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강서13

이 노선과 비슷했던 구 300번에 대해서는 부산 버스 300(폐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부산광역시 강서구 마을버스
강서 1강서 2강서 3강서 5강서 7강서 7-2강서 9강서 9-1
강서 9-2강서 11강서 12강서 13강서 14강서 15강서 16강서 17
강서 19강서 20강서 21
† : 환승대기시간 60분 적용노선


900px
과거 삼동여객 시절 동래7번에서 운행했던 2004년식 글로벌 900 차량이며, 현재는 대차되었다.

900px
현대 그린시티 차량.

900px
신도색 차량.

1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강서13번
기점부산광역시 북구 구포1동(구포시장)종점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1동(하단역)
종점행첫차05:30기점행첫차05:30
막차22:00막차23:00
평일배차20분주말배차20분
운수사명대일교통인가대수8대(예비 1대)
노선덕천교차로 - 강서구청↔신덕↔덕두↔김해공항↔금호↔맥도↔염막↔명지시장↔을숙도- 하단역

2 개요

부산광역시 강서구의 마을버스 노선, 덕천교차로에서 출발하여 구포시장 ─ 구포역강서구청역강서구청 ─ 신덕삼거리 ─ 등구마을김해국제공항덕두마을 ─ 맥도자연생태공원 ─ 작지 ─ 금호마을 ─ 염막마을 ─ 명지시장.새동네 ─ 을숙도휴게소를 거쳐 하단역까지 운행하는 노선. 기점과 종점이 강서구가 아닌 사하구북구라는 것이 특징이다. 줄여 말해 인 강서 노선이다.

김해국제공항 국내선 국제선 정류장에서 이노선의 운행정보가 안내되는걸보면 부산 마을버스론 거의 유일한것으로 추정된다.

3 역사

초기에는 번호만 다르고 노선, 운행회사까지 모두 똑같던 강서8번과 같이 운행했다. 운행차량은 두 노선 모두 91년식 무냉방 BS105(...)[1] 다만 일반버스와 다르게 아래부분 라인에[2] 노란색을 입혀서 시내버스와 혼동되는 일은 적었다.

초기에는 김해국제공항을 경유하지 않았으나, 300번이 폐선되면서 대체노선으로 강서11번과 같이 김해국제공항에 들어가게 되었다. 307번과는 달리 2층에는 올라가지 않고 1층 도착장에서 승하차하므로 출국을 위해 이 버스를 타는 승객은 참고할 것. 출국 승객은 도착장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2층으로 올라가서 탑승수속과 출국심사를 받으면 된다.

이후 2000년대 초반 BS105들은 인천 출신의 BS106 하이파워로 서서히 대차되고 이후 2000년대 중반부터 중형화가 시작되어 BM090이 투입되더니 이후 동래 7번 출신의 글로벌 900이 투입되었으며, 현재에는 현대 그린시티가 주력차종이다.

2014년 12월 27일부터 서부산유통단지를 경유하게 되었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4 특징

이 노선은 하단역덕천교차로를 잇는 노선으로 기점과 종점이 강서구가 아닌 사하구북구라는 것이 특징이다.[3] 노선 형태를 보면 ㄷ자 모양을 띄고 있는데 하단에서는 낙동강하구둑을 건너가고 구포에서는 구포대교를 건너간다. 덕천교차로 방면은 을숙도를 넘어 명지새동네를 지나서 유턴한 후 명지시장을 경유한 뒤에 공항로를 따라 도중에 서부산유통지구김해국제공항을 경유하며 강서구청까지 쭉 운행한다. 따라서 공항로 연선 마을(덕두마을, 산소마을, 금호마을, 염막마을, 용두마을 등등..) 주민들의 거의 유일한 교통수단이기도 하다.[4] 맥도자연생태공원을 경유하는 버스이기 때문에 소풍철에는 이용객이 많아진다. 더불어 하단역 방면에서 김해국제공항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라서 공항 이용객들도 이 노선을 제법 이용하는 편이다.

반면에 구포 방면에서는 2011년 부산김해경전철의 개통으로 인하여 공항으로 가려는 승객들이 제법 줄어든 모양. 307번이랑 노선이 100% 중복되기 때문이다. 김해국제공항에서는 이 노선이 하단역으로 유일하게 가 주기 때문에 하단역 방면 이용객들이 상당한 편이다.

기점과 종점 모두 부산의 대표적인 부도심 번화가 지역이라서 중간에 낀 공항로 연선 마을주민들의 이용객 또한 상당한 편이며 러시 아워 시간에는 가축수송을 하기도 한다.

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노선 중에서 노선길이가 53.2km로 두번째로 긴 노선이다.(1등은 54.0km의 기장3번)
장거리 노선으로 잘 알려진 시내버스 15번보다 운행거리가 약 0.2km 더 길다!

하단과 구포에서 서로 반대방면으로 가려고 이 버스를 타게 되면 팔자에도 없는 강서구김해국제공항 투어를 하게 되므로 126번을 이용해주자.[5] 앞서 말한 두 버스는 낙동대로를 직통하여 가장 빠르게 두 지역을 연결한다.

덕두마을 일대에서는 이 버스를 타고자할때 주의를 요하는데 구포,하단 양방향의 정류장이 같은 곳에 위치한다. 차량 앞에도 "하단 방면" "구포 방면 " 판을 항상 부착하고 운행하니 반드시 방향을 확인후 탑승하도록 하자

4.1 시각표

time_13.jpg
time_13_02.jpg

5 연계 철도역

  1. 전국적으로도 BS105마을버스로 운행했던 노선은 이 노선이 거의 유일하다고 전해지고 있다. 더불어 부산 시내버스의 BS105는 1998년에 전부 대차되지만 이 노선의 차량은 2001년까지 다녔다.
  2. 부산 마을버스 구도색은 일반버스 구도색에 윗쪽 라인에 노란색을 입힌 도색이다. 하지만 강서구의 대형 마을버스들은 대부분 아랫쪽에 노란색을 입혀서 운행했다.
  3. 강서구의 다른 마을버스 노선들은 종점만 사하구북구이며 출발하는 기점은 강서구이다.
  4. 555번도 경유하지만 평일 출퇴근 시간 한정이고 1009번은 배차간격이 무려 45분.. 게다가 비싼 급행버스이기 때문에 수요층이 모두 이 노선으로 죄다 몰린다.
  5. 123번도 있으나 구포역에서 타게 되면 유턴하여 구포대교를 건너 김해 방면으로 빠져나가므로 구포에서 타면 안된다. 123번은 하단에서 구포 갈 때만 이용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