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사회인야구

일본의 야구리그
구분명칭
프로1군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 퍼시픽리그
2군일본프로야구 2군
­
사회인도시대항야구대회
사회인야구 일본 선수권대회
지구연맹 주최대회
전일본클럽야구선수권대회
­
독립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프로야구 마스터스 리그
­
대학전일본대학야구선수권대회
메이지진구야구대회
­
고교선발고등학교야구대회 /
전국고등학교야구선수권대회외 8개 대회

社会人野球

1 소개

사전적 정의의 사회인 야구는 "사회인들이 참여하는 야구경기"를 뜻한다. 대한민국이나 대만에서는 "선수가 아닌 일반인들이 참여하는 야구경기"를 의미하는 반면, 일본의 경우에는 약간 의미가 다르다. 선수가 아닌 일반인들이 참여하는 리그뿐 아니라, 일본야구연맹에 소속되어있고 기업의 관리를 받으며 운영하고 있는 사회인 야구리그가 있기 때문이다.

흔히 일본 야구계가 아시안게임에 내보내는 선수들 대부분은 사회인야구 기업팀에 소속된 고교, 대학 야구부 출신의 아마추어 선수들이다. 도하 참사(야구)의 주역들 역시 대부분 사회인야구 소속 선수들이었다. 그 외에 하를럼 베이스볼 위크등 마이너한 국제대회의 경우 사회인 야구 연합팀 혹은 단일팀이 출전하는 경우가 많다.

2 역사

1878년 신바시 철도국의 철도관계자들이 꾸려서 만든 신바시 스포츠클럽(新橋アスレチック倶楽部)을 일본 최초의 야구팀이자 일본 최초의 사회인야구팀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신바시 사나가와에 보건장(保健場)이라는 운동장을 만들어 활동했는데 이는 일본최초의 야구장이라고 한다.

이후 사회인야구는 점차 성장을 거듭해 1927년에 출범된 도시대항야구대회(都市対抗野球大会)는 일본 최초의 실업야구대회로 규정되고 있다.

1951년에는 일본산업대항야구대회(日本産業対抗野球大会)가 창설되었고 1971년 전일본클럽야구선수권대회(全日本クラブ野球選手権大会)가 출범하면서 일본의 사회인 야구는 성장세를 이뤄나갔다.

3 분류

  • 기업팀 또는 회사등록팀(会社登録チーム)
기업에서 운영하고 있는 경식 야구팀. 해당 기업에서 선수를 선발해서 운영하며 당연히 월급도 받으면서 야구를 한다. 드래프트에서 원하는 팀에 뽑히지 않거나 혹은 지명되지 못했을때 입단하며, 대부분 경식야구 대회에는 기업팀들이 싹쓸이 하고 있기에 논란이 일기도 한다. NTT미쓰비시 같은 기업들은 각 공장별로 야구팀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수 팀을 운영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때 전일본클럽야구선수권대회에서는 1기업별 1팀만 참가 가능하도록 룰을 개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본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도시대항야구대회에 비하면 인지도가 시망이라(...) 결국 이 규칙은 사라졌다.

프로 지망생이 많은만큼 한 에서 오래뛰는 선수가 많지 않다. 100년 가까이 되는 일본의 사회인 야구리그에서 한팀에서 10년넘게 뛰면 기적이라는 소리를 듣기도 하는데 20대 후반에 프로에 진출하는 노망주도 많다. 오치아이 히로미츠, 노모 히데오, 후루타 아쓰야같은 일본 야구계 레전드들이 거쳐가기도 했으며 초노 히사요시후쿠도메 코스케처럼 "요미우리(등 몇몇 구단) 아니면 다 X까!"라며 자기가 원하는 팀에 지명될 때까지 버티는 경우도 간혹 있다. 역으로 프로의 러브콜을 여러 차례 받았음에도 사회인야구에 남는 경우가 있는데, 프로 세계보다 최고 페이는 적어도 안정적인 직장생활을 보장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인듯.[1]

나무배트를 사용하고 대부분의 장비 및 규칙은 일본프로야구에 따르나 콜드게임이나 승부치기 제도[2]가 도입되는등 독특한 규칙도 존재한다.

일본 드라마 루즈벨트 게임이 기업팀을 보유한 중소기업의 이야기를 소재로 하고 있다.

  • 클럽팀(クラブチーム)
기업 활동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모인 유시에 의해 운영되는 경식 야구 팀. 이중에서도 기업들이 컨소시움을 만들어 운영하는 팀도 있으며 유명인사가 팀원들을 모아서 운영하는 팀도 있다.
  • 풀뿌리 야구팀(쿠사야큐, 草野球)
한국의 사회인야구와 같은 성격을 띄는 사회인야구팀을 말한다. 풀뿌리 야구팀이 참가하는 대회들은 대부분 나무배트가 아닌 알루미늄 배트가 사용되며 연식야구공[3]을 사용한다.

4 리그

간단히 설명하자면 경식 야구공은 일반 프로팀이 쓰는 야구공으로 경식 야구공을 쓰는 리그는 실업야구와 비슷하다고 보면 되고 연식 야구공은 사회인 야구팀들이 쓰는 공으로 연식야구공을 쓰는 대회들은 순수 아마추어들이 출전하는 풀뿌리리그, 한국의 사회인 야구와 같다.

4.1 경식야구

4.1.1 도시대항야구대회

都市対抗野球大会

줄여서 도시대항전이라 부르기도 한다. 1927년에 전일본도시대항야구대회(全日本都市対抗野球大会)라는 이름으로 창설된 대회로 매년 7월 중순~8월 초[4]에 열리기 때문에 "한 여름의 야구축제(真夏の球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1935년에 만주국이 건설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전국에 있는 일본야구연맹에 등록된 기업팀과 클럽팀 342팀 중 지역예선을 거쳐 단 32개의 팀만이 참가하게 되며 우승하게 되면 우승기를 수여하게 된다. 또한 서스펜디드 게임과 승부치기 제도가 도입되어 있으며 본선진출 확정 후 보강선수 3명을 다른 팀에서 끌어올수 있는 특이한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최초에는 마이니치 신문에서 창단한 대회며[5] 1949년 20회 대회부터는 일본야구연맹과 공동개최로 변경되었다.

메이지진구 구장(1927년~1937년), 고라쿠엔 스타디움(1938년~1987년), 도쿄돔(1988년~현재)을 메인 스타디움으로 쓰고 있고 2011년 도호쿠 대지진으로 인한 절전 정책으로 인해 82회 대회는 오사카돔에서 열렸다.

경성부 야구팀인 "전경성(全京城)"이 1940년과 42년에 우승을 차지한 경력이 있다.[6]

4.1.2 사회인야구일본선수권대회

社会人野球日本選手権大会

1951년에 창설된 일본산업대항야구대회(日本産業対抗野球大会)가 1973년에 이름을 바꿔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역대 모든 대회가 관서지방[7]에서 개최되었다. 마이니치 신문사가 일본야구연맹과 함께 주최하고 잇으며 스포츠닛폰, 쿄세라돔이 후원하고 있는 대회다. 다만 인지도나 인기면에서 도시대항전에게 밀리고 있고 관객동원도 안습한 수준이라 2006년에 참가팀을 26개팀에서 32개팀으로 늘리고 도시대항전과 전일본클럽야구선수권대회 우승팀에게도 출전권을 부여하는등 흥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참고로 1991년부터 전일본대학야구선수권대회 우승팀과 사회인야구일본선수권대회 우승팀이 맞붙는 전일본아마추어야구왕좌결정전(全日本アマチュア野球王座決定戦)도 존재했지만 1997년이후 어른들의 사정으로 폐지되었다.

4.1.3 지구연맹에서 주최하는 야구대회

地区連盟主催大会

4.1.4 전일본클럽야구선수권대회

全日本クラブ野球選手権大会

도시대항전에는 엄청난 팀들이 몰려 대도시의 팀의 경우 예선을 뚫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였기때문에 1976년 전일본클럽야구선수권 대회가 창설되었다. 2011년 기준 일본야구연맹에 소속된 클럽팀 259팀 중 16팀만이 출전하기 때문에 342팀 중 32팀이 본선에 진출하는 도시대항전보다 더 빡센 구멍을 자랑한다. 마이니치 신문과 일본야구협회, 일본야구기구[8] 공동주최하며 미즈노가 스폰서로 참가하고 있다.

4.2 연식야구

  • 덴노배 전일본연식야구대회(全日本軟式野球大会)
  • 국민체육대회 연식야구대회(国民体育大会 軟式野球競技会)
  • 전일본연식야구대회(全日本軟式野球大会)
  • GBN 전국동네야구대회(GBN全国草野球大会)
  • 전일본여자연식야구선수권대회(全日本女子軟式野球選手権大会)

5 출신 선수

나무위키에 등록된 선수들만 기재. 괄호 안은 사회인야구팀에서 뛰었을때 소속팀.
  1. 이 분야의 레전드로는 1992, 1996, 2000년 올림픽 대표로 선발된 일본생명의 '미스터 아마야구' 스기우라 마사노리가 있다. 올림픽 야구 통산 5승으로 이 분야 세계기록 보유자. 특히 2000년에는 마쓰자카 다이스케 등 프로선수가 일부 포함되었음에도 대표팀에 선출되었다. 당연히 사회인야구에서도 에이스였으며 도시대항 야구에서 1991년부터 2000년까지 10년 연속 출장했다. 은퇴 뒤에도 일본생명 팀의 코치와 감독을 거쳤다.
  2. 연장 13회까지 진행되었음에도 무승부가 되었다던지, 경기시간이 4시간 이상 된다면 승부치기를 시행해 승부를 가린다.
  3. 고무등을 이용해 만든 공, 소프트볼과는 다르다.
  4. 원래 오락가락 했다. 처음에는 7월 말, 8월초였지만 2002년부터 고시엔등에 밀려 미디어 노출이 적다는 이유로 8월 말 - 9월초로 옮겼다가 2012년부터는 다시 7월말 - 8월초로 변경되었다.
  5. 이때문에 공식 가이드북이 마이니치 신문사에서 발행하는 "선데이 매일"(サンデー毎日)에 포함되어서 나오고 있다.
  6. 다만 한국인이 아니라 경성지역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이 팀을 꾸려 출전한 것이다.
  7. 한신 고시엔 구장(1974~1979) - 오사카구장(1980~1989) - 홋토모토 필드 고베(1990-1996) - 오사카 돔(1997-현재)
  8. 일본프로야구를 운영하는 기구
  9. 참고로 이쪽은 "노모베이스볼 클럽(NOMOベースボールクラブ)"이라는 사회인야구팀을 창단하여 직접 운영하고 있다. 현재까지 NPB에 5명의 선수를 1군무대로 데뷔시켰다. 마이너리그에 진출한 선수도 1명 있다.
  10. 이후 NTT 서일본 규슈로 이름을 바꾼 뒤 2001년 폐부.
  11. 실제로 차장 자격증이 있다. 프로에서 성공하지 못할 때를 대뷔해서 따놓았다고.
  12. 현재는 NTT 사업부가 재편되면서 해체되었고, 선수단은 NTT 동일본에 편입되었다.
  13. 현재는 미쓰비시 자동차 구라시키.
  14. 일본프로야구를 건너뛰고 곧바로 보스턴 레드삭스와 계약해 현재까지도 뛰고 있다.
  15. 현재의 신일본석유 ENEOS.
  16. 현재의 JR 규슈.
  17. 현재의 파나소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