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파

1 식물

파일:대파.jpg

언어별 명칭 / 특징
한국어파, 대파일본어ネギ(葱)
중국어葱, 大葱영어Welshfar onion[1], spring onion, green onion, leek[2]
프랑스어ciboule독일어Winterzwiebel
스페인어cebolleta러시아어лук-батун, китайский лук[3]
학명Allium fistulosum L.분류아스파라거스목 부추과 부추속 위키백과 참조
원산지중국 서부길이약 70cm

1.1 개요

백종원이 항목을 좋아합니다
하츠네 미쿠도 이 항목을 좋아합니다
길이 약 70cm의 식물이다. 원산지는 중국 서부로 추정하며, 동양에서는 옛날부터 중요한 채소로 재배하고 있으나 서양에서는 거의 재배하지 않으며[4] 그 자리를 리크가 차지하고 있다. 비늘줄기는 그리 굵어지지 않고 수염뿌리가 밑에서 사방으로 퍼진다. 땅 위 15cm 정도 되는 곳에서 5∼6개의 잎이 2줄로 자란다. 잎은 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동은 잎집으로 되고 녹색 바탕에 흰 빛을 띤다. 추위에 강하기 때문에 겨울을 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문 명칭은 Welsh onion, spring onion, green onion등의 여려 명칭을 쓰는데, 뒤에 붙는 onion의 뜻은 "양파"이다. 이것은 파의 원산지가 동양이라서 서양에는 뒤늦게 전래되었기 때문에, 맛과 향이 가장 비슷한 양파에 단어를 덧붙여서 명칭을 만든 것이다. 역으로 우리말에서는 '양파'가 '서양의(洋) 파'라는 조어이다. 재미있는 부분.

양파와는 아무 관련 없지는 않고, 서로 같은 부추속에 해당되는 근연종이다.[5] 파, 마늘, 달래, 부추, 양파, 염교[6] 등등 좀 매운 채소류가 주로 부추속에 포함된다.

1.2 맛과 향

대부분의 사람들이 맛을 잘 모르는데 파는 원래 매운 맛과 쓴 맛이 강하며, 익히면 단 맛이 강해지는 등 다양한 맛과 강한 향을 보유하고 있기에 여러 요리에 널리 쓰인다. 오래 익히면 맛과 향이 다 달아나는지라 삶아 먹는 것은 적당하지 않지만 국물을 먹는 용도로 우려내는 것으로는 적합하다. 중국 요리에서는 생강과 함께 볶아서 기름에 향을입히는 기초적인 재료. 한국 요리에서도 국물요리의 건더기, 각종 구이의 고명, 양념간장이나 양념된장의 내용물 등 여러 용도로 널리 쓰이는 에이스급 식용작물.

독특한 향취가 있지만 파 자체만 따로 먹는 일은 드물며, 주로 국이나 볶음 따위에 썰어 넣는다. 단독으로 먹는 경우는 각종 꼬치구이 따위에 부재료로 끼워서 구워먹는 경우. 파는 가열하면 단맛이 나면서도 아삭한 감이 살아 있어, 기름진 재료들 사이에서 입가심 정도로 먹는다. 매운 맛을 좋아하는 한국인답게 한국 요리에서는 마늘과 함께 필수적인 향신 채소이다. 없을 때 양파로 대신할 수 있으나 맛이 조금 달라서 둘을 같이 넣는 경우도 많다.

이렇게 구워먹기도 한다. 겉이 숯이 될 정도로 바짝 구운 뒤, 껍질을 벗겨 먹으면 대파의 아린 맛은 온데간데 없어지고 은은한 단맛과 아삭한 식감이 일품. 스페인 요리에도 '칼솟타다'라는 대파 비슷한 식물을 구워서 먹는 단품 요리가 있다.

1.3 재배

토질을 가리지 않으며 연작 피해도 없지만 대파 농사는 정말 정성을 다 해야 한다. 일단 파종 시기가 중부 지방은 2~3월, 남부 지방은 1~2월이라는 매우 이른 시기다. 그러면서도 대파 수확 시기는 11월에서 내년 4월까지다. 그리고 하얀 잎줄기를 길게 기르기 위해서는 계속 북주기('물주기'를 잘못 쓴 게 아니다)[7]를 해야 하며, 호미로 잘못 건드리면 픽픽 쓰러지는 바람에 김매기가 미친 듯이 힘들다. 거기에 다른 작물은 어느 정도 자라서 우거지면 잡초가 돋아나도 세가 약한데 비해 파는 잎이 가늘어서 우거지고 그런 거 없기 때문에, 옛말에 '며느리는 파밭매기 시키고 딸은 콩밭매기 시킨다'라고 할 정도. 과연 시어머니

1.4 종류 및 응용

크게 대파와 실파, 쪽파 등이 있는데, 어릴 때 것은 실파, 다 키우면 대파이고 쪽파는 당파라고도 불리는 파로, 대파와는 다르다. 감촉도 감촉이지만 그 특유의 향취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정말로 싫어한다.

파는 산인(山人=仙 신선)이 먹는 음식이라고 하며 한약재로도 쓰인다. 약재로 쓸 때의 이름은 '총백'. 오적산, 반총산 등에 가끔 쓰이기도 한다. 가장 흔히 쓰는 경우는 초기 감기때 다량의 대파를 썰어넣은 뜨거운 국물을 마셔 몸을 따뜻하게 하는 것. 의외로 효과가 좋다.

당근, 피망, 등과 더불어 어린이들이 골라내기를 시전하는 가장 꺼려하는 음식. 음식에 맛과 향을 부여하는 중요한 향신료지만 어중간하게 삶거나 국에 넣으면 씹는 감촉이 좋지 않다. 맑은 국에 넣을 경우 대파를 한번 데쳤다가 넣거나 생식일 경우 찬물에 담갔다가 넣는 것이 좋다. 그냥 쓰면 진액이 빠져나와 국물 맛을 변하게 할 수 있기 때문. 그래서 원래 진액이 많이 미끈한 미역국에는 파를 넣지 않는다. 대파 안쪽의 미끄러운 정도가 바나나 껍질보다 훨씬 심하다는 얘기도 있다. 과거 TV프로그램 스펀지에서 어느게 더 미끄러운가 실험도 했다.

이는 대부분의 한국인이 대파 위쪽의 파란잎 부분까지 전부 쓰기 때문인데, 원래 대파의 파란잎 부분은 굉장히 식감이 안 좋다. 셰프들도 '파란 부분은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나중에 국물 낼 때 쓰세요.'라며 사용을 안 할 정도. 왠만하면 요리에는 하얀 부분만 쓰자. 어차피 그 파란잎 부분, 1kg에 천원도 안하는 완전 싸구려 부위다…. 파란 부분이 정 아까우면 파기름 같은 거 낼 때 쓰는 것도 괜찮다. 향도 약한 부위라 제대로 향이 안배긴 하겠지만….

라면스프에는 말 그대로 필수요소라고 할 만큼 반드시 들어가는 재료. 정 궁금하다면 파가 들어가지 않는 라면이 몇 개나 되는지 찾아보자.

특수한 용도로 파기름이 있다. 파가 들어가는 볶음요리를 하기 전에 기름 두르고 파부터 먼저 센불에 볶아내면 특유의 풍미와 감칠맛을 낼 수 있다. 다만 이 풍미가 오래가진 않는지라 그때 그때 만들어서 써야 한다.

파는 단위인 대파 한 단은 부피가 크고 양이 꽤 많아서, 냉장고에 넣어도 자취생이나 식구가 적을 때는 다 먹을 때까지 보관하기 좀 곤란하다. 안 쓰는 화분에 얕게 심고 가끔 물을 주면 한 달도 간다. 이렇게 처리가 곤란할 때는 그냥 대파를 깨끗이 씻어 손질한 다음 충분한 크기로 잘라 지퍼백과 같은 밀폐용기에 넣고 얼려버리면 된다. 그리고 쓸 때는 그냥 가위로 숭덩숭덩 잘라서 국이나 반찬에 넣으면 만사해결.

단 쓰기 전에 녹이지 말고 그냥 언 상태에서 잘라 쓰는 것을 추천한다. 녹이면 파가 흐물흐물해져 손질하기도 곤란하고 진액도 다 빠져 버리기 때문. 단 이 이유로 무침과 같은 요리에는 언 파를 사용하는 것이 다소 곤란하고[8] 찌개에 맛을 낼 때 넣으면 된다. 볶음요리의 경우 냉동시킨 파는 애매하다. 제육볶음 등 양념 때문에 눅눅한 볶음요리는 상관없다.

하지만 물기가 없는 볶음요리[9] 등 물기를 날려야 하는 볶음요리 시에 냉동파를 쓰게 되면 요리를 망치게 된다. 파를 냉동하면 수분이 세포막을 뚫고 빠져나와 파 겉에 얼음 결정으로 맺히게 되는데, 이 때 다른 재료와 함께 가열하면 이 물기를 다른 재료가 머금거나 물이 되어 프라이팬 밑바닥에 고여 심한 경우 곤죽처럼 되버린다.

기름을 강하게 달군 후 냉동파부터 충분히 볶아 물기를 날리면 조금 낫지만, 이 방법은 2가지 단점이 있다. 하나는 파의 향을 향미유를 통한 방법으로만 살릴 수 있고 다른 하나는 파가 얇은 재료이다 보니 가장 먼저 볶으면 음식이 완성될 때 쯤 파만 새까맣게 탈 수 있다. 냉동파는 편리한 만큼 단점도 있으니 요리에 따라 신중하게 선택하자. 참고로, 요리에 들어가기 전에 파의 향과 맛을 살리는 가장 좋은 방법은 볕 좋은 곳에 이틀 정도 널어놨다가 요리 직전에 썰어서 사용하는 것. 수분이 줄어들어 아삭함이 살며 향과 맛도 다소간 응축된다.

1.5 전래 이야기

사람이 소로 보이는 마을이 있었는데, 파를 먹으니 나았다는 옛날 이야기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 동화가 "사람 먹는 나라"이다.

사람이 소로 보여 서로 잡아먹게 되는 마을이 있었다. 그 마을에 살던 어떤 사람이 동생을 소로 착각해 잡아먹고 절망해 마을을 떠났다. 수십 년 후에야 그 사람은 사람이 사람으로 보이는 마을을 찾았다. 마을 사람에게 물으니 파를 먹고 눈이 맑아졌다 했다. 그 사람은 기뻐하며 고향으로 돌아와 파를 심었으나 고향 친구들이 그 사람을 소로 보고 잡아먹어 버렸다. 시간이 흘러 심어놓은 파가 다 자라고, 파 향기에 이끌려 파를 먹게 된 마을 사람들은 눈이 맑아져 다시는 사람을 소로 보고 잡아먹는 일이 없게 되었다.

1.6 매체 속의 대파

한국 영화에서는 장바구니가 등장할 때, 썰지 않은 대파를 한 귀퉁이에 세워 꽂음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저 장바구니는 시장 본 물건으로 가득 차 있다"는 시각적 착각을 일으키도록 한다. 비슷한 클리셰로 서양 영화에서는 "장 본 종이봉지에 들어가 있는 썰지 않은 바게트"가 있다. 간혹 우유 1.5L짜리 팩을 넣기도 한다.

일본에는 '감기에 걸렸을 때는 목에 두르거나, 후장에 꽂으면 낫는다'충격과 공포의 민간요법이 있어서 만화의 개그 소재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파가 매운 거라서 그런가(...)[10] 짱구는 못말려에서도 짱구 할아버지가 몸살 난 짱구 아빠를 위해 구운 파를 수건으로 감아 목에 둘어주는 장면이 나온다. 그러면서 서정적인 음악이 흐르고 짱구 아빠는 "아버지께서 옛날에 저 어릴 적 이렇게 해주셨죠"라며 감상에 젖는다. 그밖에 빈민의 식탁에도 등장했고 은혼에서도 덕분에 곤도 이사오가 맨몸에 대파를 후장에 꽂고 눈밭으로 쫓겨난 전적이 있다. 마법선생 네기마에서는 주인공 네기 스프링필드가 자기 반 학생인 나바 치즈루에게 당했다.가면 라이더 더블의 소설판인 Z를 잇는 자에서 히다리 쇼타로도 웟치맨과 산타에게 시전당했다.[11]심지어 정글고의 이사장도 권영빈에게 시전한 적도 있다. 이봐…

남자나 여자의 검열삭제할 만한 부분을 꽂는 데에 쓰기도 한다. 만화 관련 동인지에서 주로 묘사된다. 다만, 실제로 꽂으면 무지 괴롭다. 특히 껍질 까고 즙 나올 때 꽂으면 입(맵다)이든, 항문(괴롭다)이든, 토마호크(아프다) 검열삭제(...)든 어디에 꽂아도 남녀 모두 무지하게 괴로우니 장난삼아라도 하지 말자.이걸 실제로 꽂으면 괴로운 걸 어떻게 알았...지? 매운건 통각이므로 아플 수 밖에 없다. 특히 점막의 경우 매우 민감한 곳으로 몸에 곧바로 흡수되는 곳이다. 마약흡입 방법을 생각해보길(...)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피부라 할지라도 매운거 잘못 바르면... 수학여행 가서 검열삭제에 치약같은 걸 끼얹혀 본 경험을 되살려보자. 싫어 하여튼 의사의 상담도 받지 않은 채 점막에 자극적인 것을 접촉시키는 것은 하등에 좋을 바가 없다. 애초에 야채 같은 거 꽂지 말고 멀쩡히 만들어진 도구를 써 줘 제발

투하트2코우사카 타마키루트에서는 코우노 타카아키의 이것에 대한 트라우마를 볼 수 있다.

하츠네 미쿠의 상징. 이유는 Ievan polkka하츄네 미쿠 때문. 미쿠의 이미지 컬러와 대파의 색깔이 비슷한 것도 한몫한 모양. 대놓고 초합금혼 미쿠 같은 피규어에는 대파가 장비로 동봉되어 있다(...) 야고코로 에이린도 들고 다닐 때가 있다. 정확히는 동인 캐릭터인 야고코로의 아이템. 사실 이것 이전부터 오야빙께서 '돈파치 소드'라며 들고 다니면서 무기로 사용했다. 그리고 진짜 무기이다. 대파가. 게다가 전설의 무기 중 하나이다.(...)

전국 바사라카타쿠라 코쥬로의 무기 중 하나도 대파. 게다가 이 양반은 특정 캐릭터 스토리모드[12]에서 적으로 만나면 이벤트 데모에서 아예 대파로 각성(?)하기도 한다.

백종원마이 리틀 텔레비전 방송에서 파에 대한 애정을 드러낸다. 자주 쓰는 설탕은 "난 설탕을 싫어한다. 많이 안 쓴다."라고 말하면서 파는 아낌없이 사용한다. 파스타를 집에서 소유진에게 해줄 때도 허브가 없으니 파를 허브라고 속여서 사용한 적도 있다.

포켓몬스터에서는 파오리의 전용 아이템으로 등장하며, 급소율을 2랭크 올려준다. 한편 애니메이션에선 파오리와 함께 먹으면 맛있다고 하는데, 파오리가 들고다니는 파와 같이 먹으면 꿀맛이라고 한다.

1.7 트리비아

뿌리가 살아있는 대파를 구입했다면 수중재배로 재탕 해먹을 수 있으나, 의외로 아는 사람이 얼마 없는 듯…. 뿌리가 살아있다면 몸통부분을 4~5cm 정도를 남기고 1.5리터 콜라 페트병의 상단부를 잘라낸 다음 뿌리가 잠길 정도의 물만 넣으면 된다. 물을 너무 많이 넣으면 뿌리가 숨을 못쉬고 줄기도 썩어버리니 물조절에 주의할 것. 본래 대파는 물빠짐이 좋은 곳에서 재배하는 작물이다. 여름에는 하루 한 번 겨울에는 이틀에 한 번씩 반드시 물갈이를 해 줘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고약한 냄새가 진동할 것이다.

그 이외에는 별다른 수고 없이 무럭무럭 자라서 1달 안에 처음과 같은 상태의 대파로 변신하는 기적(?)을 볼 수 있다. 관리만 잘 해주면 3번째도 가능하지만 재탕할 당시 영양분이 다 빨려나간 건지 비실거린다. 재탕만 하고 숨통을 끊어주는 인정을 배풀자. 그 귀찮음을 감수하고 수경재배를 하는 사람이 많을지는 모르겠지만

참고로 부추과의 식물들이 다 그렇듯이, 먹고 나면 속에서 냄새가 엄청나게 올라온다. 당사자는 자기 냄새니까 잘 모르지만 옆사람한테는 그야말로 화생방 수준의 고문이니, 식후에 곧바로 디저트를 먹거나 양치를 해서 냄새를 없애주는 센스가 필요하다. 호흡하면서 허파와 혈액에 섞여들어간 냄새도 있으니 잠깐 바람을 쐬며 껌 따위를 씹는 것도 좋다. 워낙 한국인이나 중국인 등 아시아인은 대파, 마늘 등의 냄새 나는 음식을 많이 먹다 보니 진짜 건강이 안 좋아 냄새가 심한 사람이 아니면 잘 못 느낀다지만 외국인에게는 꽤나 고역이라고 한다.

커피김치 국물이 튄 옷에 대파의 흰 뿌리 부분으로 즙을 내어 묻히고 하루정도 뜸을 들였다 물에 빨면 잘 지워진다. 양파즙으로도 가능하다.

한국 대파는 보통 잎 끝을 자르지 않는 것과 달리[13] 일본의 대파는 초록색 잎 끝부분을 잘라서 끝을 뭉뚝하게 해 두는 경우가 많다. 아마 잎 끝이 유통 과정에서 쉽게 손상되고 잘 시들다 보니 그런 모양. 파돌리기 송이나 하츠네 미쿠의 대파 형태가 끝이 각진 게 이 때문이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 진도 대파가 등록되어 있다.

2 방화벽 프로그램

NEGiES
http://ja.wikipedia.org/wiki/NEGiES
일본의 Windows 대응 방화벽 프로그램.
공식적인 명칭은 '네지에스' 지만, '네기', 혹은 '네기스'라고 읽는 것을 허용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OS땅 관련 팬픽에서 방화벽이라는 설정으로 자주 등장하는 편이다.

2005년 이후 업뎃이 중단되었으므로, 더이상 사용되지는 않는 네타 소재...이지만, 2005년 이전의 OS땅들에게는 여전히 위력을 발휘하는 물건.

그런 의미에서, 2005년 이후 등장한 OS땅에 파를 첨부하면 까이는 경우가 있으나, 그냥 이 경우엔 1번 의미에서 사용된 파라고 대충 둘러대면 된다.

3 大破(Heavy damage)

크게 깨지거나 부서짐. 또는 크게 쳐부숨. 보통 군함이나 요새, 그리고 가끔씩은 전차 따위가 손상되었을 때 사용된다. 손상의 정도에 따라 소파(小破, Minor damage) → 중파(中破, Moderate damage) → 대파(大破)→ 격침[14]식으로 급수가 올라가며 표기가 바뀌는 구조인데, 대파면 말 그대로 거의 사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파괴된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수리가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더라도 몇 년의 기간이 걸리거나 매우 특수한 재료나 기술이 필요하다는 등의 이유로 인해 대파된 물건은 다른 멀쩡한 물건으로 교체하며, 대파된 물건 자체는 보통 수리하지 않고 폐기하거나 쓸만한 부속만 떼내서 부품용으로 전환하게 된다. 다만 진주만 공습의 피해를 입은 전함들은 대부분 착저해서 대파급의 피해를 입었지만 대다수가 건져져서 수리되었다.

주인공 전용기의 대파는 강화 혹은 교체 플래그나 마찬가지다. 아니면 사망 플래그인데, 이는 전투중 대파를 당할 정도면 적의 방해가 없더라도 살아서 귀환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4 방언

영남 지방 방언 중에 "대파"라는 말이 있다. 식물 대파는 아니고, 그냥 이걸 감상하자. 자매 방언으로 "뜨사"가 있다.

  1. Welsh가 들어가지만 웨일즈와는 전혀 관계 없고 동아시아 원산이다. 다만 옆 각주에 설명된 리크는 정말로 웨일즈 상징이다(...)
  2. leek이란 식물은 파와 매우 비슷하지만, 종이 약간 다르다. 대파보다 흰 줄기가 굵고 잎이 겹겹이 나 있고, 흰 부분을 익히면 단맛이 강해진다. 파와 같은 부추속에 속한다.(Allium ampeloprasum var. porrum) 여담으로 리크를 쓰는 요리를 만들고 싶은데 구할 수 없다면, 대파가 아니라 양파를 쓰는 것이 음식 맛이 더 비슷하다고 한다.
  3. 중국 양파라는 뜻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반대로 '서양의 파'라는 뜻으로 양파라고 부르는 걸 생각하면 흥미로운 부분.
  4. 스페인 카탈루나 지방에 대파와 비슷한 칼솟이라는 채소가 있는데, 이 채소만으로 축제를 벌일 정도로 해당 지역에선 인기가 많다. 셰프끼리 시즌2 5화에 등장하여 국내에도 많이 알려졌다.
  5. 그래서 그런지 양파도 층을 나눠주는 속껍질은 파 못지않게 진액이 많고 미끄럽다.
  6. 흔히 락교로 불리우는 초절임에 쓰이는 채소
  7. 엄연히 국어사전에도 등록되어 있는 단어로, 식물의 성장을 돕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감자의 경우에는 물로 인해 색이 변하거나 썩는 것을 막기 위해) 흙을 긁어올려 뿌리나 밑줄기를 두둑하게 덮어주는 작업을 말한다.
  8. 단 파가 조금씩 들어가는 무침에는 상관 없다.
  9. 예컨대 중국식 볶음밥, 양저우 챠오판이라던가.
  10. 우리나라에도 대파로 감기를 치료하는 민간요법이 있다. 물론 어디에 꽂거나 하는 건 아니고 먹는 방법이다.
  11. 이 경우엔 신기하게도 나았는데, 아마 사건이 일어나는 동안 안정을 취한 것도 한 몫 한 듯. 본편에서는 테루이한테 입술을 뺏기더니
  12. 3연의 코바야카와 히데아키 시나리오 최종장
  13. 다만 대형 마트의 경우엔 잎 끝을 잘라서 유통하는 경우도 많다.
  14. "굉침"은 국어사전에는 있으나 국군에서 군사용어로 사용하지 않는 말이다. 쉽게 말해 싸제 용어다. 이 단어를 군사용어로 사용한 한자문화권 국가의 군대로는 일본군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