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06

서울특별시 7권역 간선버스
700701702703704705706707
710720721740750§751752753
760771
† : 주간선노선 / § : 공동배차 노선
파일:서울706-5762.jpg

2014년 8월 촬영. (서울역버스환승센터)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06번
기점경기도 파주시 교하동(교하동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서울역버스환승센터)
종점행첫차04:30기점행첫차06:20
막차00:30막차02:20
평일배차13~20분주말배차18~25분
운수사명제일여객인가대수23대(예비 1대)
노선교하동차고지 - 운정신도시 - 탄현역 - 대진고교 - 후곡마을 - 일산동구청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화정지구 - 원당역 - 창릉동주민센터 - 한국지역난방공사(삼송지사) - 구파발네거리 - 연신내역 - 불광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영천시장 → 서대문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서울특별시청 → 광화문역 → 경복궁역 → 독립문역 → 이후 역순

2 개요

제일여객에서 운영하는 간선버스 노선이며, 왕복 운행거리는 99.5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907번 도시형버스(다율리 - 서울역)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 체계 개편 때 광역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9711번으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기존 가스차량은 경기신성(90, 150, 773)과 자사 소속 다른 노선으로 보내버리고 거기서 다니던 좌석버스로 운행하게 되었다. 왜 광역버스로 바뀐 걸까?[1]
  • 그러나 당연히도 수요가 줄면서 2004년 12월에 간선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706번으로 바뀌었다. 이 때 기존 차량들은 9703번으로 넘어갔고 당시 9703번에 다니던 1994년식 AC540 대차분으로 입석차량을 들어왔다는 소문이 있다.
  • 다율리차고지가 폐쇄되면서 2014년 1월 9일에 새 차고지인 신성교하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 노선 연장으로 인해 왕복 운행 거리가 100km를 넘게 되자 제일여객의 요구대로 운정신도시 구간을 직선화하려 했지만, 파주시에서는 당연히 동의하지 않았다.
  • 결국 서울시에서는 아예 2014년 2월 3일부터 파주시로 들어가지 않게 하려 했으나, 역시나 파주시와 운정신도시 주민들의 반대가 심했다. 관련 기사 이로 인해 단축이 2월 17일로 연기되었다. 관련 게시물
  • 연기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될 리 없었고, 결국 서울시와 파주시, 그리고 운정연합회와 재협상 끝에 단축을 철회하고 운정동 구간을 직선화하는 걸로 합의해 2014년 3월 6일에 지산중을 거쳐 일직선으로 내려가도록 변경되었다.
  • 2014년에 신성운송그룹이 전반적으로 경영이 어려워지면서, 신성교하차고지에 있던 CNG충전소 이용료가 체납되었고 설상가상으로 충전기 부품도 고장나 차량들이 운행 중간에 진관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하는 불편을 겪기도 했다.
  • 운정신도시 3지구 택지개발사업 조성공사로 인해 도로가 폐쇄되면서 2015년 11월 1일부터 다락골과 다율교차로를 거치지 않고 우회하게 되었다. 관련 공문

4 특징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가장 길며, 소요시간도 제일 긴 시내버스이다. 편도 소요시간은 약 2시간 반~3시간이며, 왕복 130km 가까이 나오는 안성 37번 등보다는 노선이 짧지만 교통흐름이 좋지 못한 시내를 많이 거치다 보니 소요시간은 37번보다 훨씬 길다.
  • 2000번과 기종점이 같지만, 통일로로 가기 때문에 노선은 많이 다르다. 교하동에서 이마트덕이점(덕이차고지)까지 거의 비슷하지만[3] 일산신도시 일부 구간이 다르고[4] 덕양구로 들어오자마자 방향을 북쪽으로 틀어 화정지구와 연신내역, 통일로를 거쳐 서울역으로 진입한다.
  • 이 노선은 교하신도시에 진입하지 않는다. 노선 이용시 주의해야 한다.
  • 아울러 이 노선은 신 교하동차고지에서 산내마을6, 8단지 구간 사이의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하니 주의해야 한다. 대체노선은 같이 사는 경기도 버스 이용.
  • 최장거리여서 차량 소모가 꽤 있을 법하지만, 이 노선에는 모두 저상버스가 운행 중이다. 2014년 8월 이전에는 고상차량 1대가 예비차량이었다가 신형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 지금 보고 있는 위의 사진 그리고 대곡역에서 꽤 밟는다고 한다.
  • 파주시 - 고양시 - 서울특별시 세 도시를 지나는 간선노선이다. 그것도 직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엄청난 운행구간 길이를 지니게 되었고, 무려 왕복 99.5km라는 초월적인 길이를 자랑한다. 간선버스 중에서도 가장 긴 거리를 자랑했으나, 운정신도시 구간이 개편 및 차고지가 이전되면서 더더욱 길어져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중 최장거리 단돈 1,200원으로 최고 뽕 뽑는 본전노선이 되었다. 그 이전에는 9711A번이 근소하게 앞섰으나, 노선 변경으로 706번이 최장거리 노선의 위치를 차지하였다.
  • 서울특별시 심야버스인 N37번과는 동산삼거리 ~ 영천시장 구간이 겹친다. 게다가 이 노선은 N37번보다 저렴한 1,200원[5]을 받고 더 빨리 운행된다. 막차는 위의 표를 참고

4.1 심야버스

요약하자면, 24시간 운행 노선이다. 서울 버스 N70번이라 카더라 막차가 교하동차고지에서 자정을 넘겨서 12시 30분에 출발하기 때문에 심야버스의 역할을 맡고 있기도 하다. 심지어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 2시 20분까지 차가 있다.[6] 그리고 교하동차고지로 706번의 막차가 도착하는 시간은 대략 새벽 4시 조금 넘은 시간에 돌아온다.

지하철과 버스가 끊겼다면 이 버스를 타고 시내로 들어가서 택시를 타도록 하자.[7] 버스가 구원자같은 기분이 들 것이다.

하지만 심야에 서울역에서 하남이나 분당으로 가는 심야버스로 환승하고 싶다면 되도록이면 막전차를 타는 걸 권장하며, 대리기사들도 이것은 다 알고 있다. 막차가 서울역에 오면 서울특별시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인 N15[8], N16번, N30번 외의 버스는 운행 종료강남대로 간다면 운정 및 일산에서 본 노선 막차를 타고 통일로 구간(구파발역 구간 제외)에서 N37번으로 환승하면 된다.

4.2 기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중 드물게 방송에 나간 적이 있었다. KBS 2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인 다큐멘터리 3일에 메인 소재로 등장했다. 이 버스 외에는 본격 대학 투어 버스인 273번이 같은 방송에 나온 바 있다.

덤으로 tvN화성인 바이러스에서 버스폐인 화성인이 전체 정류장을 다 외운 노선이기도 하다.

사족으로 신성제일의 다른 차량들에 비해 차량 관리가 나름 좋다. 실제로 문산영업소나 금촌영업소 차량을 타다가 이 차 타면...상대적으로 관리는 평균 이상인 듯하다.[9]

버스 동호인들의 노선 답사가 잦은지 교하 차고지에서 이 버스를 탈 경우 손님도 광화문 가냐고 물어본다.(...)[10]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3호선과의 연계성이 끝내준다

  1. 이는 당시 시계외 구간 제한 때문이라는 견해도 있다.
  2. 706번과 달리 중앙로를 쭉 따라가면서 대화역과 마두역을 거쳐 갔다.
  3. 2000번은 교하택지지구 한 바퀴 돌고 그 다음에 운정신도시를 또 한 바퀴 돈다.
  4. 2000번고양 BRT를 풀 코스로 타지만, 이 노선은 중간에 딴 데 들렀다가 오기도 하고... 결정적으로 대곡역을 넘어가면서부터 더 이상 고양 BRT로 가지 않는다.
  5. 성인 교통카드 이용 기준.
  6. 경기광주 버스 1005-1, 경기광주 버스 9301과 706번은 환승센터에서 2시, 9709번9714번은 숭례문에서 2시에 막차가 출발한다.
  7. 영등포에서 9707번 막차를 타고 일산으로 들어오는 사람들은 백석역, 일산동구청에서 이 노선의 막차를 노릴 수 있다.
  8. 이 노선을 통해 경진여객 7770번을 타고 평일에 수원까지 이동할 수 있다.
  9. 진관동이나 부곡리도 괜찮은 편이다.하지만 진관동 사는 어느 노선의 저상버스를 타면 손잡이가 에휴
  10. 기점이 교하차고지이지만 여기서 타는 승객은 매우 드물다고 한다.
  11. 유화프라자 하차
  12. 구파발역입구 정류장에 하차해야 한다. 단, 접근성이 롯데몰 공사로 인해 심히 좋지 못하다.
  13. 적선동주민센터 하차 (회차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