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연속극에서 넘어옴)

Drama[1]

드라마는 지루한 부분을 잘라낸 인생이다.

Drama is life with the dull parts cut out.


앨프리드 히치콕

1 극예술

극(劇)으로 번역된다. 희극(Comedy)와 비극(Tragedy)의 통칭으로 사용되던 고대 그리스어이다. 단어 자체는 "행동하다"는 뜻으로, 배우가 인간 행위를 모방한다는 의미였다. 특징은, 서사구조(narrative)가 있고, 그 서사구조가 배우의 수행(performance)을 통해 전달된다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무대극(theatre)만을 의미할 수도, 영화와 드라마 등을 포함하여 배우가 등장하는 하위 장르 전반을 의미할 수도 있다. 서사구조를 전달하는 배우의 퍼포먼스는 대사, 연기, 춤, 음악 등 다양하며, 그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2 드라마 장르

장르로서의 드라마는 희극(comedy)과 비극(tragedy)에 대응되는 용어로서, 현실적인 등장인물이 등장하여 사실적인 소재를 다루는 심각하고 진지한 극예술을 나타낸다. 주로 사용되는 소재는 알코올 중독, 아동학대, 인간의 감정, 도덕적 딜레마, 인종차별, 종교, 성 정체성, 가난, 사회적 불평등, 폭력, 범죄, 부패 등이다.[2] 1. 과 3.의 드라마와 자주 혼동되기 때문에, 주로 소재의 이름을 붙여 하위장르군으로 호칭하는 편. 법정 드라마, 전쟁영화, 멜로드라마 등등.

3 TV 드라마

3.1 개요

아이들이 싫어하는 것
어른용 애니라 카더라

의 일종으로서, 실존, 만들어낸 이야기 중 실존하는 사람이 나와 극중의 인물을 연기하는 TV 프로그램. 위의 드라마와 구분하기 위해 주로 'TV drama', 'drama show' 등의 표현을 쓴다. 영화나 각종 연극도 같은 맥락의 작품이지만 영화는 드라마와 같이 방영하지 않는다는 점이 다르며, 뮤지컬이나 연극 등 극예술은 드라마처럼 녹화하는 식으로 시청자들에게 보여주지 않는다는 것이 다르다. 비약하면 드라마라 함은 이미 녹화해두고 편집하여 텔레비전을 통해 방영하는 연극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영화 전공자나 극예술 전공자에게 드라마를 이렇게 설명하면 쌍욕이 날아올 것이다(...) 초기 영화는 실제로 연극을 그대로 촬영하는 모습이었으나 카메라의 존재와 편집 기술에 주목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극예술과 영상예술은 배우가 등장하는 서사구조를 가진 예술이라는 것 외에 완전히 다른 장르로 보아도 무방하다.[3][4]

단 녹화/송출기술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던 1950, 60년대 당시에는 '생방송으로 드라마'를 보여주는 경우도 많았으며[5], 또한 TV가 보급되기 전 영화 시대에는 현재의 드라마처럼 회차로 개봉하는 긴 호흡의 시리즈 영화도 있었다.[6]

드라마 절대 불변의 법칙은 특정 조건만족시 차회 예고 생략. 극중 인물들의 갈등이 극에 달한 상태에서 끝나거나 중대한 비밀이 밝혀지기전에 딱 끝나는 클리프행어를 시전하며 100% 차회예고를 뺀다. 시청률을 어떻게든 빨아먹으려는 상술이다. 이건 만국 공통이다...[7]그리고 시청자들은 호구가 되어 궁금해서 다음회차 본방사수를 한다. 물론 차회 예고를 편집의 힘을 통해 장대한 낚시영상으로 만들기도 한다. 다음회에 주요인물이 죽지도 않으면서 차회예고로 장례식 장면을 보여준다던가...[8]

북미권에선 일반적으로 TV 시리즈, TV 프로그램, TV 쇼 등으로 부른다. 다만 TV연속극이 아닌 버라이어티 쇼나 애니메이션 등도 TV 시리즈라 부르는 게 함정. 미국에서는 보통 그냥 'Show'라고 통칭한다.

국내 드라마 오프닝 모음 1971년~2016년[9]

3.2 드라마의 종류

3.2.1 국가별 분류

3.2.2 요일별 분류

  • 방영 기간별 분류 : 드라마가 TV에서 방송되는 시간대과 기간대
    • 일일 드라마 - 매일 주중 저녁에 방영.
    • 아침 드라마 - 매일 주중 아침에 방영.
    • 월화 드라마 - 월/화요일 야간에 방영.
    • 수목 드라마 - 수/목요일 야간에 방영.
    • 금요 드라마 - 금요일 야간에 방영되며 주로 단막극이었다. 2000년대 후반까지 다소 불안정하게 방영하다가 21세기에는 거의 사라지는 듯 하였으나... 요일별로 방영이 비교적 자유로워진 2010년대에 와서는 케이블 방송을 시작으로 금요 드라마 뿐만 아니라 토, 일요 등 요일별 드라마가 생겨나고 있는 중이다. 금/토/일요일 드라마들을 주말 드라마로 묶어버리는 경우도 많아 사실상 주말 드라마에 통합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부부 클리닉 사랑과 전쟁이 유명한 편이다.
    • 일요 아침 드라마 - 일요일 아침에 방영.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후반까지 방영되었다. 대표적으로 한지붕 세가족 등이 있음. 현재는 예능 프로그램이 대체물로 방영됨.
    • 주말 드라마 - 토/일요일 야간에 방영. 금토 드라마라고도 하여 금/토요일 야간에 방영하기도 한다.

3.2.3 기타 분류

  • 연령대 심의별 분류 : 방송국 자체 심의[13]를 거쳐 결정된 등급
  • 원작별 분류 : 타 작품에서 영감을 얻어 만드는 드라마
    • 만화 원작, 영화 원작, 소설 원작, 게임 원작(희귀한 케이스)

3.2.4 장르별 분류

  • 군대 드라마 - 군대 생활을 주제로 하는 드라마.
  • 농촌 드라마 - 시골 농촌을 주제로 하는 드라마.
  • 단편 드라마 - 이름 그대로 단편으로 구성된 드라마. 소설을 각색하여 방영하는 경우가 많으며 실험적인 시도도 많은 편이다. 90년대까지만 해도 MBC의 베스트극장이나 SBS의 오픈드라마 남과여, KBS의 드라마 스페셜 시리즈가 있었으나 2000년대 후반들어서 KBS를 제외하고는 종영이 되었다. 이후 MBC는 2013년부터 드라마 페스티벌 등을 편성하고 있다.
  • 드라마 CD - 라디오 드라마와 동일한 육성 연기 드라마이나 CD 등의 매개체에 저장돼서 나오는 드라마.
  • 레제 드라마 - 무대에 올리지 않고 읽을거리로만 쓴 희곡. 괴테의 "파우스트 2부"가 있다. 같은 의미로 레제 시나리오가 있다.
  • 막장 드라마 - 인과 관계상 일어날 리 없을 행동이 지나치게 많이 나오는 드라마. 이를테면 정말 아니다 싶을 정도의 성격을 가진 인물이 등장한다거나 혹은 안 일어날것 같은 기적(?)이 일어나는 드라마.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 모노 드라마 - 1인극. 예능에서 혼자 몰입하는 사람을 보고 "모노드라마 찍냐"라고 타박하는 게 바로 이것이다.
  • 미니 시리즈 - 월화 드라마나 수목 드라마로 자주 편성되는 드라마 시리즈. 다만 주말 드라마로도 종종 편성되는 경우는 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조.
  • 역사 드라마 -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당시의 상황을 최대한 그대로 재현해낸 드라마. 다만 판타지 역사물, 퓨전 역사극에서는 고증이 엉망일 수 있다.
  • 성장물 - 주인공이 정신적으로 성장하거나 성숙되는 이야기물. 어린이 드라마나 청소년 드라마도 넓은 틀에서 보면 성장물이다.
  • 시트콤 - 시츄에이션 코미디의 약자로, 개그분위기로 진행되는 드라마. 이전에는 논스톱 시리즈같이 히트작이 많이 있었지만 요즘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
  • 정치 드라마 - 정치인이나 정치비사를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 드라마. 소설이나 영화에서 설정을 차용하거나 실존인물의 성격 및 인생을 조합하여 만드는 경우도 있다.
  • 의학 드라마 - 병원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나 특정 질병을 소재로 하여 쓰여진 이야기. 의사들의 연애도 병원애서 일어나니 범주에 포함되고 국과수에서 사인을 밝히거나 보험회사에서 사고 원인을 조사하는 것도 이 안에 포함된다.
  • 어린이 드라마
  • 청소년 드라마
  • 청춘 드라마 - 청년층을 주제로 한 드라마.
  • 키노 드라마 - 연극과 영화를 결합시킨 희곡. 레제 드라마와는 별개의 장르이다.
  • 트렌디 드라마 - 젊은 취향의 가벼운 드라마.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 라디오 드라마 - 옛날 텔레비전 보급이 원활하지 않았을때 라디오를 통해 육성 연기와 음향효과만으로 만들어진 드라마. 현재도 일부 남아있다.
  • 판타지 드라마 - 존재하지 않는 가상 세계관을 배경으로 만든 드라마.(보통 어린이 드라마로 분류되는 게 많다.) 예를 들자면 사극의 경우 현실에서 있을 수 없는 현상이나 사건이 일어나면 판타지 역사극으로 분류될 수 있다.
  • 퓨전 드라마 - 두 가지 이상 특성이 혼합된 드라마. 예를 들어 사극의 경우 당대에 없었던 일 혹은 기록되지 않은 일이 시나리오 작가 자신에 의해 붙어버리면 퓨전 사극이라고 한다.
  • 프로파간다 - 한국은 드라마의 위력이 강해서,역사상의 인물이나 실존인물을 미화해서 드라마를 만들면 인지도와 호감도가 팍팍높아진다. 드라마가 엄청난 인기를 끌면 실존인물이 미화되어보인다. 예를 들면 동네 양아치 김깡패가 있는데,이 인물은 막장인간이지만 드라마에서는 무지 멋있게 묘사하면 실제로 김깡패도 훌륭한 사람으로 보여지는게 있다이거다. 이런건 주로 제작비가 적은 만화판에서 시도가 많이된다. 조양은도 자신의 깡패 일대기를 만화화했지만,그냥 망했다(...) 실제로 미화되면 위험하겠지만(...) 조폭미화물이 대표적. 북한에선 이런 드라마를 주로 제작하고있으며 독재정권 시절 남한에서도 이런 드라마를 꽤 제작했다나(이를 테면 팔도강산[14]이 대표적)
  • 웹드라마 -
  • 특촬물

3.3 같이 보기

4 라디오 드라마

5 영어 속어

여기중 일상생활에서 가장 자주 들을 수 있는 뜻의 단어로, 하찮은일 가지고 시비 붙이는 일을 뜻한다. 파생어로 'drama queen'과 'drama king'이 있으며, 이것은 "별거 아닌거 가지고 호들갑떠는 여자," "뒷담 많이 하는 여자" 등의 뜻이 담겨있다. 영어권에서 느닷없이 드라마라는 단어를 던지면 이 뜻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1. 드라마(drama)라는 용어는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데, 의미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장르적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와 결합해서 쓰이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어 '전쟁 드라마', 'TV 드라마' 등.
  2. 단, 이런 소재를 희화화시켜 다룬다면 그쪽은 코미디가 된다. '드라마' 장르는 어디까지나 해당 소재를 '심각하고 진지하게' 다루는 것.
  3. 반대로 영상 편집 기술이 극도로 발달하면서 오히려 초기 연극적인 형태를 탐구하는 시도도 많았다. 대표적인 작품이 도그빌. 도그마 선언도 참조.
  4. 한국의 경우 '연극적인 영화'를 시도하는 대표적인 감독이 연극 연출가 출신의 장진.
  5. 한국의 경우 이순재씨가 젊은 시절이었으니 수 십 년전 이야기.
  6. 한 편에서 이야기가 완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속편과 의미가 다르다. 딱 현재의 TV 드라마를 영화관에서 보는 정도.
  7. 유독 한국 드라만 이런 경향이 심하다고 알고있는 이들이 많은데, 미국 드라마의 클리프 행어는 한국 드라마를 초월한다. 아얘 시즌 마지막 에피에서 클리프 행어를 시전해 시청자들이 몇달동안 고통받게 만드는 건 예사.
  8. 물론 쪽대본의 특성 상 다음회차 촬영분이 아예 없어서 차회 예고를 못하는 경우도 많다. 미니시리즈의 경우 중반이 지나가면 촬영분이 바닥나 차회예고가 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
  9. 이 플레이어가 상당히 인기가 많은데, 2016년 3월까지 업데이트 되어있다.
  10. 한국에도 텔레노벨라를 방영하는 전문 케이블 채널이 있다. 한국내에서 가장 유명할 작품이라면 역시 천사들의 합창 정도가 될 것이다.
  11. 의외로 남미와 거리가 먼 러시아에서도 소련 붕괴 직후 텔레노벨라의 인기가 높았다.
  12. 주요 시청국은 동유럽과 그리스, 중동, 중앙아시아
  13. 방송프로그램의 경우 사전심의 제도가 없다. 다만 문제가 되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심의를 거쳐 제재를 내린다. 다만 방송국 자체심의를 반영한다. 똑같이 수위 높은 내용이라도 방송국에서 19금 안걸고 15금을 걸고 틀면 제재가 내려진다.
  14. 영화가 원작이었으나 인기를 끌면서 TV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다만 방송자료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