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룬베이얼

중국어 간체:呼伦贝尔市
영어:Hulunbuir
몽골어:Хөлөнбуйр (Khölönbuir, 훌릉보이르)

파일:500px-Hulunbeier-map.png

1 개요

세계에서 면적으로 가장 큰 도시.

후룬베이얼 시는 중국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한다. 물론 이름만 "시"이지 실제로는 그냥 초원에 아주 작은 시가지들이 있는 명목상 "시"이다... 어쨌든 "시"는 "시"인데, 면적은 263,953 km2한반도보다 넓고, 인구는 2,549,278 명으로 대구광역시 만하다. 그러나 대구광역시 면적 883.63km2와는 차원이 다른 263,953 km2라는 게 문제지... 가히 대륙의 기상이라고 할만하다. 사실 중화민국 시절급 행정구역인 흥안성(興安省, 싱안 성)과 영역이 거의 일치한다(...)

2 인구밀도

한국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낮은 강원도도 91명/km2인데(그것도 대부분 이 차지함.) 후룬베이얼은 그것보다 훨씬 낮은 10명/km2이다. 게다가 남한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낮은 인제군도 인구밀도가 20.3명/km2이고 북한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낮은 랑림군도 17.7km2 정도로 여기보단 높다(...)

물론 주취안, 르까쩌 시가 인구밀도는 더 적은데 주취안은 인구밀도가 6, 르까쩌 시는 3.7에 불과하다.[1] 물론 그 누구도 해외의 캐나다가이아나, 프랑스령 기아나나미비아, 수리남보츠와나, 호주아이슬란드, 모리타니리비아, 그린란드몽골 본토, 서사하라알래스카, 포클랜드 제도얀마웬 섬 그리고 핏케언 제도의 인구밀도는 이길 수 없다.[2] 애초에 거긴 속령, 국가로 도시와는 완전 다르잖아(...)

3 역사

예부터 유목민몽골인들이 이곳에 살았었다. 원나라가 패망한 뒤 북원이 이 곳을 중심으로 내몽골만주 북부에 걸쳐 세워졌다가 청태종때 복속되었다. 물론 청나라 때조차도 변경이어서 유목 생활이 계속되었으나, 만주 사변 이후 일본 제국괴뢰국 만주국이 다스리게 되었다. 1969년 대부분이 헤이룽장 성에 넘어갔다가 10년 뒤인 1979년 내몽골 자치구로 돌아오게 되었다.

4 민족

한족이 81.85%, 몽골인이 8.6%, 만주족이 4.13% 정도이다. 그 외의 기타도 많다.

5 주요 시할구, 현급시

5.1 하이라얼 구

海拉尔区 / Хайлаар дүүрэг(핼라르 구). 시할구.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256,000 명으로 이전에는 만저우리 시를 넘었지만 지금은 인구가 더 적다. 면적은 1,440 km2로 한국의 광역시들을 모두 뛰어넘는다.

5.2 자라이눠얼 구

扎赉诺尔区 / Жалайнуур дүүрэг(잘래노르 구). 만저우리 시의 일부였으나 2013년 분리되었다.

5.3 만저우리 시

满洲里市 / Манжуур хот(망조르 시). 행정구역 상으로는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 시 만저우리 시. 러시아와의 국경 지대로 무역이 활발한 데다 도 흘러서 인구는 2010년 기준 300,000 명이나 된다. 이전에는 하이라얼 구에 밀렸지만 지금은 시할구인 하이라얼 구를 뛰어넘었다. 면적은 696.3 km2로 하이라얼 구보다 작다.

5.4 야커스 시

牙克石市 / Ягши хот(약시 시). 큰 도시 속의 큰 도시 인구는 391,627 명으로 매우 많아 보이지만 면적이 27,590 km2로 만저우리 시, 하이라얼 구보다 훨씬 넓다. 인구 밀도가 겨우 14로 한반도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랑림군이 17.7인 것보다도 적다.

5.5 자란툰 시

扎兰屯市 / Жалан-Айл хот(잘릉앨 시). 면적 16.800 km2, 인구 450,000 명으로 야커스 시보다야 덜하지만 인구밀도가 매우 낮은 편.

5.6 어얼구나 시

额尔古纳市 / Эргүнэ хот(이르군 시). 면적 28,400 km2, 인구 85,162로 어떻게 현급시가 된 것인지조차 의문이다(...)

5.7 건허 시

根河市 / Гэгээнгол хот(기겡걸 시). 면적 19,659km2, 인구 11만 명.

5.8 기타

그 외에도 시와 구는 아니지만 동급인 기와 자치기 등의 행정구역이 있다.
  1. 사실 이건 어찌 보면 당연한게, 후룬베이얼은 많은 지역이 초원지대라 도시가 아닌 시골지대에서도 사람들이 유목을 해서라도 살 수 있지만 주취안과 르까쩌는 각각 사막과 고산지대가 대부분이라 그것도 힘들다.
  2. 실제로 그렇다(...) 특히 캐나다와 호주는 G15에 모두 듦에도 불구하고 고산 지대 티베트의 르까쩌 시를 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