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게다가 역사 자체가 주변보다 매우 높은 위치에 있으며, 전동차 외의 다른 열차가 사용하는 선로는 대방역 자체를 통과하지 않고 대방역 남단을 통과한 뒤, 역 동쪽에 있는 법덕교 하단을 이용하여 전철 선로보다 북쪽으로 이동하여 노량진역으로 향한다. 그래서 KTX새마을호, 무궁화호를 탈 경우, 대방역 위치에서 볼 수 있는 것은 단순한 콘크리트 축대...... 이런 이유로 인해 주의깊게 관찰하지 않으면 분명 노량진역을 통과했는데 다음에 보이는 역이 신길역이나 영등포역이라서 마치 축지법을 쓴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 역의 개업과 함께 준공된 구역사는 노량진로 상에 위치하였으며, 이 역의 승강장과 남쪽에 있는 노량진로 사이에는 경부선 일반열차 선로가 입체적으로 가로막고 있는 구조이기에 199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신길동과 대방동 쪽에서 이 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구역사에서 개찰구를 통과하고 육교로 올라가 경부선 선로를 건넌 후 전철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구조였다. 특히 노량진로 구역사 쪽에서 승강장으로 연결되는 육교의 높이는 대략 건물의 3~4층 높이인데, 구역사 개찰 후에 이를 한꺼번에 올라가야 했으니 당시에는 에스컬레이터는 고사하고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엘레베이터 시설도 전무했기에 노량진로 쪽의 구역사에서 육교로 올라가는 계단 구간은 그야말로 상당히 빡셌다.

하지만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부선 구간의 복선화 공사로 함께 진행된 신역사 공사가 1996년 초에 완료되어 오늘날에는 지하로 연결된 출입구(1~5번 출구)를 통해 내려가 건넌 후에 다시 올라와서 전철 선로 아래의 1층에 위치한 신역사로 진입하고 개찰구 통과 후 2층의 승강장으로 올라가는 방식으로 바뀌었으며, 대방역 아래에 위치한 대방지하차도의 인도 구간과도 연결되었다. 노량진로 쪽에 위치했던 구역사는 곧바로 철거하지 않고 내부를 개조하여 처음에는 간이음식점과 패스트푸드점 등의 민간시설 건물로 활용했으나, 신역사로 연결되는 지하도와 연결도 되어있지 않은등 상권으로서 별 다른 메리트가 없어서 결국 철거되고, 현재 구역사 자리에는 조그마한 휴식공간과 더불어 적십자가 운영하는 헌혈의 집이 들어서 있다.

반면 여의도 쪽에서 진입할 때는 1층 높이로 바로 진입할 수 있는데, 이쪽는 분명 출구가 하나인데 몇년 동안 역 안내도 등이나 포털사이트 지도 서비스 등에는 6번과 7번 두개의 출구가 있는 것 처럼 나와있었다. 요즘은 고쳐졌으나 일부 포털사이트 지도 서비스에는 아직도 7번 출구가 존재한다.

서울 경전철 신림선과의 환승역으로 지정되었다. 신림선이 2015년 9월 7일 기공식을 가지고 착공에 들어갔다.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의 소재는 63빌딩. 이쪽에서 도보로 갈 수 있어서 그 그림이 붙었다. 게이트 안쪽 고객지원실에서 찍을 수 있으니 참고하자.

3.1 승강장

노량진
4321
신길
1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
구로·부평·동인천·수원·천안 방면
2용산 방면
3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
구로·인천·신창·서동탄 방면
4서울역·광운대·의정부·소요산 방면

4 역 주변 정보

대방역에는 여의도로 가는 버스(영등포10번, 영등포11번으로, 대방역 북측에 정차)가 있어 출퇴근 시간에는 여의도로 통근하는 승객이 많다. 사실 5호선 여의도역이 완공되기 전까지 여의도에서 전철을 이용하려면 버스를 타고라도 가장 가까이 갈 수 있는 역이었다.

앞서 언급했듯이 역 자체가 주변보다 높게 건설된데다가, 전철역 특유의 개방식 구조로 인해 겨울만 되면 바람이 쌩쌩 불고 무지하게 춥다. 그래서 KBS에서 강추위 관련 뉴스가 나올 때 단골로 나오는 지역이기도 하다. 한국방송공사 별관에서 다리 하나 건너면 도착하는 것이라 가까워서 나오는 원인도 있다.

2012년 3월 28일부터 같은 해 7월 31일까지 4개월간 2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 설치공사를 해서 마을버스 타기가 좀 더 편리해졌다. 8월 중순부터는 3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 설치공사를 시작한다고.

주변에 공군회관, 서울지방병무청, 여의도성모병원, KBS 별관, 63빌딩, 솔표빌딩 등의 시설이 있다. 특히 성모병원 쪽으로 셔틀버스가 운행되는데 병원에 가는 노약자나 보호자들은 버스 승강장까지 길을 건널때 왼편에서 달려드는 차를 조심하기 바람. 더러는 63빌딩 방향으로 가는 셔틀버스를 성모병원 버스와 혼동하여 잘못 타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 그리고 신대방역과 혼동하지 말자. 그런데, 2호선대에 다니다 보면, 신대방역의 영향 때문인지, 대방동 산다 그러면. "아 신대방동?" 이라는 반응을 많이 보게 된다.

과거 영등포권에서 코빅맥을 먹을 수 있는 유일한 장소도 이 역 근처에 있었다. 지금은 주말농장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5 사건사고

2016년 8월 21일 오후 4시 40분, 지속된 폭염으로 인하여 승강장 내부의 스크린도어가 깨진 사고가 있었다. #

6 일평균 승차량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1호선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9,893명21,289명22,734명26,223명19,487명19,524명19,312명19,729명19,818명18,472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17,302명17,075명추가바람15,960명15,660명15,617명
  1. 한국철도100년사
  2. 이와 비슷한 사례가 근처에 있는 초등학교 이름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대방초등학교는 영등포구 신길동에 있는 반면, 신길초등학교는 동작구 대방동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