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권의 대중교통 | |||||||||||||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 |||||||||||||
철도 | 대구 도시철도 | ||||||||||||
버스 | 대구 시내버스 | 경산 시내버스 | 구미 시내버스 | 영천 시내버스 | 김천 시내버스 | ||||||||
칠곡 농어촌버스 | 성주 농어촌버스 | 청도 농어촌버스 | 창녕 농어촌버스 | 고령 농어촌버스 | |||||||||
공항 | 대구국제공항 |
동남권의 대중교통 | ||||||
캐시비 (마이비, 하나로카드) / 글로벌캐쉬 / 센스패스 | ||||||
철도 | 부산 도시철도 | |||||
버스 | 부산 시내버스 | 부산 마을버스 | 울산 시내/마을버스 | |||
창원 시내/마을버스 | 김해 시내버스 | 양산 시내/마을버스 | ||||
거제 시내버스 | 통영 시내버스 | 함안 농어촌버스 | ||||
창녕 농어촌버스 | 고성 농어촌버스 | 경주 시내버스 | ||||
공항 | 김해국제공항 | 울산공항 | ||||
관련 기업 | 부산교통공사 | 부산-김해경전철주식회사 | 한국철도공사 |
정식명칭 | 영신버스 주식회사 |
대표자명 | 김윤선 |
설립일 | 1979년 12월 28일 |
업종명 | 운수업 |
상장유무 | 비상장 |
기업규모 |
600px
창녕읍내순환버스
600px
합천군 청덕면 적교리에서 창녕군 영신버스터미널까지 가는 농어촌버스. 창녕의 대다수 농어촌버스가 영신버스터미널을 기종점으로 삼는다.
1 개요
경상남도 창녕군 및 창원시 일부구간(북면온천)을 운영하는 버스회사. 1979년에 설립되었으며 부산버스회사 영신여객(부산)와 서울버스회사 영신여객(서울)와 다르다[1]
차고지는 창녕읍 영신버스터미널과 남지에 남지시외버스정류장, 영산에 영산 영신버스터미널 등이 있다. (단, 시외버스 터미널과는 위치가 다르다.)[2]
2013년 이후부터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한 지역이다. 그리고 경상남도 공용 버스도색을 안쓰는 지역중 하나이다.[3]
1970년대까지는 창녕군 지역에 농어촌버스가 없어, 시외버스[4][5]에 의존하다가, 70년대말 '우리버스[6]'라는 이름의 회사가 창녕군내 농어촌버스 사업을 개시하여 이후 영신버스[7]로 이름이 바뀌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90년대 초까지는 신차출고 없이 부산, 마산 등지의 중고차로만 운영이 되었다.[8] 당시 도색은 부산, 마산의 구 도색을 그대로 썼다.[9] 창녕읍 영신버스터미널이 아닌 시외버스터미널 옆 현 CU 창녕에이스점 앞에서 출발하는 창녕읍내버스(25인승급)를 운행하기도 하였다.[10] 당시까지만 해도 창녕군 내 거주인구가 많았던 시절로, 아침/저녁차의 경우 통학/통근 수요로 만차가 되는 일이 많았으나, 이후 군내 인구감소에 따른 영업악화로 현재는 지원금으로 운영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단. 이 시점부터 차량을 자체 출고하고, 자체 도색을 운용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과거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참고로 경남 군 지역 업체 중에서 유일하게 저상버스 1대를 운행중이다.[11]
2 노선
1 창녕 ↔ 안심 창서, 왕산, 모전, 장기, 무솔, 십이리, 성산, 이천, 운봉, 연당, 성곡, 월곡 왕복 2~3회 안심 방면 2회
창녕 방면 3회
2 창녕 ↔ 가복 창서, 왕산, 모전, 장기, 무솔, 십이리, 성산, 이천, 운봉, 원동, 방리, 덕곡 왕복 2~3회 가복 방면 2회
창녕 방면 3회
3 창녕 ↔ 이방(옥야) 창서, 왕산, 모전, 장기, 무솔, 십이리, 신안, 평지, 퇴산, 옥산, 울기, 계동, 대곡, 구미 왕복 3회
4 창녕 ↔ 안심.가복 창서, 십이리, 이천, 운봉, 안심, 연화, 운봉, 방리, 덕곡 1회 가복 방면 편도 운행
5 창녕 ↔ 목단 창서, 왕산, 모전, 장기, 무솔, 십이리, 신안, 평지, 퇴산, 옥산, 용산, 유산, 용호 왕복 1회
6 창녕 ↔ 목단,월포 창서, 왕산, 모전, 장기, 무솔, 십이리, 신안, 평지, 퇴산, 옥산, 용산, 유산, 용호 왕복 2회
7 창녕 ↔ 월포 창서, 왕산, 모전, 장기, 무솔, 십이리, 대견, 월포, 합리, 신안 왕복 2회
8 창녕 ↔ 감리 도야, 고암(중대), 계팔, 신기 왕복 10회
9 감리 ↔ 청간 왕복 5회
10 창녕 ↔ 간적 도야, 고암(중대), 대암, 간상 왕복 3회
11 창녕 ↔ 원촌 도야, 하리 왕복 1~2회 원촌 방면 공휴일 1회 운휴
12 창녕 ↔ 상월 도야, 하리, 만촌, 원촌, 고암, 월미 왕복 3회
13 창녕 ↔ 이방(옥야) 대지, 월계(모전), 신당, 주매, 소목, 장재(우포늪), 우만, 내동, 옥야(죽전) 왕복 12~13회 상월 방면 12회
창녕 방면 13회
14 이방(옥야) ↔ 율원 장천, 우산, 율지, 학리, 병배, 장리 왕복 4회
15 이방(옥야) ↔ 적교 내동, 동산, 석리, 문방, 현창 왕복 2회
16 창녕 ↔ 적교 직신, 구미, 대대(우포늪), 마수원, 팔락정, 등대 왕복 10~11회 2회 우포늪 경유
적교 방면 막차 모곡까지 운행
17 창녕 ↔ 옥천(이방) 직신, 구미, 대대(우포늪), 마수원, 팔락정, 등대, 호포, 모곡 왕복 3~4회 옥천 방면 막차 적교까지 운행
18 창녕 ↔ 세진 귀동, 효정, 관동, 한터, 우포늪 왕복 3회
19 창녕 ↔ 창녕 용소, 세거리, 선소, 거마, 진창, 광산, 신구, 미구, 동정, 화영, 산지, 장가, 월명, 초곡, 석현, 화전, 퇴천 왕복 1~2회 용소 방면 1회
퇴천 방면 2회
20 창녕 ↔ 동정 용소, 세거리, 선소, 거마, 진창, 광산, 신구, 미구 왕복 1~2회 동정 방면 2회
창녕 방면 1회
21 창녕 ↔ 작달 축협 ,읍파, 청소년문화의집, 창성주유소, 석현,외부, 풍조, 신전 왕복 5~6회 작달 방면 공휴일 1회 운휴
22 창녕 ↔ 영산 퇴천, 화전, 석현, 장가, 산지, 화영, 장마, 관동 왕복 1회 장가 경유
23 창녕 ↔ 창녕 여초, 계성, 계전, 절산, 산지, 장가, 석현, 화전, 퇴천 1회
24 창녕 ↔ 옥천 퇴천, 여초, 신당, 계성(계교), 사리, 전평(노단이) 왕복 6회
25 창녕 ↔ 영산 여초, 계성, 계전, 광계, 절산, 장가, 산지, 화영, 장마, 관동 왕복 1회 절산 경유
26 창녕 ↔ 부곡 한성병원, 읍파, 경찰서, 청소년문화의집, 창녕중학교, 창성주유소, 퇴천, 여초, 화곡, 계교, 명리, 영산, 죽사2구, 덕곡 왕복 9~11회 부곡 방면 11회
창녕 방면 9회
27 창녕 ↔ 노리 퇴천, 여초, 계성, 명리, 영산, 덕곡, 부곡, 인교, 비봉, 구산, 학포 왕복 2회
28 창녕 ↔ 부곡 퇴천, 여초, 신당, 계교, 명리, 영산, 예리, 덕곡 왕복 1~2회 예리 경유
부곡 방면 1회
창녕 방면 2회
29 영산 ↔ 노리 덕곡, 부곡, 인교, 비봉, 구산, 학포 왕복 1~2회 노리 방면 1회
영산 방면 2회
30 부곡 ↔ 부곡 덕곡 ,부곡, 인교, 비봉, 학포, 노리 왕복 1회 노리 경유
31 부곡 ↔ 북면온천 수다, 인교, 수성, 비봉, 구산, 유산, 본포, 월계, 연동, 북면사무소 왕복 3회
32 영산 ↔ 부곡 예리, 덕곡, 부곡, 인교, 비봉, 구산, 학포, 노리, 본포, 인교 1회 바로 회차 후 부곡까지 운행
33 창녕 ↔ 상길 계성, 영산, 덕곡, 부곡, 온정, 임해진, 증산, 중길 왕복 1회 [12]
34 영산 ↔ 창녕 예리, 덕곡, 부곡, 임해진, 길곡, 상길, 덕곡, 예리, 영산 1회 창녕 방면 편도 운행
35 창녕 ↔ 영산 계성, 명리, 영산, 논리, 우강, 증산, 임해진, 온정, 부곡, 덕곡 왕복 2~3회 길곡 경유
영산 방면 3회
창녕 방면 2회
36 창녕 ↔ 창녕 계성, 명리, 영산, 논리, 우강, 신촌, 길곡, 청암, 온정, 부곡, 덕곡, 영산, 계성, 여초, 퇴천 1회 길곡 경유
창녕 방면 편도 운행
37 영산 ↔ 박진 관동, 장마, 동정, 고곡, 반포 왕복 4~5회 영산 방면 공휴일 1회 운휴
38 박진 ↔ 창녕 반포, 고곡, 동정, 장마, 관동, 영산, 계성, 여초, 퇴천 1회 영산 경유
창녕 방면 편도 운행
39 영산 ↔ 청단 관동, 장마, 동정, 고곡, 수개 왕복 3회
40 창녕 ↔ 남지 퇴천, 여초, 계성, 명리, 영산, 도천, 신제1,2구, 십자둑, 송진1,2구 왕복 7~8회 남지 방면 7회
창녕 방면 8회
41 영산 ↔ 남지 도천, 십자둑, 송진1,2구 왕복 1~2회 남지 방면 2회
영산 방면 1회
42 영산 ↔ 남지 봉산, 연포, 작포, 월령1구, 월령2구, 십자둑, 송진2구, 송진1구 왕복 3회 월령 경유
43 영산 ↔ 남지 신제3구, 1구, 2구, 상대포 왕복 1회
44 남지 ↔ 박진 상대포, 성사, 아지, 고곡, 청단, 반포 왕복 4회 박진 방면 1회 운행
나머지 청단까지만 운행
45 남지 ↔ 부곡 송진1구, 송진2구, 우강, 오호, 증산, 임해진, 온정 왕복 2~3회 부곡 방면 2회
남지 방면 3회
46 남지 ↔ 영산 송진2구, 우강, 길곡, 온정, 부곡, 덕곡 1회 길곡 경유
영산 방면 편도 운행
47 창녕 ↔ 환곡 신창여중, 창녕농협, 탐하 왕복 2회 길곡 경유
영산 방면 편도 운행
48 영산 ↔ 구계 왕복 3회
49 남지 ↔ 장마 상대포, 신전, 매전, 도동, 유리 왕복 3회
50 영산 ↔ 광계 월평 왕복 3회
- ↑ 한문이 다르다... 부산 영신은(榮信)이고 서울 영신은(株式)이며 창녕 영신은(靈信)이다.
- ↑ 창녕, 영산, 남지, 부곡에는 천일여객의 시외버스터미널이 별도로 존재한다.
- ↑ 경상남도 공용 버스도색을 안쓰는 다른 지역으로는 창원시, 밀양시, 고성군, 남해군, 산청군이 있다.
- ↑ 천일고속(천일여객)이 최초로 개업한 지역이 의외로 창녕이다. 93XX, 94XX가 현재도 창녕군 차적이다.
- ↑ 당시에 대구 서부정류장 출발, 현풍, 창녕, 영산, 수산, 진영, 김해 경유 부산 서부정류장(지금 자유시장 자리에 있었다)까지 비포장도로를 달리는 "장거리 완행버스"가 다녔다... 무시무시하다
- ↑ 현재 영신버스 전신으로 추정
- ↑ 의외로 회사명칭이 창녕이 아닌 영산靈山의 영자를 가져 왔다. 창녕昌寧의 녕자와 다르다.
- ↑ 80년대엔 부산(혹은 마산)시내에서 터미널까지 14번, 107번(마산은 별도 표기가 없었으니)을 타고 간 뒤, 시외버스 타고 창녕가서 영신버스 탔는데, 14번, 107번 출신 중고차를 다시 타는 일도 많았다고 한다.
- ↑ 그래서 당시 경상남도의 하늘색, 파란색 도색 이외에도 부산의 녹색도색까지 혼재해서 다녔다.
- ↑ 마을버스 방식으로 정류장 수가 많았다. 명덕로~종로 방면으로 운행하였다.
- ↑ 군 지역으로는 창원시내버스가 들어가는 함안군이 최초이다.
- ↑ 서울-부산 시내버스 여행의 창녕경유 루트를 이용할 수 없는 가장 큰 원인. 영신버스터미널에서 18시 20분에 출발하고, 이 차가 부곡쪽으로 가는 막차이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