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이 문서는 종교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이 문서가 다루는 종교, 종교인에 대한 내용은 읽는 이에 따라 민감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잘못된 요소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문서에 쓰여진 내용을 전적으로 신뢰하지 마십시오. 편집할 시에는 문화상대주의를 기반으로 객관적으로 작성하고, 논란이 될 수 있는 내용은 신중히 검토한 뒤 작성하십시오. 또한 문서의 사실에 관한 내용을 수정할 때에는 신뢰가 가능한 출처를 기입하시거나, 토론 과정을 거치신 뒤 하시고, 다른 종교를 비방하거나 비하하는 내용을 넣지 마십시오.

이 틀을 적용할 경우, 문서 최하단에 혹은 분류:종교의 하위 분류를 함께 달아 주시기 바랍니다.

1 개요

그리스도교 5대 총대주교 관구
로마콘스탄티노플알렉산드리아안티오키아예루살렘

현재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자처하는 사람은 세 명이고, 그 중 두 명이 '교황이자 총대주교'를 자처하고 있다. 제 13대 대주교 헤라클레우스 때부터 교황의 명칭을 사용했으며, 로마 교황청 또한 이를 인정하고 있다. 알렉산드리아의 교회가 정교회콥트 정교회로 분리된 건 이 이후의 일인데 둘 다 교황이라는 명칭은 고스란히 가져갔다. 그러나 정교회나 콥트교 내에서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들이 가톨릭의 교황처럼 특별히 주교들의 으뜸가는 위치가 아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교황이라는 말보다는 "아버지"라고 번역하는 것이 더 맞다고 볼 수 있다.

2 역사

ef7abe086e0ec1fce69dd1c2dc37ff5b.jpg

알렉산드리아의 교회는 AD 69년 복음사가 성 마르코에 의해 세워졌다는 전승에 따라 초대 주교의 이름에 마르코를 올려두었다. 한편 마르코가 자신의 제자를 초대 주교로 임명했다는 설도 있다. 전승에 의하면 마르코는 베드로와 바오로가 순교한 뒤 로마를 떠나 이집트 알렉산드리아로 가서 현지 주교로서 교회를 발전시켰지만, 그리스도교에 대한 박해가 일면서 체포된 것으로 알려진다. 이후 마르코는 목에 줄을 매 읍내를 돌게 되고 참살당하게 된다. 사후 마르코의 유해는 알렉산드리아에 매장되었지만, 나중에 이집트가 이슬람권에 편입되면서 그의 무덤이 훼손될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다행히 당시 알렉산드리아에 있던 베네치아 상인들이 이 사실을 알고 성 마르코의 유해를 옮길 계획을 세우게 된다. 밀수과정에서 세관에 들키지 않게 하기 위해서 무슬림이 만지지도 못하는 돼지고기로 유해를 덮어 세관을 통과했다고 한다. 이렇게 해서 성인의 유해는 별 탈 없이 배에 오르고 베네치아를 향해 무난한 항해를 해 오늘날 산 마르코 대성당에 모셔질 수 있었다. 서기 827년의 일이다.

13대 헤라클라스 총대주교(재임 227~240) 때에 교황(Παπας[파파스], 사실 어원적으로 교황보다는 "아버지"로 번역하는 것이 맞다)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25대 디오스코루스 1세를 시작으로 알렉산드리아의 합성론파들이 칼케돈 신조에 반발하자 칼케돈파 총대주교와 비칼케돈파 총대주교가 양립과 통합을 반복하는 등 극심한 혼란기를 겪었다. 그러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황제권을 이용하여 비칼케돈파를 완전히 축출한 것이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알렉산드리아의 정교회 총대주교구이다.

하지만 7세기 들어 이슬람 세력이 동로마 제국을 격파하고 이집트를 차지하게 되면서, 일명 '황제파'(멜키트)라 불리우던 칼케돈파 정교회를 엄청나게 탄압했다. 이후로 이집트는 쭉 이슬람 세력권에 있었기 때문에, 알렉산드리아 정교회 총대주교구는 10세기 가까이 사실상 명맥만 유지하는 안습한 상태로 전락한다.

이후 19세기 들어 그리스인들의 이집트 이민이 대거 급증하면서[1] 알렉산드리아 교회 또한 크게 성장하게 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3 정교회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의 문장. 복음서를 든 날개 달린 사자는 성 마르코의 상징이다.

정식 직함은 '위대한 도시 알렉산드리아와 리비아, 펜타폴리스, 에티오피아, 전 이집트 및 전 아프리카의 교황(또는 아버지)이자 총대주교...'가 끝이 아니고 여기에 뭐가 많이 붙어도 엄청 많이 붙는다. 교황 항목을 참조.

정교회권에서 서열상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에 이어 2위이다. 일반적으로는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의 교황(아버지)이자 총대주교' 또는 그냥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정도로 줄여서 표현한다. 공식적으로 비칼케돈파인 콥트 정교회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와의 구분을 위해서는 '알렉산드리아의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라고 부른다. 직함 그대로 정교회 내에서 아프리카 대륙 전체를 담당하고 있다.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이집트 내에서 25만~30만 명, 그 외 아프리카 대륙 내에 135만 명 정도의 신자를 거느린 것으로 여겨진다.

patriarxis_alexandrias.gif

현 총대주교직은 그리스 크레타 태생인 129대 총대주교 테오도로스 2세(2004–)가 맡고 있다. 총대주교좌는 7세기부터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위치한 '성모 희보 대성당'에 있다.

3.1 관할 교구

5-2.jpg
7d03150f72bf203c3a60e0f8a23c63fe.jpg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좌가 소재한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성모 희보 대성당

말 그대로 아프리카 전역을 관할 구역으로 두고 있다. 이하는 산하 교구 목록이며, 명목상으로만 존재하는 교구는 제한다. 괄호 안은 교구의 관할권이며, 괄호가 없는 교구는 국가 이름이거나 이집트 내의 지역들이다. 교구 명칭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홈페이지에서 발췌했다.

  • 악숨 대교구(아프리카의 뿔)
- 아프리카의 뿔이란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지부티, 에리트레아가 위치한 아프리카 북동쪽을 말한다.
- 현 키레네 대주교는 모스크바에 소재.

4 콥트 정교회 교황

정식 직함은 '위대한 도시 알렉산드리아의 교황이자 대주교이자 복음사가 성 마르코의 거룩한 정통 사도좌로서 이집트, 리비아, 펜타폴리스, 누비아, 수단,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와 전 아프리카의 총대주교'. 이 역시 끝이 아니고 1의 인물 보다도 뭐가 더 많이 붙는다. 교황 항목을 참조.

콥트 정교회의 수장으로, 애초에 정교회와 콥트 정교회가 하나의 교회였다가 분열된 것이기 때문에 이쪽도 복음사가 성 마르코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직함부터 자신들이 성 마르코의 후계자임을 강하게 강조하고 있다.

카이로의 성 마르코 대성당알렉산드리아의 성 마르코 대성당

총대주교좌는 이집트 카이로알렉산드리아의 '성 마르코 대성당'에 있다. 두 도시에 이름이 똑같은 총대주교좌 성당이 하나씩 있는 것. 본래 알렉산드리아에만 있었으나, 총대주교 관저를 카이로로 옮기면서 카이로에 제2의 총대주교좌 성당을 세웠다. 물론 다른 기관들은 다 알렉산드리아에 그대로 남겼다.

이집트 내에서만도 대략 600만~1200만 가량의 신자가 있는 걸로 추정되므로 1에 비하면 교세가 훨씬 크다.

현 교황-총대주교직은 타와드로스 2세인데, 저 타와드로스를 그리스어로 번역하면 테오도로스로, 현직 1의 인물과 이름이며 2세가 붙은 것까지 똑같다. 그래서 타와드로스 2세가 2012년 11월 취임할 당시 2004년부터 재임 중이던 1의 테오도로스 2세가 '이름이 똑같은 우리끼리 잘해보자'라는 식으로 축전을 보내기도 했다.

콥트 정교회에서 교황을 선출하는 방법은 꽤 특이하다. 일단 주교들 중 교황 후보들이 나타나고, 주교들은 후보들 중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이름을 투표 종이에 적는다. 이 중 많은 표를 얻은 후보들의 이름을 골라 성작에 넣고, 일요일 의식으로 어린아이가 눈을 가린 상태에서 성작에서 후보들 중 한 명의 이름이 적힌 종이를 꺼낸다. 그러면 그 종이에 써 있는 주교가 바로 교황이 되는 식이다.

다만 선출 과정에서 현재 문제는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이다. 콥트 정교회 규정에는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및 다른 아프리카의 단성론파 기독교가 따르는 콥트 정교회 교황 선출에는 에티오피아 황제 및 황제가 선출한 20명의 에티오피아인이 참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문제는 마지막 에티오피아 황제인 하일레 셀리시에 1세는 1974년에 폐위되었다는 것이다.

또 콥트 정교회 교황 선출에는 선출된 인물에 대한 이집트 대통령의 동의서도 필요하다. 이집트 대통령의 동의를 통해 공식적으로 콥트 정교회 교황으로 승인되기 전까지는 교회협의회가 교회 공동체를 지도한다.

자세한 역사는 콥트 정교회 항목 참고.

5 콥트 가톨릭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정식 직함은 '알렉산드리아의 콥트 가톨릭 총대주교'. 콥트 가톨릭은 동방 가톨릭 교회의 일원으로서, 콥트 가톨릭 교회내 회의를 통해 투표로 선출하면 이를 교황이 추인하는 형식으로 임명된다.

현 총대주교는 이브라힘 이사악 시드락이다. 총대주교좌는 이집트 카이로에 위치해있다.

1824년 알렉산드리아에 총대주교좌가 설정되었으며, 1895년 키릴로스 마카이오스가 첫 번째 총대주교로 임명되었다.

2010년 기준으로 16만 명 정도의 신자를 거느린 것으로 알려졌다.
  1. 1940년대에는 이집트 내 그리스인들의 숫자는 25만 명에 달하기도 했다. 이후 1953년 혁명의 여파로 많은 수가 이집트를 떠났지만, 여전히 이집트 내에서 그리스인은 주요 소수민족들 중 하나이다.
  2. 이집트 남부를 말한다. 나일강 상류라서 上
  3. 현 마다가스카르 대주교인 이그나티오스의 프로필엔 특이사항으로 한국어를 구사한다고 나와 있다. 사실 이그나티오스 대주교가 사제 시절인 1970년대 중반에 2년동안 한국에서 선교사제로 봉직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의 인연으로 2015년 11월에 한국을 방문하여, 서울과 인천의 정교회 성당에서 성찬예배를 집전한 적이 있다.
  4. 콩고 민주 공화국의 주(州)중 하나.
  5. 콩고의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