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발칸 반도의 역사
유고슬라비아 왕국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크로아티아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슬로베니아 공화국
마케도니아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구성 공화국 목록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세르비아몬테네그로마케도니아
유고슬라비야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Socijalistička federativna republika Jugoslavija (세르보크로아트어)
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Федератив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마케도니아어)
Socialistična federativna republika Jugoslavija (슬로베니아어)
국기국장
1943년 ~ 1992년
표어Bratstvo i jedinstvo/
Братство и jединство
(형제애와 통일)
국가슬라브족이여
위치발칸 반도 일부.
수도베오그라드
정치체제일당제, 사회주의 연방제.
국가원수서기장→대통령→총리
언어세르보크로아트어
슬로베니아어
마케도니아어
종교세르비아 정교회
이슬람
가톨릭
개신교
주요사건1943년 건국
1992년 유고 내전 발발
1993년 연방 해체→멸망
통화유고슬라비아 디나르
성립 이전유고슬라비아 왕국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멸망 이후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마케도니아

1 개요

유고슬라비아 왕국제2차 세계대전 이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집권하였고 왕정이 폐지되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즉 유고슬라비아 연방이라는 이름의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티토는 유고 연방의 총리대통령으로서 여러 민족과 인종이 얽히고 설킨 유고슬라비아를 통치했다. 그런데 정작 사회주의 국가였으나 사회주의 국가의 맹주 소련과는 거리를 두고 독자노선을 추진하였다. 그 때문에 소련 중심의 공산권에 대항하던 서방에서 유고슬라비아에 많은 지원을 해 주기도 했다. 대체로 '유고슬라비아'라고 하면 이 국가를 말한다.

2 역사

냉전 시기에 유고 연방에는 소련의 영향력이 미치지 못했고, 이들은 독자적인 노선을 걸었다. 서유럽과 가깝고 풍광이 아름다운 아드리아 해에 면한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는 경제적으로 다른 공화국보다 부유했고 서유럽 문화가 유입되었는데 그에 비해 인구는 세르비아가 제일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낙후된 경제 탓에 군 입대가 많아서 연방군은 세르비아가 거의 장악하게 되었다. 동유럽 사회주의권 국가들 중 유일하게 유로비젼 송 콘테스트에 오랜 기간 참가했던 것은 물론 개최까지 했다. [1]

그러나 1980년 유고 연방을 안정적으로 통치해 오던 티토 대통령이 88세를 일기로 사망하면서, 티토의 영도 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었던 유고슬라비아의 기반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티토 사후 유고 연방의 정치권력 체제는 각 공화국 대통령이 번갈아 가면서 맡는 식의 집단 지도체제로 바뀌었으나, 사실상 세르비아 공화국의 연방 내 권력 독점으로 흘러갔고 결국 연방에서 힘 좀 쓰던 세르비아는 연방 내 다른 공화국들을 차별하기에 이른다. 이에 따라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민족 및 지역 갈등이 점점 고조되었다. 사실 티토 이전부터 세르비아계는 티토의 형제애와 일치 정책에 상당한 불만을 품고 있었고, 정치인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티토가 죽기 전부터 공공연하게 대세르비아주의 성향을 드러내어 여러 사람들에게 경계심을 부르고 있었다. 밀로셰비치는 1987년 세르비아 대통령에 등극한 뒤 정치공작을 감행하며 세르비아인의 감정에 불을 지피는 방식으로 시위를 조직해 몬테네그로와 보이보디나 지역의 고위층들을 자신의 심복으로 탈바꿈시켰고, 1988년에는 아예 1974년 제정 헌법을 무시하며 위헌적으로 헌법을 개정했다. 특히 코소보와 보이보디나 지역에 소요사태가 일어나자 이를 진압한다는 명목으로 두 주의 자치권을 박탈해 타 공화국이 반발했는데, 이 와중에 연방 대통령직을 신설하려 하면서 갈등이 고조되었다.

한편 경제적으로도 유고슬라비아는 1980년대 오일 쇼크의 여파를 극복하지 못했는데, 이후에 여러 번 외채를 탕감받았으나 여전히 200억 달러가 넘는 외채를 끌어안고 있었다. 또한 급속한 물가상승과 두 자릿수의 높은 실업률, 저성장으로 경제 위기를 겪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려는 노력은 남북 간 경제격차와 정치적 견해 차이로 인한 각 공화국 사이의 갈등으로(주로 인구가 많은 세르비아 VS 경제권을 쥐고 있는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의 구도였다.) 무위로 돌아가기 일쑤라 별 효과를 보지 못했다. 그 결과 경제 위기가 지속되면서 각 공화국 간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지식인들은 갈등을 진정시키기는 커녕 오히려 부추겼으며, 각 공화국의 지도층 또한 불만의 표적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경기 침체의 원인을 다른 공화국이나 민족에게 돌려 책임을 회피했다. 더 나아가 이들은 민족의 이익을 위해 열심히 일한다는 느낌을 줄 목적으로 다른 공화국을 향해 자극적인 발언을 일삼으며 자신들의 공화국 이익이 우선이라는 태도를 보였으며, 때문에 갈등은 더욱 고조된다.

그러던 중 1989년 동구권 각지의 공산정권이 속속 붕괴되면서 사회 각계에서 개혁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게 되었고, 이에 따라 유고 공산당도 대세에 따라 자연스레 일당 독재체제를 종식하기 위해 1990년 1월에 전당대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세르비아 대표단은 필리버스터를 발동했고, 슬로베니아 대표단이 퇴장당하는 사태가 벌어지자 크로아티아 대표단이 이에 격분하여 퇴장하면서 결국 반쪽자리 전당대회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후 각 공화국 별로 다당제 총선을 시행하는 가운데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간의 갈등이 여전히 지속되었고, 유고 연방은 국가 존속의 위기를 맞게 되었다. 대표적인 인물이 밀로셰비치였지만 다른 공화국의 지도자들도 이에 질세라 '평화 대신에 우리 민족의 독립' 운운하며 민족 간의 분열을 부추겼다. 보스니아 공화국만 해도 무슬림 지도자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가 공공연하게 보스니아를 독립시킬 수 있다면 전쟁도 불사하겠다는 강경 발언을 하여 세르비아계 국민들의 반발을 불러왔다.

결국 1991년 6월 25일 유고 연방의 여섯 공화국 중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가 유고 연방을 탈퇴, 각자 독립을 선언하면서 유고슬라비아 내전이 발발했고 연방의 붕괴가 시작되었다. 유고 연방의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하던 세르비아는 연방군 파견을 결정했고, 이로 인해 세르비아 중심의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과 연방에서 탈퇴한 슬로베니아 공화국, 크로아티아 공화국 사이에 전쟁이 터졌다. 한편 전쟁이 치열해져 가던 1991년 9월에는 남부의 마케도니아가 유고 연방에서 탈퇴, 분리 독립을 선언했고 이듬해인 1992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이 독립을 선언하면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완전히 무너지고 말았다. 갈라진 공화국들이 어떻게 되었는지 보려면 유고슬라비아 내전 문서 참조.

티토 정권 시기 부통령 및 고위 관료를 지냈던 밀로반 질라스 등 여러 인사들이 유고 연방의 분열을 필사적으로 막기 위해 전쟁을 중단하고 공화국끼리 서로 양보하여 통일을 유지할 것을 호소했지만, 실패로 돌아갔고 결국 질라스는 1995년 자신의 자택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게 되었다.[2]

3 언어

유고 연방을 이루던 국가들은 지역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동일한 언어가 사용되었으며, 한때는 이를 합쳐 세르보크로아티아어라고 불렀다. 서로 각자의 언어를 사용해도 대부분 소통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및 보스니아와 몬테네그로에 한정. 슬로베니아어는 크로아티아어와 계통상 가깝기는 하지만 의사소통에는 다소 지장이 있고, 마케도니아어 또한 불가리아어에 더 가깝기 때문에 원활한 소통에는 무리가 있다. 분열 이후 각 공화국이 정치적 이유로 스스로의 언어를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등으로 다르게 부르기 시작했고 20여 년이 흘러 점차 각자의 언어가 분화되어 가는 중이다. 큰 틀에서 놓고 보면 아직은 크게 지장이 있을 정도는 아니지만.

문자로는 로마자키릴 문자가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옛날 서로마 제국에 속했던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는 로마자를 사용한다.[3] 반면 동쪽 공화국들은 과거 동로마 제국의 영향을 받아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몬테네그로의 경우 로마자도 같이 사용하고 있으며, 독립 이후 로마자의 사용을 더욱 선호하는 추세다. 보스니아의 경우 동로마 제국 소속이었으나 로마자를 사용하는데, 정확히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 당시 이슬람교 문화권에 속하여 '아레비차(Arebica)'라는 이름의 아랍문자를 변형한 알파벳[4]을 오랫동안 써 오다가 20세기에 들어서 조금씩 라틴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1941년에야 아레비차를 완전히 폐지하고 로마자 정서법이 자리잡기 시작했다. 이후 역사의 기로에 설 때마다 자주 동방문화권과 서방문화권으로 편입되었던 까닭에 같은 언어를 씀에도 남보다도 못한 사이가 되었다.

4 외교 관계

4.1 한국과의 관계

유고슬라비아는 중립, 제3세계 국가였지만 대한민국과의 관계는 좋지 못했다.[5] 왜냐하면 1950년 한국전쟁UN미국이 발의했던 대한(對韓) 지원에 대해 반대를 했던 나라이기 때문이다. 반대를 하는 이유는 UN 상임이사국이었던 소련 때문이었다.

이 당시 소련은 주 UN 대사가 아예 불참하였으며 미국, 영국 등이 대한민국에 군사 및 물자원조를 발의하게 되자 자국 언론 등을 통해서 대한민국에 대한 군사 및 물자원조에 강력히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으며 즉각 이를 철회하라는 주장까지 폈던 적이 있다.

그로 인해 유고슬라비아도 대한민국에 대한 군사 및 물자 원조에 대해 반대했으며 급기야 대한 지원에 대한 투표에도 아예 기권 및 불참하는 등 대한민국에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다. 하지만, UN에서 공식적으로 비상임이사국이었던 유고슬라비아의 기권으로 인해[6] 오히려 다른 비상임이사국들도 서방세계의 대한 지원이 수월했던 것은 사실이다. 만약 유고슬라비아가 반대했다면 대한 지원은 많은 애로사항을 겪었을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대한 유고슬라비아의 속사정은 조금 복잡했다. 스탈린과 사이가 안 좋았던 티토는 코민포름에서 제명당한 직후 UN의 비상임이사국으로 뽑힐 때도 소련의 반대를 미국과 영국의 지원으로 타개했을 정도로 공산권과 거리를 두었다. 심지어, 한국전쟁에 대해 북한이 주장한 북침설(대한민국 국군이 먼저 38선을 넘었다는 것)을 유고슬라비아 언론에서 조롱했을 정도다.

# 이런 상태에서 비상임이사국에 오른 유고슬라비아는 굳이 서방 측에 빌미를 제공할 생각이 없었고, 그렇다고 소련이 중심이 된 동구권에 찬성할 생각도 없었다. 서방과 공산권 양쪽에서 의견을 낼 때마다 기권을 했다. 동구권은 말할 필요도 없이 유고슬라비아에 대해 비난을 했다.

사실, 소련은 한국전쟁이 끝나면 곧바로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국가를 내세워 유고슬라비아를 침공하려고 했다. 그러나, 맥아더인천 상륙작전의 성공과 북진을 보고 취소했다. 여전히 말 안 듣는 티토의 유고슬라비아는 소련에게 있어 골칫거리였고 침공계획을 세우지만 이를 알게 된 유고슬라비아는 전쟁이 있을 경우 미국과 함께 소련에 맞서 싸우겠다고 주장한다. 미국과 영국은 대놓고 말은 못했지만 유고슬라비아를 몰래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으며, 심지어 소련과 전쟁을 하려고 했다.

소련과 유고슬라비아의 반대와 기권에도 불구하고 UN의 대한 지원은 결국 통과되어 이들을 제외한 당시 UN 회원국 52개국이 대한민국 지원의사를 표명하게 되었고 21개국이 전투 및 의료지원 의사를 표명하였다. 1971년에 북한과 단독 수교하였으나 1989년에 대한민국과도 수교하였다. 이후의 한국과의 관계 부분은 세르비아 항목을 참고.

5 여담

유고슬라비아의 특성과 다양성을 규정하던 것이 이른바 '1234567 국가'라는 얘기가 있었다.
||

1개의 연방국가,
2개의 문자(로마자키릴 문자),
3개의 종교(로마 가톨릭교, 그리스 정교, 이슬람),
4개의 언어(세르보-크로아티아어, 슬로베니아어, 마케도니아어, 알바니아어),
5개의 민족(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마케도니아인, 알바니아인),[7]
6개의 연방 구성국(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
7개의 접경국가(이탈리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그리스, 알바니아)
  1. 폴란드, 체코,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은 냉전이 종식되고 소련이 해체되면서 유로비젼 송 콘테스트에 참가할 수 있었다.
  2. 사인이 심장마비 및 노환이었다는 세르비아 측의 공식발표가 있었으나 확실히 밝혀진 것은 없다.
  3. 현재 쓰이는 문자는 류데비트 가이라는 사람이 1835년에 보완한 것이다.
  4. 아랍 문자에서 유래한 문자들 중 유일하게 완전한 모음자가 존재하는 형태이기도 하다.
  5. 대부분의 제3세계 국가들은 자유진영, 친미, 친서방 진영의 국가들보다는 공산권과 좀더 친한 편이었다. 오히려 유고슬라비아는 서방세계 국가들과 관계가 좋은 편이었다.
  6. 반대와 기권은 엄연히 다르다.
  7. 몬테네그로인과 보스니아인이 빠졌다. 세르비아인과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세르비아-몬테네그로인 또는 세르비아인으로 분류했던 모양이다. 덧붙여서 세르비아 북부에 위치한 보이보디나 자치주에는 헝가리인, 슬로바키아인, 루마니아인, 루신인 등 수많은 소수민족이 있다. 하지만 중심 민족 정도는 아니니 크게 상관은 없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