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경산시
1 철도
1.1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
경산역 전경.
관내 철도역은 다음과 같다. 경부선의 경우 경산역, 삼성역이 있다. 그러나 삼성역은 여객 취급을 중단하였다. 경산역에서 1일 2회 구포역 경유 경부선 KTX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시간대가 아닌 경우는 서울로 갈 때 동대구역까지 일반열차나 경산시 시내버스 등으로 이동한 다음 동대구역에서 KTX를 이용한다. 경산역의 경우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시지지구 주민들이 부산광역시 등지로 갈 때 동대구역 대신 이용한다.
대구선의 경우 하양역, 청천역이 있다. 그러나 청천역은 여객 취급을 하지 않는다. 하양역은 경산시 북부 주민들이 안동시, 영주시 등 경상북도 북부 일부 지역이나 경주시, 울산광역시 등지로 갈 때 이용한다.
1.2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2012년 9월 19일 영남대역까지 연장 개통하여 영업하고 있다.
또한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하양역 연장이 2014년에 확정되어 2016년에 착공, 2020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대구선의 복선 전철화 및 선로 이설이 끝나면 버려지게 될 청천역~하양역 기존 선로를 이관받아 활용하기 때문에 도시철도 전동차가 대구선 하양역까지 운행될 예정이며, 통합 역사를 신축한다.계양역? 그리고 대구권에서 보기 어려운 두단식으로 만든다고 한다.
또한 대구권 광역철도의 1차구간 시종점이 경산역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역 내에도 관련 부지가 존재한다.
2 버스
2.1 시외버스
고속버스는 아예 없고 시외버스만 있다.
경산시외버스터미널은 노선이 4개만 있다. 동서울[1], 경주, 울산, 포항 등이다. 이 중 경주, 울산행 노선은 영남대 정류소, 진량 정류소 등에 중간 정차한 다음 경부고속도로 경산IC로 진입한다.
하양시외버스터미널은 대구가톨릭대학교 정문 인근 하양우방타운3차아파트 건너편에 있는 버스 터미널이다. 운행 노선으로는 경주, 포항, 울산광역시, 영천, 울진, 구미, 김천 등이 있으나, 편수가 많은 곳은 경주, 포항, 울산, 구미 정도이다. 규모가 상당히 작은 터미널로 경산시외버스터미널처럼 철도로 운행하기 곤란한 지역들의 편수가 많다. 예전에는 몇몇 시내버스 노선이 시종점으로 사용했으나, 현재는 몇몇 노선들이 호산대학교로 종점을 이전하여 진량1번만 사용 중이다. 그리고 원래는 옆 건물에 대합실과 승하차장이 따로 있었지만 현재는 임대 후 도로변 정류장에서 승하차한다. 예전에는 11번과 311번 시내버스의 시종착점으로 쓰였으며, 311번은 시외완행 성격의 노선인지라 경산시 관내에서도 구간요금 및 승차권을 받으며 운행했다. 그리고 311번은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없었다. 개편 후 311번은 803번, 하양-와촌1번(환상리지선[2] 포함), 진량2번 등으로 분리되어 일반적인 시내버스같이 카드를 찍고 타도 된다.
2.2 시내버스
경산시까지 운행되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많은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노선번호에 8번(북경산)이나 9번(남경산)이 붙을 경우 그 버스는 경산시까지 운행하는 버스인 경우가 많다. 단, 349(대구종합유통단지~남부정류장~시지지구), 618(대곡지구~칠성시장~동호지구), 805(반야월역~반월당역~다사), 836(반야월역~복현오거리~논공), 849(-1)(동호지구~남부정류장~동호지구), 937(시지지구~복현오거리~관음동)번은 아니다. 왜냐하면 노선번호 체계에서 8번은 하양읍, 진량읍을 비롯한 경산 북부지역 말고도 금호강 대구 동구에서 금호강 동부 지역, 9번은 남경산 말고도 수성구 담티고개 동부 지역, 시지, 고산 지역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 808번은 대구대학교와 영천시 금호읍까지 가는 분리노선이 각각 있지만 둘 다 하양읍을 거친다.
경산시 시내버스의 노선번호 체계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동일하며 노선번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를 참조하면 된다. 무엇보다 대구와 경산의 시내버스에는 구간요금이 없고 단, 경산시 시내버스가 영천시로 넘어가는 경우는 제외. 요금체계와 환승체계 또한 동일해서 왕복이 용이하다. 이는 경산이 사실상 대구와 동일한 생활권에 속해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