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건널목 사고

1 개요

원래대로라면 건널목 앞 일단 정지는 당연히 차가 하는게 맞다.

일본건널목 앞 일단정지가 어느정도 잘 지켜지고 있지만, 일본도 사람사는 곳이라서인지 당연히 100% 완벽하게 칼같이 지켜진다고는 말 못한다.

열차가 건널목 앞에서 일단정지.. 하는 사례는 아니지만, 아카바네선의 경우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특정 구간에서는 화물열차건 전동열차건 간에 각 역에 정차한다고 한다.

2 정의

철도 건널목 선로에서 사람이나 차량이 건널목을 지나려다 선로 위를 달리던 열차에 치이는 사고.[1]

열차의 기관차는 자체 중량만 100톤이 넘는 엄청난 중량물이고, 그 뒤에 수천톤의 화차들을 이끌고 있는데다가 그런 중량물이 수십km 내지 수백km의 속도로 달린다. 게다가 철도차량은 그 특성상 긴급상황의 제동도 나쁘고 제동거리가 길며 대부분은 열차가 평상시 달릴 때의 속도 그대로 들이받아버리기 때문에 고작 1톤이 채 되지 않는 차량 및 사람 따위는 치이는 즉시 분쇄된다. 운이 좋아 스치거나 열차의 속도가 낮다고 해도 최소 중상을 각오해야 할 판. 피해 물체가 선로 위 대차 사이에 끼이게 되면 때에 따라 열차가 탈선할 수도 있다. 또 철도 건널목 사고로 인해 열차가 긴급정차하게 되었을때 운없으면 후속열차에 의해 대형 참사가 빚어지게 되는 시발점이 될수도 있다. 실제로 그런 사고도 있었다.

폭주 기관차 사고를 다룬 영화 언스토퍼블에서도 묘사되는거지만, 100톤이 넘는 쇳덩어리가 수천톤의 화차들을 이끌고 100km를 넘는 속도로 달려들기 때문에 기관차와 화차들의 압도적인 중량과 100km가 넘는 속력이 합쳐진 결과 어지간한 장애물 따위는 그냥 박살내고 제갈길 간다. 작중의 열차가 제동장치가 고장나 폭주하는 열차라는걸 고려하더라도 일반적인 열차들도 상황은 비슷할 것이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치사율이 매우 높은 교통사고다.위에 설명되었다시피 열차의 중량은 승용차나 버스와는 넘사벽이며 사고 차량도 시내버스나 군내버스처럼 여럿이 탑승하는 대중교통수단도 있고 어린이를 태운 승합차도 있으며, 일가족을 태운 가장이 모는 승용차등 안전이 더욱 중요시하던 차량들도 있었다. 이렇다보니 버스가 치였다면 마을전체가 초상날이오 학원차가 치이면 여럿 가정 파탄나며 승용차가 치이면 일가족이 초상을 치르는 일이 허다했다. 언론 조차도 사망자가 10명이 안되면 1면 기사는커녕 제대로 나오지도 않는 사건도 많았고 10명 이상이 죽어줘야 1면 기사와 함께 철도건널목 안전의식 고취 기획기사가 나왔다. 그리고 이것을 반복한다.

3 원인

열차 특히 기관차는 뒤에 달려있는 차량들을 끌기 위해서는 큰 중량과 큰 출력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가감속이 매우 느리다. 이는 철로와 대차가 모두 쇠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마찰력이 커지므로 기관차는 무거울수 밖에 없으며 그래도 마찰력이 낮으므로 가감속은 느릴 수밖에 없다. 열차가 오르막길에 약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열차의 특성상 도로와 철로가 교차하는 철도 건널목에서 열차는 죽었다 깨어나도 건널목 물체 때문에 세우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말은 즉 사람이 알아서 피해야 한다를 의미한다.

그러나 운전자나 통행인이나 단지 몇 분 몇 초를 건널목에서 열차를 기다리다 허비하는 것으로 대수롭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열차가 온다는 신호와 실제 열차가 오는 사이에 통과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건널목을 건너기 일쑤여서 생각보다 빠른 열차에 치이게 된다. 간혹 가다 차량이 건널목에서 고장나는 경우도 있지만 그때에는 사람이 피하면 된다. 줄여서 정리하면 건널목에 일단정지 신호가 들어오면 그냥 액셀을 밟는다 차단기가 있어도 가끔식 내려오기 전에 지나가는 경우도 많다. 하다못해 언론기사 중에 이런 제목도 있었다. 철도건널목 사고 99% 운전자 과실

4 예방책

철도건널목에서는 이러한 사고를 줄이기 위해 건널목에 차단기, 경보기와 간수(사람)를 배치하거나 통행 차량이 많으면 아예 입체교차로를 만들기도 한다. 실제 사고를 100% 예방하려면 입체교차로로 건설해야 하며, 차단기로는 성질급한 운전자를 감당못한다. 차단기조차 없는 건널목은 빨리 차단기라도 보강해야 한다. 실제 대한민국에서 일어났던 철도 건널목 사고에는 이런 차단기조차 없었던 건널목에서 일어난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 사례가 모산 수학여행 참사이다.

그 외에 이런 것도 있다. 건널목에 보면 광학식 물체 감지기가 설치된 곳이 가끔 있는데, 이게 뭐냐하면 자동화 시스템에서 양쪽 센서 사이에 레이저나 그냥 아무거나 일반 불빛을 교환하여 물체가 빛을 가리면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하게 된다. 일반적인 센서들보다 크기가 큰데, 수박?정도 크기를 가지고 여러개가 건널목에 있다. 만약 열차 주행중에 전방의 건널목에 있는 이 센서로 부터 신호가 들어오면 폐색 구간 전이라도 감속을 하고 만약에 건널목 폐색 구간에서 신호가 들어온다 치면 비상정지를 하게 된다.

그리고 현대의 대차는 주행시엔 locomotive 모터에 의해 끌려가나, 제동시엔 제동 밸브에 의해 각 대차에 있는 모든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신속하게 정지한다. 기관차에만 브레이크가 있던 시절보다 제동속도가 확실히 빨라졌다. 스펙상의 제동 속도는 대차말고 기관차의 제동에 관하지만, 대차가 연결되어 있다면 최대 25초 이내로 정지 가능하다.[2]

운전자는 철도건널목에서 차단기가 없으면 반드시 우선 멈춤하고 경보기를 확인하여 경보가 울리지 않고 열차가 오지 않을 경우에만 통과하도록 하고 경보가 울리고 있다면 무조건 건너면 안 된다 차단기가 있는 경우 차단기가 내려올 때 무리하여 건너면 안된다. 내 차는 탱크가 아니다[3] 보행인도 경보가 울린다면 간수의 지시없이는 절대로 건너지 말아야 한다. 슈퍼맨 예외 그런데 정말 죽어도 잘 안 지킨다.

참고로, 건널목은 커녕 그냥 선로를 건너는 경우도 있는데 철도안전법 위반은 둘째치더라도 순식간에 열차가 와서 치고 간다. 하지 않는게 목숨에 이롭다.

복선 이상의 철도건널목의 경우 간혹 열차가 교행하는 경우[4]도 있으므로 1대가 지나갔다고 방심하지 말고 경보기가 완전히 꺼지거나 간수의 지시에 따라서 횡단해야 한다. 실제로 이런 훼이크(?)에 속아 사고난 경우가 실제로 있다.열차에 2번 치일뻔한 동영상.

혹시나 건널목에 갇히게 되는 불상사가 생겼을 때 대처법은 건널목 항목 참조.

5 대한민국 철도 건널목 사고

보면 어째 서부경전선이 많이 보인다

5.1 모산 수학여행 참사

1970년 10월 15일에 발생한 대형참사. 자세한건 모산 수학여행 참사를 참고하자.

5.2 1970년대

  • 1970년 2월 20일에 충청남도 논산군 논산역 부근 대전발 부여행 버스가 건널목 차단기를 뚫고 돌진 익산발 대전행 1613호 화물열차와 충돌 1명 사망 4명 중상(버스 승객 40명)
  • 1970년 3월 22일에 급행버스가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동 철도건널목을 건너가 고장으로 정차 승객이 대피했으나 열차와 충돌 1명 사망 16명 중경상
  • 1970년 12월 20일에 시외버스가 충청남도 천안시 안성선 철도건널목에서 졸음운전으로 건너다가 안성발 천안행 여객열차와 충돌 20명 중경상
  • 1971년 1월 19일에 택시가 전라남도 승주군 별량면 철도건널목에서 광주발 순천행 완행열차에 치여 300m 끌려감. 3명 사망 2명 중상[5]
  • 1971년 3월 28일에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원대동 철도건널목에서 좌석버스와 용산발 부산행 화물열차와 충돌 10명 사망 33명 중경상 5분전 다른 열차가 통과 후 계속 경보가 울림에도 건널목 간수가 차단기를 올렸고 버스가 건너다가 1차 충돌 후 10m 밀려 다른 버스와 충돌 건너편 서점에 쳐박혔다. 이 사고로 버스승객 외 보행자 6명도 사망했다.
  • 1971년 4월 5일에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건널목에서 목포발 부산행 여객열차가 시내버스와 충돌 3명 사망 12명 중경상. 버스가 건물을 덮쳐 일가족 5명 중상포함. 다른 열차가 통과 후 간수가 차량이 밀려있었기 때문에 몇 대라도 통행시키려고 했는데 버스가 통과할즈음 앞에 차량으로 막혀 있어 통과 못하고 어영부영하다가 뒤따른 여객열차에 충돌.
  • 1972년 1월 20일에 전라남도 순천시 가곡동 건널목에서 남원발 순천행 제 1621호 통근열차와 직행버스가 충돌, 버스운전사 등 7명이 부상을 당했다. 충돌 후 버스는 180m나 끌려가 가곡철교 한가운데 이르러 두 동강이 나 걸렸다가 반쪽은 물속에 떨어졌다. 원인은 다른 버스와 경쟁하다가 건널목에서 일단정지를 하지 않아 열차에 받혔는데 건널목 간수가 자리를 비우고 차단기를 내리지 않았음이 밝혀졌다.당시(다음날)신문기사와 사진
  • 1973년 5월 16일에 경상북도 포항시 간이철도건널목에서 다른 손님을 뺏기지 않을려고 기차가 오는데도 건널목을 건너려다 열차와 충돌 1m 강물에 쳐박혔다. 이로인해 통학생 포함 23명 사망 62명 중경상을 입었다.
  • 1975년 6월 14일에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철도건널목에서 승객 1백 명이 탄 버스가 일단정지를 무시하고 건너다가 대전발 목포행 열차와 충돌 운전사 포함 12명 사망 64명이 중경상 정원초과가 인명피해를 키움.
  • 1976년 5월 23일에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철도건널목에서 신탄리발 청량리행 동차와 20t급 대형 유조트럭과 충돌 5량 중 앞 3량이 탈선 이중 1량(동차)은 전복후 화재가 발생, 폭발(..) 기관사 포함 19명이 불에 타죽거나 압사하고 98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원인은 일단정지를 무시한 유조차가 건널목에 있던 어린이 2명으로 건널목위에서 잠시 정차하다가 사고.
  • 1977년 11월 3일에 경기도 평택군 평택읍 통복리 경부선 철도건널목(현 통복고가교, 바로 옆에있는 통복지하차도 자리는 아님)에서 포승면 만호리에서 출발한 시외버스가 건널목을 건너다 엔진이 꺼져 이윽고 달려오는 새마을호와 충돌 7명 사망 19명 중경상을 입었다. 사고버스는 건널목을 건너다 울리는 경보기와 내려오는 차단기에 당황, 후진을 하다 엔진이 꺼져버렸고 10여명의 승객이 내려 밀었으나 소용없이 열차와 충돌 인근 관리자 초소와 충돌, 지붕에 버스가 뭉개져 인명피해가 커졌다. 기사
  • 1978년 4월 18일에 전라남도 승주군 별량면 철도건널목에서 일단정지를 무시한 시외버스가 광주발 여수행 완행열차와 충돌 8명 사망 53명 중경상 사고버스가 지연출발한 탓에 건널목에서 50m전부터 7명의 승객이 내려달라고 항의를 받으며 운전자의 조바심을 부추긴 점도 있음. 사고버스는 정원이 55명임에도 70명의 승객을 태워 인명피해를 키웠다.
  • 1978년 11월 3일에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경원선 철도건널목에서 일단정지를 무시한 육군소속 트력이 신탄리발 서울행 열차와 충돌 적재함에 타고 있던 장병 2명이 사망하고 8명이 중경상을 입음

5.3 1980년대

  • 1980년 12월 24일에 전라북도 이리시 만경강 철도 건널목에서 시외버스가 화물열차와 충돌 둑아래로 추락 1명사망 20명 중경상. 사고 시외버스는 건널목에서 일단정지로 대기중이 었는데 뒤에서 시내버스가 추돌 시외버스를 앞으로 밀어 열차와 충돌함(..)
  • 1981년 1월 25일에 전라북도 전주시 철도건널목에서 남원발 서울행 특급열차와 시내버스가 충돌 운전자, 안내양, 승객 1명 사망 15명 중경상. 짙은 안개 속에서 일단 정지를 무시..
  • 1981년 7월 3일에 수인선 고기1건널목에서 일단정지를 무시한 시외버스와 열차가 충돌 동차는 전복 객차 3량 탈선 열차 승객 7명 버스 승객 8명 중상. 시외버스가 열차의 측면을 충돌함.
  • 1981년 9월 25일에 인천직할시 남구 청학동 수인선 건널목에서 일단정지를 무시한 시내버스가 완행열차와 충돌 버스승객 1명이 사망 15명이 부상을 입었다.
  • 1981년 12월 8일에 충청남도 아산군 신창과 학성사이 장항선 철도건널목에서 일단정지를 무시한 시외버스가 장항발 서울행 열차와 충돌 버스승객 16명 부상.
  • 1982년 10월 4일에 충청남도 보령군 주포면 철도건널목에서 일단정지를 무시한 시내버스가 서울행 임시열차와 충돌 버스승객 2명 사망 62여명 중경상을 입음.당시(다음날)신문기사와 사진
  • 1983년 6월 12일에 경상남도 양산군 기장읍 모 회사 앞 동해남부선 철도건널목에서 회사통근버스와 대구발 부산행 여객열차와 충돌했다. 6명이 사망하고 3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당시 짙은 안개에도 일단정지를 무시하고 건널목을 건너려다 사고가 났다.
  • 1984년 12월 24일에 전라남도 나주군 노안면 철도건널목에서 일단정지를 무시한 시외버스가 목포발 서울행 특급열차와 충돌 15명사망 12명 중경상을 입었다.
  • 1985년 10월 15일에 전라남도 광주시 서구 백운동 철도건널목에서 순천발 광주행 화물열차가 안성고교 스쿨버스와 충돌 학생 2명이 사망 9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 1987년 12월 30일에 강원도 명주군 강동면 영동선 철도건널목에서 (승합차)구급차와 강릉발 청량리행 통일호와 충돌 구급차에 탑승한 일가족 5명 사망 운전자 중상. 원인은 일단정지 무시.뉴스동영상
  • 1988년 2월 14일에 경기도 송탄시 서정동 경부선 철도건널목에서 승용차가 서울발 대전행 화물열차와 충돌 5명 탑승자중 2명 사망 3명 중경상을 입었다.

5.4 1990년대

  • 1990년 4월 8일에 전라북도 익산군 황등면 황등리 철도건널목에서 승합차와 서울발 여수행 무궁화호와 충돌, 승합차에 탑승한 7명 사망뉴스동영상
  • 1990년 5월 25일에 충청남도 논산군 두마면 두계리 철도건널목에서 간수의 정지신호를 무시한 시내버스와 서울발 여수행 무궁화호와 충돌, 탑승한 2명 사망뉴스동영상
  • 1990년 7월 21일에 대구직할시 동구 사복동 철도건널목에서 승용차와 동대구발 강릉행 통일호와 충돌, 탑승한 4명 사망뉴스동영상
  • 1990년 9월 7일에 강원도 춘천시 원이동 철도건널목에서 승용차와 춘천발 서울 청량리행 비둘기호와 충돌, 탑승한 2명 사망뉴스동영상
  • 1991년 1월 10일에 경상남도 울산군 온양면 대안리 철도건널목에서 관광버스가 비둘기호와 충돌 기관사 포함 11명이 중경상을 입음. 관광버스가 일단 멈춤 신호를 무시하고 진입 열차와 충돌함.뉴스동영상
  • 1991년 2월 8일에 강원도 태백시 철암1동 철도건널목에서 시내버스가 영주행 비둘기호와 충돌 운전자 포함 3명 사망 40여 명 중경상 시내버스가 일단 멈춤 신호를 무시하고 진입 열차와 충돌함.뉴스동영상
  • 1991년 6월 19일에 인천직할시 남구 옥련동 수인선 협궤철도 송도역 기점 400m지점 건널목에서 일단 멈춤 신호를 무시한 트럭과 충돌 열차바퀴 2개 탈선 전복. 38명 중경상. 뉴스동영상
  • 1991년 7월 29일 공군 방포사 제2여단 제277대대가 공군 제38전대 견학을 가기 위하여 버스 운전병이 위 대대 소속 군용 버스에 소속 군인들을 태우고 가고 있었고, 당시 지휘관 대령은 별도의 군용 지프차를 타고 가고 있었다. 버스 운전병은 11시 경 충남 서천군 마서면 송내리 소재 21번 국도상 장항선 건널목 부근에서 시속 약 50km 속도로 주행하다가 철길 건널목 앞에서 정지 신호로 대기 중이던 지휘관의 군용 지프차 뒷부분을 들이받았고, 그 충격으로 지프차가 앞으로 밀려서 서행하던 봉고 트럭 뒷부분을 들이받았다. 결국 운행 중이었던 열차와 충돌해서 피해자는 뇌탈출 등으로 즉사했다. [6]
  • 1991년 12월 12일에 경기도 동두천시 지행동 경원선 선암 철도 건널목에서 초등생 13명을 태운 12인승 승합차가 일단정지 신호를 무시하고 건너려다 화물열차와 충돌, 초등생 6명이 사망하고 운전자 포함 8명 중경상을 입었다.뉴스동영상
  • 1992년 3월 6일에 경상남도 울산시 중구 화봉동 철도 건널목에서 초등생 7명을 태운 학원 승합차와 부산행 비둘기호 열차와 충돌 초등생 1명 사망 7명 부상 원인은 건널목 주의 태만
  • 1993년 2월 22일에 전라남도 승주군 별량면 철도 건널목에서 승용차가 광주발 순천행 통일호 열차와 충돌 일가족 4명 사망.
  • 1993년 11월 9일에 경기도 평택시 장당 철도 건널목에서 승용차가 대전행 임시 화물 열차와 충돌 2명 사망 1명 중상을 입었다. 하지만 이 사고는 건널목 신호기가 고장이 나서 생긴 사고이다.
  • 1994년 7월 17일에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경전선 철도 건널목에서 승용차와 익산발 순천행 화물 열차가 충돌. 일가족 4명 사망 1명 중상뉴스동영상
  • 1994년 9월 2일에 오후 3시 반경 충청남도 보령군 웅천면 장항선 철도 건널목에서 승용차와 화물 열차가 충돌. 2명 사망, 오후 4시 반경에는 승용차와 통일호 열차 충돌 1명 사망뉴스동영상
  • 1994년 12월 17일에 경상남도 창원시 죽전마을 철도 건널목에서 덤프트럭과 창원역발 진해행 비둘기호 임시 열차가 충돌. 1명 사망, 기관차와 객차 석량 탈선뉴스동영상
  • 1995년 2월 24일에 경상남도 창원시 동면 경전선 철도 건널목에서 광주발 부산행 비둘기호와 음악학원 소속 9인승 승합차와 충돌 9 ~ 10세 어린이 5명 사망 3명 중태 일단정지 무시에 의한 충돌사고
  • 1995년 4월 11일에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경전선 철도 건널목에서 광주발 순천행 비둘기호가 군내버스와 충돌 자매 3명 일가족 3명 통학 중, 초교생 포함 15명 사망[7] 18명 중경상 차단기 없는 철도건널목에서 경보기를 무시하고 지나다가 열차와 충돌 185m 끌려나가 인명피해가 커짐. 뉴스동영상
  • 1995년 8월 9일에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경북선 철도 건널목에서 통일호 열차와 충돌 7명 사망 3명 중상 뉴스동영상 원인은 경보기(일단 정지)무시
  • 1996년 7월 27일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동해남부선 철도 건널목에서 포항발 부전행 비둘기호 열차와 컨테이너 트레일러와 충돌 객차 4량 탈선 2량 전복 82명 중경상
  • 1997년 3월 24일에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서촌마을 앞 철도 건널목에서 시내버스와 순천발 서울행 무궁화호 열차와 충돌 16명 사망 16명 중경상 시야가 트인 건널목이고 차단기가 없었지만 경보기를 무시하고 시내버스가 일단 정지하지 않고 지나가다 열차와 충돌. 뉴스동영상
  • 1997년 3월 28일에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경전선 철도 건널목에서 덤프트럭 두 대와 마산발 서울행 새마을호 열차와 충돌 8명 중경상 덤프트럭들이 신호를 무시하고 지나가다 열차와 충돌.신문기사

5.5 2000년대~현재

철도건널목 사고가 워낙 치사율이 높은 대형사고이고 2000년대에 들어와 고속철도 시대가 열림에 따라 대한민국도 철도안전의식이 나날이 높아지는 만큼 철도건널목의 입체교차화에 그렇게 생색을 내지 않게 되었다. 철도사고를 줄이고자 매년 50 ~ 100개씩(혹은 수백 개) 입체교차화 하거나 유인전환을 했다. 심지어는 직선화하거나 새로 놓는 노선을 아예 고가화, 지하화해버리는 경우도 있어서 철도건널목은 점점 찾아보기 힘들게 될것이다. 그래도 임시 철도건널목이거나 통행량이 적거나 노선변경이 예정된 노선에는 철도건널목이 남아있으므로[8] 어디가다가 철도건널목이 나오면 교차로나 횡단보도처럼 건너지 말자.

  • 2010년 국감에 따르면 해마다 20건이상 4명 사망 12명 부상꼴로 건널목사고가 발생한다고 한다. 위의 사고일지들과 비교해봐도 세상이 달라지고 있음을 느낄수 있다. 한해 철도사고로 사망하는 사람(약 100여 명)들중 대다수는 자살이나 무단횡단이 원인이다.
  • 2007년 11월 26일 밤에 충북 충주시 충주대 앞 철도건널목에서 대학생 3명이 열차에 치여 2명 사망 1명 중상. 안개가 자주끼고 간수없이 협소하여 예전부터 자주 사상사고가 발생하던 건널목이라 정부에 대한 비판이 있다. 그러나 다음 해에도 여학생이 또 참변을 당한다. 기사에는 1999년에도 학생 6명을 태운 승합차가 사고가 나서 전원 사망했다고 한다. 해당 기사를 찾을 수 없지만..
  • 3연속 건널목 사망 사고(2002년 5월 1일) : 해당 항목 참조.
  • 2011년 7월 30일에 충남 연기군에서 경부선(기존선)을 운행하던 KTX가 건널목에 서있던 제네시스와 충돌했다. 건널목을 건너다가 차단기가 내려와서 가만히 서있다 충돌했다고.[9]
  • 2013년 8월 6일 14시 30분에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탄리 경원선 철도건널목에서 승용차가 통근열차충돌하는 사고가 났다. 이 때 철도건널목 차단기는 벼락으로 고장이 나 있었다고 한다.[10] 이 사고로 1명이 죽고 2명이 크게 다쳤다.
  • 2015년 10월 21일 오후 12시 울산광역시 신천동 동해남부선 신천건널목에서 정신장애를 가진 장애인을 포항까지 호송하는 과정에서 순찰차에 탑승했던 장애인이 갑자기 내리는 바람에 이를 제지하려는 과정에서 열차가 지나가는 사고가 발생해 갑자기 내렸던 장애인 한명과 제지하려던 경찰관 한명이 숨져 총 2명이 숨지고 같이 있던 경찰관 한명도 발가락이 절단되는 부상을 입게되었다.
  • 2015년 12월 11일 오전 8시 50분에 울산광역시 중산동 동해남부선 이화건널목에서 승합차가 무궁화호충돌하는 사고가 났다. 차에 있던 사람들은 3명 중 2명은 직전에 차를 빠져나왔고, 차에 있던 나머지 1명이 경상을 입었다. 평소 출근시간대에 정체가 심한 구간인데 차량은 무리하게 꼬리물기를 하다가 건널목에 갇히게 되었고, 건널목엔 관리원도 없어서 발생한 사고.
  • 2016년 6월 9일 오후 4시 10분경에 교외선 벽제역 바로 앞 건널목에서 화물 열차와 군 트럭이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군 트럭이 건널목 경보를 무시하고 들어오다 차단기가 내려오자 트럭을 버리고 피했다고 한다. *
  1. 동물의 경우에는 로드킬이라는 별도의 명칭으로 불린다.
  2. 8500 전기기관차 + 8대차 + 1발전차가 125km/h로 주행중 상향 지천역 진입 전 긴급정지 시 확인된 성능. 오해는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 제동성능이 매우 좋아진 것이지 자동차처럼 선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자동차는 시속 200km에서도 서는데 10초가 안 걸린다. 소위 좋다는 차들은 5초도 안 걸린다.
  3. 탱크라고 해도 안심할 수 없는 게 K-1 전차의 경우 최대 55톤인 반면에 특대형 디젤기관차의 경우 120톤에 달한다(...) 서로 충돌할 경우 어느 쪽이라도 목숨은 보장할 수 없다(...)
  4. 가 아니라 대부분이 교행한다. logis 에서 찾아보면 대개 한쪽 열차가 지나가면 반대 선로에서 약 30초~5분 사이로 교행
  5. 이 건널목은 차단기및 신호기가 없고 커브길이었다.
  6. 대법원 1996. 2. 15 선고 95다38677 전원합의체 판결의 사실관계로서 헌법, 행정법 상 국가배상책임의 성질등에 대한 매우 중요한 판례이다.
  7. 13일에 입원 중인 여자 중학생 사망
  8. 2010년 기준 약 1300개..
  9. 건널목 차단기는 중간에 갇혔을 때 차량으로 들이받으면 다시 열리게끔 설계되어 있다. 사람이 눌러도 딸깍 하면 다시 열린다.(...)그리고, 건널목에 물체가 있어 감지가 되어도 KTX 1세대 의 비상제동 스팩은 4.5km/h/s²이기 때문에 TVM 신호를 받아 400m 전 지점부터 비상제동을 걸어도 approach까지 3.104 초가 걸리고, 이후 건널목 진입시에는 약 120km/h의 속도를 가진다(계산은 메스메티카 엔진을 사용). 마지막으로, 열차가 비상제동을 걸면 당연히 경적을 울린다. 즉, 운전자가 3초간 나갈 생각을 전혀 못 한 걸로 봐선, 갑자기 차단기가 내려간 데다, 기차가 달려오면서 경적까지 울리자 당황해 패닉에 빠진 걸로 보인다. 호랑이에게 물려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는 속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침착하자.
  10. 단, 열차진입경보음은 정상 작동했다고 한다.