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역

함경남도 정평군에 위치한 평라선 상의 동명의 철도역에 대해서는 부평역(평라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경인선
구로 방면
부 개

1.5 km
부 평
1.7 km
인천 방면
백 운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 방면
부 개

1.5 km
부 평
(152)

1.7 km
인천 방면
백 운
1호선 (경인 급행)
용산 방면
송 내

2.7 km
부 평
3.2 km
동인천 방면
동 암
인천 1호선
계양 방면
부평시장

0.9 km
부 평
(I120)

0.9 km
국제업무지구 방면
동 수
부평역
(가톨릭대인천성모병원)
(부평힘찬병원)

다국어 표기
영어Bupyeong
한자富平
중국어富平
일본어富平(プピョン)
역번
수도권 전철 1호선152
인천 도시철도 1호선I120
300px
수도권 전철 1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수도권 전철 1호선
부평역
인천광역시 부평구 광장로 14
(舊 부평동 738-21)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역
인천광역시 부평구 광장로 지하 15
(舊 부평동 224-1)
수도권 전철
운영기관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파일이 없음
1호선 개업일1974년 8월 15일
동인천급행 개업일2005년 12월 21일
운영기관인천교통공사
인천 1호선 개업일1999년 10월 6일
일반 철도
운영기관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
경인선 개업일1899년 9월 18일
관리역 등급관리역(2급)

富平驛 / Bupyeong Station

정식명칭부평역사 주식회사
영문명칭PU-PYONG DEPARTMENT STORE
설립일1989년 12월 26일
업종명부동산업
상장여부비상장기업
기업규모중소기업
홈페이지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152. 인천광역시 부평구 광장로 14(舊 부평동 738-21번지) 소재.
인천 도시철도 1호선 I120. 인천광역시 부평구 광장로 지하 15(舊 부평동 224-1번지) 소재.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부역명은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이다.[1]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부역명은 부평힘찬병원이다.

코레일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까지 방송하지만, 서울메트로 전동차에서는 부평 역명만 방송한다.

2 역 정보

460px
수도권 전철 1호선 부평역

460px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역 과거 역명판

460px
부평역의 야경


1960~70년대 부평역

460px
1982년 11월에 신축된 부평역 역사.[2]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1999년)이후 8년 간,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유일한 환승역이었다. 여름철 폭우·태풍이나 겨울철 폭설 때 경인선의 운행이 중단되면 인천 1호선만 따로 노는 꼴이었다. 다만, 2007년부터 인천공항철도계양역, 2012년부터 수인선원인재역서울 지하철 7호선부평구청역이 추가되었고, 2016년부터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시청역이 추가되었다.

동인천역, 주안역과 함께 인천의 대표적인 역 인근 번화가. 다른 두 역과의 차이점이라면 동인천역/주안역이 남부역 쪽이 번화가인 것과는 달리 이 역은 북부역 쪽이 번화가라는 점. 반면 남부역 쪽은 전형적인 시골동네 간이역 분위기를 풍긴다. 번화가 지역이기 때문에 이 역은 민자역사(2000년 6월 완공)와 지하상가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동인천역과 주안역의 몰락으로 명실상부 구월동과 함께 인천의 중심, 핫플레이스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상권의 노후화, 그리고 7호선의 연장개통으로 백화점, 아울렛 등 대형 몰이 많은 부천시 중동, 상동으로 사람들이 이동하면서 상권 이용 인구는 감소한 상태. 다만, 유동인구는 여전히 엄청난 수준이다.

2.1 승강장

2.1.1 수도권 전철 1호선

부개송내
1234
동암백운
1수도권 전철 1호선완행온수·구로·광운대·소요산 방면
2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부천·역곡·구로·용산 방면
3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동암·제물포·주안·동인천 방면
4수도권 전철 1호선완행간석·도화·제물포·인천 방면

2.1.2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시장
동수
인천 도시철도 1호선부평구청·작전·계산·계양 방면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시청·인천터미널·원인재·국제업무지구 방면

3 역 주변 정보

파일:Attachment/부평 4.jpg
역 근방은 부평구 최고의 번화가 중 하나다. 부평구뿐만 아니라 인천, 부천, 멀리는 서울 서부와 그 일대에서도 원정을 올 정도로 번화한 곳이다.

3.1 미로 그 자체인 부평역지하상가

파일:부평지하던전.jpg
난 누군가 또 여긴 어딘가 스티브 잡스가 길찾기 앱을 만든 이유?

종합적인 정보는 부평역지하상가 항목을 참조하도록 하자.
지하상가가 완전 미로 그 자체다. 물론 동인천역주안역 역시 지하상가를 끼고 있지만, 부평역 지하상가의 경우 부평역 앞 거리가 5거리이기에 출퇴근시마다 매일 다니지 않는 이상, 자주 들르는 사람들도 헷갈려 하는 구조이기에 원하는 출구로 나가는 것이 몹시 힘들다. 지하상가의 출구가 31곳이나 되니, 어지간한 경험과 기억력이 없다면 높은 확률로 떠돌게 된다. 차라리 지상으로 나와서 찾으면 되지 않냐 할 수 있는데, 이 일대에 횡단보도가 충분히 있긴 해도 원하는 곳으로 넘어가기 위해 여러 번 건너야 하는 경우가 많아서 불편하다. 이러다보니 붙은 이명이 부평역 지하던전.

출구가 가장 많은 역으로 잘못 알려져 있는 경우가 있는데 잘못된 정보이다. 공식적으로 출구가 가장 많은 역은 23개 출구를 가진 대구의 반월당역으로, 만일 부평역처럼 지하상가 출구까지 다 넣어 센다고 해도 43개로 가장 많다. 이는 지하상가가 연결되어 있어서 생긴 착오로 실제 부평역의 출구는 8개 뿐이고, 부평역의 일부 출구와 바로 연결되는 지하상가의 출구가 31개나 있어서 생기는 오해이다. 일단 출구번호 부터가 따로 노는데, 부평역 8번 출구와 부평지하상가 8번 출구는 전혀 다른 출구다. 그러다 보니 부평역 주변을 안내할 적에는 부평역 출구번호가 아닌 지하상가의 출구번호로 길을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4 특징

2012년 6월 기준 일평균 이용객 104,923명으로, 비서울 소재 지하철(전철)역 중에서 부천역, 송내역, 수원역과 함께 일평균 이용객 10만을 넘는 역. 경인선 내에서 부천역과 함께 엄청난 존재감을 자랑한다.

북부역 출구와 남부역 출구가 완전히 따로 있다. 게다가 환승통로마저 북부역쪽 환승통로와 남부역쪽 환승통로가 따로다. 물론 역에는 각 출구에 친절하게 '지하역 북부광장 전용출구' ' 남부역 전용출구'라고 써있긴 하지만, 혹시 부평역 인근으로 갈 일이 있으면 주의하자. 물론 남부역에서 나왔다고 매우 큰 문제가 생기는건 아니다. 북부역 건물이 바로 보이니 다시 그 쪽으로 갈 수도 있다.

부평역의 지하철-버스 환승 시스템은 최악의 수준이며[3], 역전 오거리의 각 방향으로 한 개씩 총 다섯 개의 서로 다른 '부평역' 버스정류소가 있다. 때문에 지하철에서 내려 버스를 타기 위해서는 부평던전을 헤쳐야 함은 물론이고, 버스-버스 환승시에도 필히 정류장을 이동해야 한다는 불편이 있다. 부평역 광장에 통합 정류장을 만든다는 떡밥이 도는 것도 무리가 아닌 듯.

5 기타

  • 이 역에서 동남쪽으로 빠져서 인근 부대로 들어가는 코렁인입선이 존재한다.
  • 부평역 광장앞에는 안양시, 수원시, 청주시, 성남시행 버스가 정차하는 부평역시외버스정류장이 있다.
  • 경인급행이 처음 개통되었을 때는 이 역이 시종착역이었고, 주안역까지 연장되고 최종적으로 동인천역까지 연장되어 현재는 중간정차역이다. 단, 출퇴근 시간대에 부평역까지만 반복운행하는 열차가 있기 때문에 여전히 이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가 남아있다.
  • 평일 아침 출근시간에 용산방향 급행열차 선로로 빈 열차가 들어오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부평역에서 출발하는 통근열차이다. 부평역 출발 시각은 07:06, 07:34, 07:50, 08:02, 08:15, 08:46. 이 열차의 종착역 역시 부평역인데, 이를 악용하여 미리 반대쪽에서 탑승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 때문에 동인천 급행 선로쪽에는 이에 대하여 완곡하게 자제를 요청하는 안내판을 볼 수 있다. 그래도 별 효과가 없었던 모양인지 직원들이 직접 플랫폼에 나와서 못타게 하고 있다.
  • '국철'이라는 명칭은 폐지된 이후에도 환승띠에 국철 갈아타는곳이라고 표기한 것 때문에(철도공사 쪽과 인천교통공사 쪽 환승띠 둘 다) 철도 동호인들한테 까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 역의 경우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메트로 1호선의 환승역으로 둘 다 1호선이라 그냥 1호선으로 표기하면 혼란이 올 수도 있기 때문에 이렇게 표기하는 게 나을 지도 모른다. 참고로 1호선 코레일측 다른 환승역인 온수역, 가산디지털단지역, 신길역, 석계역, 창동역, 도봉산역은 정상적으로 '1호선 갈아타는곳'이라고 환승띠에 적혀있다. 그리고 2009년 6월 현재는 양쪽 환승띠에 다 '1호선 갈아타는곳' 이라고 수정되었다.
  • 인천의 대부분의 지선버스들이 전철역을 출발역으로 하듯이 부평역을 출발역으로 하는 지선버스도 수두룩하다. 특징은 부평역을 출발하는 지선버스들 중 상당수가 부평역이 있는 부평구를 벗어나서 계양구까지 간다. 본래 두 구는 '북구'라는 하나의 구였는데 인구 증가가 지속되면서 1995년에 부평구와 계양구로 갈라졌으나, 노선 자체는 변하지 않아 생긴 현상이다. 물론, 지선버스가 한 개의 자치구에서만 운행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계양구 지역에서도 부평역과 그 상권을 이용하는 주민들이 많으며 여전히 인천 동북부 지역의 중심지라는 점을 상기해보면 이상한 것은 아니다.
  • 북부역 인근에는 부평시장이 있으며, 남부역 인근에는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이 있다. 뱀발로 남부역 1번 출구에 가면 크고 아름다운 부평 북부역사와는 달리 시골 간이역을 연상시키는 작은 벽돌 건물을 볼 수 있다. 그 작은 건물 위에 붙은 언밸러스해보이는 역명판이 감상 포인트. 개찰구도 들어가는 거 2개, 나오는 거 2개 해서 4개뿐이다. 바로 옆에 화장실이 있으며, 부평역에서 게이트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화장실… 이기는 한데, 여기까지 계단내려갔다 다시 올라왔다 하면서 올바엔, 차라리 지하역으로 가서 공익에게 말하고 게이트 나가서 화장실을 이용하는 게 빠르다. (그럴 일이 거의 없지만) 지하역쪽에 공익이 없거나, 지나치게 내성적이라 처음보는 사람과 대화하기 어려운 사람은 참고하자. 하여튼 부평역엔 롯데마트, 유니클로, 랜스토어 인천지점 등이 입점해 있다.영화관으로는 롯데시네마 부평역 9개관(구 키넥스5)이 있으며 역사 밖에는 대한극장(2개관 규모의 국내에 몇 안남은 모던한 극장으로 6번 출구에서 횡단보도 건너 약 70미터 정도), CGV 부평역점(2014년 10월 개관, 2015년 5월 경부터 휴관)이 있다. 광장방향 1층에는 패스트푸드 가게들도 들어서있으며 배스킨라빈스, 맥도날드, KFC가 존재하며 지하에는 롯데리아가 존재한다.
  •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기간한정으로 인천 내에 마지막까지 남은 (유일한) 코레일의 일반 열차 승차권을 발매할 수 있는 역이었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주안역, 도화역, 제물포역, 동인천역에서도 가능했지만, 2009년 12월, 역무무인화와 함께, 감열지로 된 승차권으로 변경되면서 다 사라지고, 부평역만 남았었다가, 결국 2014년 1월 1일부로 부평역도 일반열차 승차권 판매 업무를 중단했다. 그래서 인천시내에서는 일반열차 승차권을 역에서 구입할 수 없었으나, 인천국제공항철도KTX가 들어오면서 인천국제공항역, 검암역에서도 일반열차 승차권 구매가 가능해 졌다. 사실 최근에는 인터넷 등으로 예매하고, SMS티켓, 홈 티켓 등등을 이용하거나, 스마트폰 코레일 톡 어플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저 역들 중 가장 이용객이 적은 도화역의 경우, 하루에 5장도 안팔리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역무원을 통해 구입하는 게 아닌 위탁판매까지 포함한다면, 동암역송내역의 역구내 여행사에서 일반열차 승차권 구입 및 발매 가능하다.
  • 2010년 말이 돼서야 양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가동하게 되었다. 그런데 스크린도어의 안내 멘트가 완행쪽은 "문이 열립니다/닫힙니다"인데 급행쪽은 "스크린도어가 열립니다/닫힙니다"로 서로 다르다.
  • 경인선 인천구간에서 유일하게 TMO가 존재하는 역이다. 원래는 인천역에도 있었지만 이용부진으로 폐쇄된 상태이다. 휴가나온 장병들은 참고하도록 하자.
  • 사실 부평역에는 비밀선로가 존재하는데, 부평 미군기지와 제17보병사단으로 들어갈 수 있는 직통선로가 존재한다. 선로 이름은 폐창선. 하지만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서 그 존재감은 주인선에 비해 거의 듣보잡 수준. 그냥 노선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를 모른다.. 하지만 지역주민들에게는 비록 열차는 다니지 않지만 선로가 경인로를 관통하면서 지나가고, 각종 길목과 골목길을 관통하고 지나가기 때문에 생각보다 강렬한 존재감을 내뿜는다. 참고로 미군부대로 연결하는 선로는 미군부대를 관통해 모 부대까지 연결된다. 2012년 11월까지 해당 선로로 군용 화물이 운반되었다(과거 17사 보수대대3군지사와 미군부대를 연결하는 군용 수송 열차가 90년 중반까지 운행).
  • 부평역 베스킨라빈스와 부평역 광장의 출입구등에서 2001년에 개봉한 영화 엽기적인 그녀의 촬영이 있기도 했다.
  • 한가지 주의할 점으로는 롯데시네마가 부평점부평역점으로 나뉘어 있다는 것이다. 부평역점은 부평역사건물에 위치하고 있으며 부평점부평역점에서 걸어서 가면 약 15분 ~ 20분정도 걸리는 거리에 위치해 있으니 인터넷 예매시 부평역점인지 부평점인지 꼭 확인할 것. 많은 사람들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조언이니 새겨듣자ㅠㅠ.
  • 민영역사에서 유독 6층에만 인적이 거의 뜸하다. 평일 낮에도 사람이 없어서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 복도를 지나가는 사람이라고는 입점한 업소 관계자들과 배달하러 온 사람들이 전부일 정도. 손님이 있다고 해도 몇 명 안 된다. 하지만, 아랫층에 예식장이 있다보니 주말에는 신혼부부들과 친지들이 부속시설(미용실과 드레스실)을 찾아와서 그쪽에만 사람들이 잠시 몰린다. 넥슨코리아 인천지사도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다.
  • GTX B노선의 경유가 예정되어 있다.
  • 지하상가에 소리그림이라는 음반매장이 존재한다.
  • 미로같은 지하상가로 인해 당연히 막장환승이겠거니 하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으나, 사실 전혀 그렇지 않다. 지하상가는 개찰구를 통과해 나가야 볼 수 있다. 경인선과 인천지하철 1호선의 승강장은 지상-지하를 넘나들지만, 사실상 길이 일직선이고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루트에는 에스컬레이터가 가동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소요시간은 별로 크지 않은 편. 건장한 청년 남성의 경우 인천 1호선에서 하차하여 에스컬레이터 없이 계단을 이용해 가볍게 뛰기만 해도 경인선 승강장까지 3분이면 도달 가능하며,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더라도 5분이면 충분하다.
  • 드디어 2015년 6월 2일이 되어서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4]

6 사건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1 부평역 폭파협박 사건

1996년 2월 전동차의 잦은 지연으로 회사에 출근이 늦어 사표를 낼 뻔했다는 회사원이 부평역과 전동차를 폭파하겠다고 협박전화를 한 사건이 있었다. 경인선의 2복선 공사로 인해 열차지연이 잦아지자 회사에 지각이 잦아 상사로부터 한 소리 듣게 되었고, 이에 따른 스트레스가 극에 달하자 협박전화를 한 것으로 보인다.

6.2 부평역 타워 크레인 전도 사건

2015년 9월 16일 수요일에 오피스텔을 짓던 타워 크레인 2대가 백운역~부평역 구간으로 전도되었다. 다행히도 지나가는 전철이 없어서 큰 참사까지 가지는 않았다. 그래서 인천행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가 전부 중지되었고 부천역까지만 운행했다. 인천으로 가는 사람은 1호선을 우회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에 엄청난 난항을 겪고 있는 모양. 갈 길 없는 이들이 찾은 주 우회 루트는 부천 버스 88, 서울 지하철 7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등지. 덕분에 온수역, 부평구청역신도림역 못지 않게 붐볐다고도. 열차는 17일에 재개되었다.[5]

7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역

1999년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동시에 환승역으로 변신한 부평역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역의 존재나 정확한 위치를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다. 구체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원래 경인선 부평역이 아주 오래 전부터 존재했다. 인천 도시철도가 개통하기 100년전부터 존재하던 역이라 인천쪽 사람들은 부평역하면 경인선 부평역을 먼저 떠올린다. 그리고 어차피 부평역 안내표지판을 따라가다보면 십중팔구 경인선 부평역으로 연결된다.

더불어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역의 입구가 부평북부역앞에 있는 광장에 존재한다. 문제는 보통 버스들이 정차하는곳은 삼화고속 사무실 앞이다. 게다가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역 입구쪽으로 정차도 못한다. 눈에 잘 띄는 것도 아닌 편이라 애초에 입구위치를 잘못 잡은 경우다.

사실 환승통로나 부평역 지하상가를 통해 접근하는 방법도 있는데 일단 인천 도시철도 1호선에서 내리면 사용하는 계단 쪽과 연결되어 있긴 한데 상대적으로 잘 노출이 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부평역 지하상가에서 접근하는 통로는 안내판부터가 전철타는 곳을 따라가면 경인선 부평역으로 가게 되어 있고, 부평역 지하상가란 곳이 자주 다니는 사람들도 헷갈려 하는 난이도 상급의 지하던전이다보니 길을 알고 있거나 헤마다가 우연히 찾은 경우가 아니라면 찾기가 어려운 수준이다.

과거 인천에 수도권통합요금제가 적용되지 않았을 때는 경인선에서는 환승이 안되는데,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쪽에서는 환승이 되는 시스템(그런데 이마저도 반값만 할인되었다.)이어서 일부러 찾아다니는 경우도 있었지만 통합요금제 적용 이후로는 굳이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

8 7호선, 공항철도 개통 이후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역 ~ 부평구청역 구간이 개통되자 부평역의 이용객이 좀 많이 줄었다. 인천광역시 북부지역(서구, 계양구, 부평구)의 사람들이 인천지하철 1호선을 타고 내려가다가 부평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하지 않고 부평구청역에서 7호선으로 환승해서 서울로 갈 수도 있게 되었기 때문.[6]

물론 그렇다고 부평역이 안 터져나간다는 건 아니다. 일단 남쪽에서 올라오는 이용객들은 여전히 부평역을 이용해서 서울로 올라가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 이용객이 줄었다는걸 체감하지 못할 정도로 잘 터져나가니, 러시아워 타임에 한두 번 부평역에서 전철을 이용할 일이 있다면 주의하자.

공항철도가 개통되었을 때에는 부평역의 상권 감소설도 있었으나 당시 삼화고속 같은 광역버스 노선이 대거 장악했었으므로 부평역이 쇠퇴될까 우려되었던 적도 있었다. 개통되었을 때 쇠퇴된 상권은 이곳이 아닌 계산역 주변이나 인천국제공항으로 향하는 인천 서북부 지역이 오히려 더 쇠퇴했었던 것으로 보인다. [7]

9 일평균 승차량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1호선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42,675명50,606명55,855명56,145명36,980명36,338명36,018명35,349명35,739명35,152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36,651명38,438명37,808명34,902명33,827명33,222명
인천 도시철도 1호선
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
6,174명5,501명5,200명6,064명5,768명5,639명5,478명5,629명5,934명6,457명
2013년2014년2015년
7,094명7,030명7,142명
  1. 부평 간이남부역에서 15분정도 걸어가면 인천성모병원이 보인다. 단 정문으로 들어가려면 좀 더 깊게 들어가야 한다.
  2. 출처 : 한국철도100년사
  3. 「부평역 대중교통환경 ‘최악’ 겨우 모면」, 2007-09-28, 시사인천
  4. [1]
  5. 「인천 부평역 인근 타워크레인 넘어져...지하철 운행 중단」, 2015-09-16, YTN
  6. 「지하철 7호선 연장에 부평 상인들 수명 단축 」, 2012-11-12, 경기일보
  7. 당시 공항철도가 개통되었을 때, 수도권 통합 환승제가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며, 따로따로 노는 식으로 운영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