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tmania IIDX의 수록곡에 대해서는 バビロニア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Babylonia
1 개요
수메르와 아카드의 뒤를 이은 유프라테스 강, 티그리스 강 유역의 고대 국가. '바빌로니아' 라는 국가명은 수도였던 바빌론에서 유래된 것으로 바빌론이 언급된 최초의 기록을 기원전 23세기 아카드의 점토판에서 찾을 수 있을 만큼 그 유래가 오래된 국가 중 하나다. 이후 신 바빌로니아 왕국이 페르시아에게 멸망한 기원전 6세기 경까지 이어진다.
유대인들에게는 2천 5백년 이상이나 지속된 디아스포라를 촉발한 장본국이기에 로마 제국, 나치 독일와 더불어 불구대천의 원수로 취급하는 국가다. 구약성경에는 바빌론 유수, 바벨탑, 네부카드네자르 2세왕의 일화가 잘 알려져 있으며 유적으로는 바빌론의 문, 바빌론의 공중정원이 유명하다.
2 고대 바빌로니아
고대 세계의 중심이었던 근동을 지배했던 강대국 중 하나
기원전 2000년대 수메르족과 아카드족의 여러 도시들이 한참 이전투구를 벌이던 시절 이들과 다른 셈족의 일파인 아모리족은 바빌론을 세우고 조용히 발전시켜 메소포타미아의 정치, 상업의 최중심지가 되었고 점차 남부지역을 시작으로 전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패권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이후 바빌론시의 도시국가가 확장된 영토국가 바빌로니아는 활발한 정복 활동으로 함무라비시대에 이신, 엘람, 우루크 등의 수메르 도시국가와 마리 왕국과 라르샤까지 무너뜨리고 마침내 전 메소포타미아를 석권하고 서쪽으로는 지중해까지 영역이 닿는 대국이 되었다. 이후 위대한 왕들에 의해 왕국의 치세가 계속되면서 바빌론은 거의 역사상 최초로 세계의 수도 로서의 명성을 얻게 되었으며 이후 약 300년간을 고대 바빌로니아로 분류한다.
바빌로니아인들은 왕을 마르두크(Marduk) 신의 대행자로 믿었고 바빌론은 '신성한 도시' 로서 모든 왕은 그곳에서 왕권을 인정받아야 한다고 믿었다.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관료 제도와 세금 제도, 중앙 정부 체제가 갖추어졌다. 이런 신성화된 도시 바빌론의 이미지는 그로부터 오랜 세월 지속된다.
문화 쪽에서도 후대에 영향을 끼친 것이 많았다. 대표적인 것이 엘람인을 추방하고 왕국이 정착한 뒤 함무라비의 지시로 만들어진 법전은 함무라비 법전으로 불리며 체계적인 성문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함무라비 법전의 사본이 수사(Susa)에서 1901년에 발견되었으며 현재는 루브르에 소장되어 있다.
그치만 삼수일라니시대부터 점차 분열이 시작되어 엘람등지가 분리되었고 결정적으로 히타이트의 침략을 받아 왕국은 사실상 멸망했다.
이후 삼수다이타나시대부터 카사이트 왕조로 이름이 바뀐 뒤 아시리아의 지배를 받게 된다.
3 신 바빌로니아
종래의 지배국인 아시리아가 지배령 전역의 반발에 직면한 틈을 타 다시 옛 바빌론 고토에 세워진 것이 신 바빌로니아다. 결국 아시리아는 붕괴하고 신 바빌로니아-이집트-메디아-리디아 네 나라가 세계를 4분하여 다스리게 되었다. 그리고 신 바빌로니아는 그 종주국으로 명성을 떨쳤다. 본래의 국명은 구 바빌로니아를 계승하여 그냥 바빌로니아지만 구분의 편의를 위해 학계에서는 신 바빌로니아로 통칭한다. [1]
나보폴라사르의 아들이자 2대 왕인 네부카드네자르 2세(느부갓네살)때 전성기를 맞이했다. 수도 바빌론은 당시 세계 교역의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막대한 부와 군사력을 바탕으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현재까지 회자되는 바벨탑과 바빌론의 공중정원도 이 시기에 건설 되었다. 또한 정복군주이기도 했던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맹렬한 정복 활동을 펼친 것으로 유명하며, 이 과정에서 팔레스타인 지역의 유대 왕국도 멸망했고 유대인들은 조국을 상실한 채 끌려와 바빌로니아의 폭압적 통치를 받는다.
하지만 새로운 바빌로니아도 네부카드네자르의 사후 불과 수십 년 만에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의 시조 키루스 2세에 의해 정복당하고 말았다. 메소포타미아는 고대 내내 동방의 중심지였고 메디아의 영토를 그대로 계승한 페르시아는 변방에 불과했으므로 당장 국력에서 밀린다고 보기는 어려웠으나, 페르시아가 아나톨리아의 리디아를 집어삼키고 난 후에는 사정이 달라졌고, 바빌로니아 역시 무기력하게 무너졌다. 성경에 따르면 최후의 왕 나보니두스는[2] 페르시아군이 침공해오는 것도 모르고 만찬을 즐기다 그 만찬이 끝남과 동시에 나라가 망한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바빌론의 문 항목 참조. 다만 실제 역사에서는 그런 멍청한 짓거리를 했던 것은 아니고, 당시 양위 상태였던 아들 벨사자르가 군대를 이끌고 나가 요격을 시도했으나 대패하고 전사하자 수도를 버리고 달아났다가 얼마 안가 항복한다.
이후 바빌로니아를 계승한 국가는 두 번 다시 등장하지 않았으며 페르시아가 몰락한 이후에는 도시 바빌론도 폐허화하고 말았다.
역대 | 왕호 | 이름 | 재위년도 |
초대 | 나보폴라사르 (Nabopolassar) | 나부 압라 우수르 | BCE 626 ~ 605 |
2대 | 네부카드네자르 2세 (Nebuchadnezzar II) | 나부 쿠두리 우스르 | BCE 604 ~ 562 |
3대 | 아멜 마르둑[3] (Amel-Marduk) | BCE 562 ~ 560 | |
4대 | 네르갈-샤레제르 | 네르갈-사르-우수르 | BCE 560 ~ 556 |
5대 | 라바시-마르둑 (Labashi-Marduk) | BCE 556 | |
6대 | 나보니두스 (Nabonidus) | 나부-나이드 | BCE 556 ~ 539 |
3.1 성경에서의 바빌로니아
유대인들에게는 그들의 나라인 남유다를 멸망시키고 그들 국민의 상당수를 수도인 바빌론으로 끌고가 포로 생활을 시켰기 때문에 결코 감정이 좋을 리 없고 성경에서 바빌론을 악의 도시, 탐욕과 쾌락에 빠진 도시로 헐뜯는 기록을 남겼다. 그리고 당시 세계의 변방 촌구석인 유대에서 세계의 수도인 바빌론에 와서 그 찬란한 문화를 보고 감탄한 나머지 바빌론의 위대함과 영화로움 역시 성경에서 침 흘리며 감탄하는 기록을 남기는 이중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성경 다니엘서의 내용에 따르면 금속으로 비유할 때 바빌로니아의 영화는 황금이요 이후에 나타나는 페르시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헬레니즘 제국, 로마 제국은 각각 은, 놋쇠, 강철로 다 바빌로니아의 위대함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얘기하기도 했다. 그리고 다니엘서 등등의 내용을 보면 포로로 끌려온 유대인을 비롯한 다른 나라 민족의 인재들도 능력이 있으면 바빌로니아의 주요 공직에 임명되기도 한 모양이다. 그러나, 다니엘서는 당대에 쓰인 것이 아니라 후대(헬레니즘 시대)에 다니엘의 이름을 빌려 쓴 책이다. 앞의 저술은 논란이 있다. 대체적으로 다니엘서는 1~6장은 다니엘 본인이, 7~12장은 본인이 직접 또는 약간 후대에 다니엘의 이름으로 다른 사람이 쓴 것으로 보지만 그것도 헬레니즘 시대까지 내려가지는 않는다. 다니엘 참고
그리고 성경의 바벨탑 전설도 유대인들이 바빌론에 와서 보게 된 거대한 신전의 탑인 지구라트를 보고, 또 자기들처럼 바빌론에 끌려온 수많은 다른 나라 사람들이 모여서 서로 다른 수많은 언어로 떠드는 걸 보고 착안해 만들어냈다고 하기도 한다.
4 기타
- 배우자를 남성이 돈을 주고 살수가 있었다. 정확히 말하면 결혼을 희망하는 여성이 경매시장에 나가면 남성이 값을 불렀을 때 가장 높은 값을 부른 남자를 여성이 "선택"할 수 있었다. 여성이라고 반드시 경매시장에 나가야 하는 것도 아니었고 희망자들이 자발적으로 신청하면 나가는 방식이었으며, 값을 높게 불러도 남성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선택하지 않아도 되었기 때문에 인신매매와는 다르다.
- 문명 5에서는 과학빨로 승부하는 문명으로 등장한다. 지도자는 네부카드네자르 2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