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이 항목은 호위함 또는 프리깃을 배수량 순으로 기입하는 항목이다. 일본의 군함들은 한문으로는 호위함이라 칭하지만 영문 분류에서는 구축함(DD/DDG/DDH)으로 분류하고 있기에 구축함 항목에 기입한다. 제1차 세계대전 이전 에 호위함은 전열함 바로 아래 단계였다. 1980년대, 미국에서는 배수량이 매우 큰 대형프리깃들이 존재했다. 이후 1980년대 후반기에는 장갑호위함이란 물건도 등장한다. 제1차 세계대전 ~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전세계적으로 호위함은 구축함 아래 단계로 정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미국만은 선도구축함(DL)이란 고유한 등급을 만들고 그것들을 등급과는 별개로 프리깃이라고 칭한다. 그러나 미국에서 1975년 순양함 격차 논쟁이 벌어지면서 선도구축함(DL)이란 등급은 사라지고 기존의 선도구축함들은 방공순양함(CG)으로 이동한다. 거기에 보통 구축함 보다 낮은 단계로 인식되고 초계함, 호위함과 동급으로 인식되던 호위구축함(DE)을 호위함(FF)으로 전량 이동시킨다. 1970년대 ~ 2000년대까지 호위함은 구축함 보다 배수량이 낮은 단계의 배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유럽(특히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을 중심으로 과거 구축함으로 인식되던 물건들도 호위함으로 칭하기 시작한다. 이것은 구축함에도 벌어지는 현상이었다. 2008년 3월, 일본은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1만톤이 넘어가는 순양함급에 해당하는 함정을 구축함으로 부른다. 여기에 자극을 받았는지 미국, 한국도 1만톤이 넘어가는 전투수상함을 구축함으로 명명하며 동참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일본은 2009년 3월 18일에는 2만톤 달하는 헬기항모를 2015년 8월 7일에는 3만톤에 달하는 경항모 또는 헬기항모를 구축함(DDH)으로 취역시키며 분류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 이것을 아시아권 한정으로 호위함으로 발표하지만 함번을 구분하는 영문에서는 구축함으로 분류된다. 국내 언론 등에서는 일부 일본의 이런 표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이것들은 호위함으로 부르고 있다.[1] 하지만 정확하게 분류하자면 이 물건들은 국제적으로 영문의 표기를 따르는 구축함(DD/DDG/DDH)[2]이기에 이 항목에서 제외된다. 물론 이것들 중 상위체급의 것들은 국제적인 표준[3]에서 정확하게 비교하자면 항공모함[4], 헬기항모나 순양함이 맞다. 전체적으로 구축함은 호위함의 상위체급이란 인식이 강하게 정착되어 있다. 때문에 각국의 군함등급을 보면 대략적으로 구축함 보다는 호위함이 배수량 면에서 하위체급에 분포한다.
2.1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2.2 5,000톤 이상 ~ 8,000톤 미만
2.3 8,000톤 이상 ~ 1만톤 미만
3.1 1,500톤 이상 ~ 2,000톤 미만
3.2 2,000톤 이상 ~ 3,000톤 미만
4.1 1,500톤 이상 ~ 2,000톤 미만: 제2차세계대전 당시 호위함 배수량
4.2 2,000톤 이상 ~ 3,000톤 미만: 일반적인 하위체급 호위함 배수량
제조 국가/운용국 | 이름/급 | 만재 배수량 | 기준 배수량 | 최대 방공망 | 취역 |
중화인민공화국 | 장웨이급 | 2,393톤 | 2,250톤 | 8km ~ 15km | 2009년 9월 19일 |
대한민국 | 울산급 | 2,180톤 ~ 2,350톤 | 1,500톤 | 5km | 1981년 1월 1일 |
벨기에/불가리아 | 윌루에겐급 | 2,350톤[22] | 1,850톤 | 20km | 1976년 ~ 2005년 |
영국 | 16식 대잠호위함[23] | 2,300톤 | 1,800톤 | | 1951년 |
대한민국/방글라데시 | BNS 방가반두 | 2,370톤 | 12km | 2001년 6월 20일 |
영국 | 61식 솔즈베리급 호위함[24] | 2,400톤 | 2,170톤 | | 1957년 2월 27일 |
영국/방글라데시/인도 | 41식 레퍼드급 호위함[25] | 2,560톤 | 2,337톤 | | 1957년 ~ 1978년 |
영국/뉴질랜드/인도 | 12식 휘트비급 호위함[26] | 2,600톤 | 2,185톤 | | 1956년 5월 10일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 15식 호위함[27] | 2,743톤 | 2,337톤 | | 1951년 |
터키/독일 | 퀼른급 | 2,750톤 | | | 1961년 4월 15일 |
프랑스 | 프로레알급 | 2,950톤 | 2,600톤 | | 1992년 5월 27일 |
인도 공화국 | 닐기리급 | 2,962톤 | | 3km | 1972년 6월 23일 |
이탈리아 | 루포급 | 2,986톤 | | 20km | 1977년7월 20일 |
일본 | 아부쿠마급 | 2,900톤 | | 5km 미만 | 1989년12월 12일 |
대한민국 | 인천급 Batch-1 | 2,800톤 ~ 3,000톤 | | 10km 미만 | 2013년 |
대한민국 | 대구급(인천급 Batch-2) | 2,800톤 ~ 3,000톤 | | 20km | 2017년 |
4.3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일반적인 상위체급 호위함 배수량
제조 국가/운용국 | 이름/급 | 만재 배수량 | 기준 배수량 | 최대 방공망 | 취역 |
이탈리아 | 마에스트랄레급 | 3,040톤 | | 20km ~ 40km | 1982년 3월 7일 |
싱가포르/프랑스 | 포미더블급 | 3,200톤 | | 30km ~ 120km | 2007년 5월 5일 |
프랑스 | 라파예트급 | 3,600톤 | 3,200톤 | 11km ~ 16km | 1996년 3월 22일 |
중화민국 | 캉딩급 | 3,600톤 | 3,200톤 | 11km ~ 16km | 1996년 6월 |
호주/뉴질랜드 | 안작급 | 3,600톤 | | 20km ~ 50km | 1996년 5월 18일 |
브라질 | 니테로이급[28] | 3,707톤 | 3,355톤 | 20km ~ 40km | 1976년 11월 20일 |
네덜란드/칠레 | 야콥 반 헴스케르크급[29] | 3,750톤 | 3,000톤 | 38km 미만 | 1986년 ~ 2009년 |
독일 | 브레멘급 | 3,750톤[30] | 2,900톤 | 20km | 1982년 5월 7일 |
독일/그리스 | 히드라급 | 4,000톤[31] | 3,360톤 | 50km | 1992년 11월 12일 |
러시아 |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 4,035톤 | | 30km | 2013년 10월 |
인도 공화국 | 탈와르급 | 4,035톤 | | 30km | 2003년 6월 18일 |
호주 | 애들레이드급[32] | 4,100톤 | | 38km | 1980년 11월 15일 |
미국 |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 4,200톤 | | 38km | 1977년 |
중화인민공화국 | 장카이급 | 4,300톤 | | 50km | 2005년 2월 |
러시아 |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 4,500톤 | | 50km | 2013년 |
프랑스 | 조르쥬 레그급 | 4,500톤 | 3,550톤 | 11km ~ 16km | 1979년 12월 10일 |
캐나다 | 핼리팩스급 | 4,770톤 | | 50km | 1992년 6월 29일 |
영국 | 23형 호위함 | 4,900톤 | | 10km | 1990년 6월 1일 |
프랑스 | 카사드급 | 4,950톤 | | 38km | 1988년 |
4.4 5,000톤 이상 ~ 8,000톤 미만: 일반적인 구축함 배수량
5 관련 항목
-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6415959
-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73414
- ↑ 여기서 말하는 국제적인 표준은 가장 많이 선호하거나 분포되어 있는 기준을 말한다. 물론 이것들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다. 하지만 암묵적이거나 통상적으로 구분되는 기준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의 헬기구축함의 경우 타국에서는 100% 항공모함이나 헬기모함으로 분류되는 물건이다. 그것은 웰도크도 없어서 강습상륙함도 절대 구분할 수 없는 물건이다. 통상 헬기나 항공기가 착륙할 수 있는 갑판에 웰도크가 추가돼야 강습상륙함으로 분류된다. 웰도크가 제외된다면 좋게 봐야 헬기항모나 LHA이다. 자세한 내용은 헬기항모 항목 참조.
-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09&aid=0003027623
- ↑ http://en.wikipedia.org/wiki/Ister_class_frigate
- ↑ 브리스톨급 스크류 호위함
- ↑ HMS 랄레이 스크류 호위함(1873년)
- ↑ HMS 인칸스턴트 스크류 호위함(1868년)
- ↑ HMS 샤급 스크류 호위함(1873년)
- ↑ http://en.wikipedia.org/wiki/Sachsen-class_ironclad
- ↑ http://en.wikipedia.org/wiki/Kaiser-class_ironclad
- ↑ http://en.wikipedia.org/wiki/Warrior-class_ironclad
- ↑ http://en.wikipedia.org/wiki/Colony_class_frigate
- ↑ http://en.wikipedia.org/wiki/Captain_class_frigate
- ↑ http://en.wikipedia.org/wiki/Loch_class_frigate
- ↑ http://en.wikipedia.org/wiki/Asheville-class_frigate
- ↑ http://cs.wikipedia.org/wiki/T%C5%99%C3%ADda_Loch
- ↑ http://en.wikipedia.org/wiki/Tacoma_class_frigate
- ↑ http://blog.daum.net/our-21c-park/13057708
- ↑ http://en.wikipedia.org/wiki/Bay-class_frigate
- ↑ http://fa.wikipedia.org/wiki/%D9%86%D8%A7%D9%88%DA%86%D9%87_%DA%A9%D9%84%D8%A7%D8%B3_%D8%A7%D9%84%D9%88%D9%86%D8%AF
- ↑ http://nl.wikipedia.org/wiki/Wielingenklasse
- ↑ http://en.wikipedia.org/wiki/Type_16_frigate
- ↑ http://en.wikipedia.org/wiki/Salisbury_class_frigate
- ↑ http://en.wikipedia.org/wiki/Leopard_class_frigate
- ↑ http://en.wikipedia.org/wiki/Whitby_class_frigate
- ↑ http://en.wikipedia.org/wiki/Bay-class_frigate
- ↑ http://en.wikipedia.org/wiki/Niteroi_class_frigate
- ↑ http://en.wikipedia.org/wiki/Jacob_van_Heemskerck_class_frigate
- ↑ http://it.wikipedia.org/wiki/Classe_Bremen_(fregata)
- ↑ http://en.wikipedia.org/wiki/Hydra_class_frigate
- ↑ http://en.wikipedia.org/wiki/Adelaide_class_frigate
- ↑ http://en.wikipedia.org/wiki/Shivalik_class_frig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