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권 광역철도



틀:공사중단

대구권 대중교통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철도대구 도시철도대구권 광역철도
버스대구 시내버스경산 시내버스구미 시내버스영천 시내버스김천 시내버스
칠곡 농어촌버스성주 농어촌버스청도 농어촌버스창녕 농어촌버스고령 농어촌버스
공항대구국제공항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수도권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인천 도시철도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경기도 도시철도
동남권부산 도시철도(동남권 전철)
대구, 경북권대구 도시철도대구권 광역철도
광주권광주 도시철도
대전, 충청권대전 도시철도충청권 광역철도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수도권 전철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하위로 기입한다.

대한민국 광역철도 노선
수도권1호선3호선4호선경의·중앙선경춘선
수인선분당선공항철도신분당선경강선
부산·울산권동해선경전선
대구권대구권 광역철도
대전권충청권 광역철도
대구권 광역전철
운영기관미정
영업거리61.85km
궤간표준궤
역수7 (+4[1])
전기교류 25000V
신호?
표정속도?
차량기지경산 차량기지
지상구간전구간 지상
개통연혁2019년 예정

600px

1 개요

대구광역시와 인근의 도시들을 연결하게 될 광역철도망. 계획은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별도의 철도를 부설하는 것이 아니고, 기존 경부선대구선, 일부 중앙선 선로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도중에 있는 역을 개량하여 광역철도 영업을 하는 것이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 비슷하게 광역철도 전동차와 일반열차가 하나의 선로를 이용하고 역에서 추월이 이루어지는 방식. 단 3단계 계획에 있는 동대구-경주 구간은 단선 비전화 구간이라 최소한 전철화가 필요하다.

현재 대구광역시의 버스와 도시철도는 단일요금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광역철도가 개통하면 구간요금제를 시행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2]

2016년 6월부터 운영주체를 검토 중에 있으며, 7월 건설 기본 계획이 수립되었다. 실시설계 및 건설은 아직 계획단계에 있다.

1.1 1단계 구간 (구미시 - 경산시)

01010100101.20151022.000138284.02.jpg
실제로 경부선 이용객 현황을 보면 유독 단거리 수요가 집중되는 곳이 몇 군데 있는 데 그 중에 하나가 바로 대구권 광역 1단계 구간에 포함된 역들 중 하나인 동대구~대구~왜관~구미역이다. 그나마 각종 여객열차 편성수가 많고 중련 편성이 많았던 2010년 이전 시기조차도 출퇴근때는 지옥을 방불케할 정도로 이용객이 많은 편이였는데 열차 편성수가 점차 줄어들고 거기에 무궁화의 중련편성 자체도 하지 않게 되면서 그 혼잡도는 왠만한 수도권 철도 러시아워에 버금갈 정도. 따라서 1단계 노선이 개통되면 구미, 왜관 지역으로 출퇴근하는 대구 시민들이 광역철도를 이용하게 될 것이고 구미 지역의 산업단지에서 지출하는 셔틀 버스 비용이 줄어들어 지역 경제도 개선되는 효과를 얻게 될 것으로 보여진다.

처음 교통연구원에서 제안했던 5개 정차역(구미역, 왜관역, 대구역, 동대구역, 경산역)에서 4개역(사곡역, 왜관산업단지역, 서대구역, 달성공원역)이 추가되었으며 운영 시스템도 일반철도 증편 방식에서 별도 광역철도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그 밖에 효목역, 사월역은 추진 중에 있다.

2013년 상반기 기재부 예비타당성 심의에서는 각 지자체별 분담금 문제로 탈락했다. 그러나 2013년 10월 해당 문제를 수정한 기획안을 기획재정부가 받아들임으로서 다시 예비타당성 심의에 들어갔고 11월 20일 예비타당성 대상사업으로 확정됐다.

이 노선의 궁극적인 필요성은 대구경북 경제통합 및 대경권 상생 발전에 있다. 대구광역시의 경우 양질의 일자리가 상당히 부족하고 구미시, 칠곡군, 경산시의 경우 교육, 문화 등 전반적인 인프라가 부족하다. 그나마 경산시의 경우는 대구광역시와 인접해 있어 연담 발전의 일환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 예타 통과와 대구도시철도 2호선 영남대 연장이 성사되어 완전한 위성도시가 되었다. 따라서 구미시, 칠곡군의 경우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되면 대구광역시의 완전한 위성도시가 될 것이다. 결국 대구권 광역철도의 개통은 대구와 경북이 서로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상생 발전의 첫 걸음이 될 것이라는 것에서 매우 고무적이다.

2015년 8월 1일에 KTX전용 선로를 확보하기 위한 대구 도심구간의 복복선화와 외곽의 별도선로를 신설하는 공사가 완료되었는데 KTX는 모두 가운데의 내선으로 운행하고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구로~천안 구간 같이 내선에 빠른 여객열차가 다니고 외선에 느린 전동차와 일부 화물열차가 운행하는 것과 비슷하다. 따라서 바깥쪽의 외선에 용량이 남기 때문에 그 남은 용량으로 광역철도를 굴리는 것.

2012년 9월 1일 코레일이 대구 광역권인 구미역경산역동대구역포항역까지 RDC무궁화호 임시 열차를 운행을 시작했다. 3량 1편성으로 매일 2회씩(단 출근시간대에만 운영) 대구권 광역철도의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통근열차 형식으로 운행하는 것으로 이 편성은 2개월 뒤인 11월 1일 정규 열차로 승격됐다. 단, 포항행 열차는 그대로 폐지되었다. 2015년 현재에는 운행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15~20분의 배차 간격으로 하루 61차례의 열차가 운행될 예정으로 구미에서 경산까지 소요시간이 기존 열차 기준으로 43분 정도로 상당히 단축될 전망이다.

그리고 2015년 7월 21일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다!

2015년 8월 24일 기획재정부 광역철도 사업으로 지정되었다.

2015년 12월 3일 국비 168억원 지원이 확정되었다.

2016년 11월에 착공을 시작한다.

1.2 1단계 구간 정거장 목록

20150721_213145000.jpg
▲ 2015년 기재부 예비타당성 조사에 통과된 1단계 계획 노선 및 역 (3호선 달성공원역과 환승예정인 원대역은 임시역명이라 3호선 역명과 통일될 것이다.)

역명승강장환승노선소재지
한글한자로마자형태횡단
0.0구 미龜 尾Gumi??경상북도구미시
4.5사 곡沙 谷Sagok??
?북 삼北 三Buksam??칠곡군
18.8왜 관倭 館Waegwan??
23.1왜관산업단지倭館産業團地Waegwan
Industrial Complex
??
42.1서대구西大邱Seodaegu??대구광역시서 구
45.2원대(달성공원)達城公園Dalseong Park?? 3호선중 구
46.4대 구大 邱Daegu?? 1호선북 구
49.6동대구東大邱Dongdaegu?? 1호선
엑스코선
동 구
56.7가 천佳 川Gacheon?? 3호선[3]수성구
61.85경 산慶 山Gyeongsan??경상북도경산시

취소선은 현 계획에서 제외되거나 추가되었으나 장래 신설로 계획된 역사이다.

  • 약목역, 신동역은 무궁화호가 정차하는데도 위 표에서 빠져있다. 위 표대로 운행하면 급행은 서고 완행은 통과하는 웃지못할 촌극[4]이 일어나게 된다고 하지만 칠곡군측에서는 약목, 신동, 지천역 역시 정차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5]하고 있어서 이 주장대로 된다면 이런 촌극은 벌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 북삼읍 지역에서도 역을 만들어달라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참고로 북삼읍을 관할하는 칠곡군 측에서 생각하는 북삼역의 대략적인 위치는 사곡에서 대략 3.6km 내외 지점인데 이 지점은 사곡역으로 들어가는 S자 선로 중앙 부분인데 일단 2014년 KDI에서 B/C 부족으로 시행불가 판단을 받은 바 있으며 이에 대해서 국토부측은 예타에는 북삼역을 빼버린 다음 통과 이후 기본계획때 추가 증액가능한 분량 이내에서 북삼역 신설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라고 한다.[6]
  • 사월역정평역 사이에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교차하는데, 상당히 애매한 위치라서 환승역이 만들어질지, 만들어진다면 어떻게 할 건지 불분명하다. 중산신도시 쪽에 중간역을 신설해서 환승시키면 환승이 편해지겠지만 사월역과 환승시키는 걸로 가닥이 잡혀 어마어마한 막장환승이 예상된다.
  • 국토부 계획상에서 왜관산업단지역달성공원역이 수요 문제로 장래 계획에 포함되었다. 장래 계획에는 이외에도 북삼역가천역이 선정되었다.

1.3 논란

1.3.1 구미 구간 논란

구미구간이 포함된 것이 위법행위라는 주장이 2015년 10월 15일 국회 예산정책처에서 나왔다. 이런 주장이 나오게 된것은 광역철도 구간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대도시권에 포함되어야되는데, 구미는 법적으로 "대광법"에서 빠져있다는 것이다. (해당 법조항). 대광법 즉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시행령 조항대구권대구광역시, 경북 경산시, 영천시, 군위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경남 창녕군으로 구미는 빠져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국토교통부의 해명. 이 문제에 대해 국토교통부는 대구권 광역철도의 지정이 시행령개정을 조건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실제 생활권과 법적인 도시권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종종 있다. 이미 비슷한 선례도 있다. 앞서 언급한 법(대광법 시행령)에서는 수도권의 범위를 서울, 인천, 경기도로 규정하고 있지만 수도권 전철강원도 춘천도 가고 충남 천안과 아산도 가고 있기 때문에 이와 마찬가지다. 비슷한 예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중에서도 거제시를 가는 노선이 있다. 구미의 경우 대구에 살면서 구미산단으로 통근하는 수요라든지 구미에 살면서 대구에 있는 대학들에 다니는 수요가 꽤 있기 때문에 대구랑 전혀 동떨어진 것도 아니다. 실제로 대구지역 특히 경산,하양쪽에는 경북권 대학들이 유독 밀집되어 있어 구미나 왜관쪽에서 거주하는 학생들은 이 루트를 통해서 통학하는 케이스도 많은 편이다.실제로 출퇴근 시간대에 보면 직장인과 학생의 비율이 거의 비슷하다.

결국 2015년 12월 15일에 대광법이 개정되면서 구미시가 대구권안에 포함이 되었다. 이로써 대구광역전철의 위법논란은 종식되었다.

1.3.2 사업 무산 위기?

2016년 7월 말, 대구권 광역철도의 사업비가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당초 계획보다 68% 가량 더 많은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계산되었다. 사업비가 20% 이상 들 경우 예비타당성조사를 다시 시행해야하기 때문에 국토교통부는 늘어난 사업비를 국비가 아닌 각 지자체의 재정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재정자립도가 낮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특히 칠곡군은 북삼역왜관산업단지역 신설이 불투명해질 경우 커다란 혜택을 받을 수 없으므로 대구권 광역철도를 보이콧할 경우, 사업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이 생겨났다. 이는 소극적인 행보를 보여줬던 울산광역시로 인해 사업기간이 늘어난 동남권 전철 동해선 사업과 비슷하다. 이럴 경우 대구권 광역철도의 개통이 계획보다 최소 2, 3년 미뤄지거나 사업이 영원히 엎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일단 2017년도 국비 예산으로 178억 원을 확보함으로써 사업 진행에는 차질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2 관련 문서

  1. 장래 신설역
  2. 다만 예타보고서에서는 전구간 1500원 단일 요금제로 추진중이라는 말이 있다.
  3. 용지역~신서혁신지구 연장계획
  4. 서대전역 경유 KTX가 전부 서지만 ITX-새마을무궁화호는 선택정차하는 계룡역과 비슷한 케이스.
  5. 일단 구축사업 완료 이후 상황을 봐서 해당 역들에 대한 광역전철 정차를 요구할 것이라고 한다.
  6. 출처:칠곡군,'대구광역권 철도망 구축사업' 책자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